• 제목/요약/키워드: Spoilage Bacteria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5초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과 효모를 이용한 과채발효액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Fruit and Vegetable Mixed Broth Using by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 정동선;이영경;임경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58-1364
    • /
    • 2000
  • 생산량이 풍부하고 가공성이 높지 않은 농산물인 무, 감자, 생강, 사과, 대추를 이용한 과채발효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과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를 순행하고, 발효액의 유기산 농도와 향기성분, 박테리오신의 생성 및 항균활성 등을 측정하여 저장성을 지닌 음료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박테리오신 생성 젖산균인 Lc. lactis를 이용한 과채 젖산발효액의 pH는 4.07, 산도는 0.36%이며, lact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등의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박테리오신의 생성이 확인되었다. 발효중에 생성된 박테리오신의 항균역가는 냉장저장 중에도 매우 안정하였으며,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occus aureus, 그리고 충치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저해효과가 있었다. 젖산발효액에 원료 혼합액에서 분리한 효모를 접종하여 후발효시킨 효모발효액에서는 일부 유기산의 소모로 인해 산도가 약간 감소하였으나, succinic acid의 함량은 1.5배정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발효액에서 검출된 ester의 종류는 불쾌하고 쓴맛을 내는 phthalate 종류가 많은 반면, 효모 접종구에서는 과일향을 내는 ester 종류가 많이 검출되었고, alcohol종류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젖산발효액의 풍미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Bacillus속 세균 유래 박테리오신의 특성과 응용 (Biochemical Properties and Application of Bacteriocins Derived from Genus Bacillus)

  • 이지영;강대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1-101
    • /
    • 2023
  • 박테리오신은 리보솜에서 합성된 항균 펩타이드로, 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되어 유사하거나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박테리아 균주의 성장을 억제한다. 니신이 처음 발견된 이래로, 독특한 구조와 다양한 항균활성 방식을 가진 많은 박테리오신들이 기술되었고, 생산, 분비, 면역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들이 보고되었다. 니신은 치즈와 액체 달걀, 소스, 통조림 식품에 적용되는 박테리오신 중 하나이다. 많은 Bacillus 속 박테리오신들은 변역 후 변형된 펩타이드인 란티바이오틱스에 속한다. 다른 속의 Bacillus는 또한 많은 다른 비-란티바이오틱스 박테리오신을 생산한다. Bacillus 속 박테리오신은 때때로 더 넓은 항균 스펙트럼 때문에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박테리오신은 식품 및 제약 산업에서 식품 부패 및 병원성 세균 증식을 방지하기 위한 매력적인 화합물로 간주된다.박테리오신은 식품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생물학적 방부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생물 보존은 미생물 및/또는 그 대사산물을 사용하는 식품의 유통기한 연장 및 안전성 향상을 의미한다. 새로운 항균 화합물에 대한 수요는 식품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큰 관심을 가져왔다. 박테리오신의 응용은 식품에서 인간의 건강으로 확대되고 있다. 오늘날 많은 연구자들은 박테리오신에 대한 관심을 식품보존에서 감염과 항생제 내성 질병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의 처리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박테리오신 연구의 이 흥미로운 새로운 시대는 의심할 여지없이 새로운 발명과 새로운 응용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 리뷰에서 우리는 Bacillus 속에 의해 생산되는 박테리오신의 다양한 특성과 응용을 요약한다.

어육소시지 부원료에 대한 세균학적 연구 (Bacterial Studies on the Subsidiary Materials of Fish Sausage)

  • 조갑숙;김성준;이응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5-166
    • /
    • 1980
  • 어육 연제품의 부패에 관여하는 세균의 보급원이 되고있는 부원료의 미생물 오염 실태를 알기 위하여 어육 소시지 가공공장과 시중에서 채취한 녹말, 각종 향신료 및 조미료 20종에 총 시료수 59점에 대하에 생균수, 대장균군, 분변계대장균, 곰팡이 및 효모, 내열균, 호기성 아포형성균(중온 및 고온균), 혐기성 아포형성균(중온 및 고온균), 혐기성 황화수소변패 아포형성균을 조사하였다. 1. 부원료 중 녹말, 후추, 고추가루, 양파, 마늘, 생강, 육즙, 프랑크 등은 일반세균 및 포자형성균의 오염이 높았으며 시판품이 가공공장의 것보다 세균함량이 많았다. 2. 생균수가 높았던 시료는 내열균, 호기성 아포형성 중온균 및 고온균의 함량이 높았다. 3. 가공공장의 후추와 육즙, 시판품의 후추, 고추가루, 양파, 마늘 등은 외국의 세균관계기준을 초과하고 있다. 4. 생균수는 가공공장의 후추, 밀가루, 양파, 마늘이 $10^4$~$10^{5}$ /g이었고 시판의 후추, 고춧가루, 양파, 마늘이 $10^{5}$ ~$10^{7}$ /g이였으며 후추정유와 색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5. 대장균군이 검출된 시료는 생균수의 함량이 높았던 종류들이며 후추, 고추가루를 제외한 다른 시료에서는 분변계대장균이 검출되지 아니하였다. 6. 곰팡이 및 효모는 가공공장의 녹말, 밀가루, 후추가 140~460/g이었고 시판하는 후추와 고추가루는 $10^3$/g이였으며, 다른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아니 하였다. 7. 10$0^{\circ}C$에서 5분간 끓인 후 55$^{\circ}C$에서 배양한 혐기성 황화수소변패 아포형성균은 본 실험에 제공된 어느 시료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 PDF

Reduction of Microflora in the Manufacture of Saengshik by Hygienic Processing

  • Bang, Woo-Seok;Eom, Young-Rhan;Oh, Deog-Hw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3호
    • /
    • pp.167-172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ygienic processing (HP) on the reduction of microorganisms during manufacturing of saengshik with two vegetables (carrots and cabbage) and two grains (barely and glutinous rice) compared to general processing (GP). For GP, distilled water was used for washing raw materials and equipment. For HP, aqueous ozone (3 ppm) in combination with 1% citric acid and 70% alcohol were used for washing raw materials and the equipment, respectively. In carrots, after cutting, total aerobic bacteria (TAB), yeast and mold (YM) and coliform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o 5.19, 8.04 and 2.08 ($log_{10}$ CFU/g), respectively (p<0.05). Washing effectively reduced the increased microorganisms from cross contamination during cutting, but cross contamination increased with subsequent GP drying and milling procedures to 8.56, 8.27 and 3.71 ($log_{10}$ CFU/g) for TAB, YM and coliforms, respectively (p<0.05). On the other hand, HP washing of carrots with 3 ppm ozone in combination with 1% citric acid showed higher antimicrobial effect than GP washing, significantly decreasing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p<0.05). Further cross contamination did not occur through drying and milling due to cleaning the equipments with 70% alcohol prior to processing. After milling, the number of TAB, YM and coliform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3.89, 4.47 and not detectable level ($log_{10}$ CFU/g), respectively (p<0.05).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cabbage and grains. During storage for two months at different temperatures (22 or $4^{\circ}C$), there were no changes in numbers of spoilage microorganisms in the packaged saengsik after either processing.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HP for the reduction of microorganisms during saengsik production, and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disinfection at each processing stage in minimizing contamination levels to enhance microbial safety of saengshik products.

한국 고유주의 일종인 막걸리에 대한 미생물학적 연구 (Microbilolgical Studies on the Takju (Makguly) Brewing : The Korean Local Wine)

  • 고춘명;최태주;류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67-174
    • /
    • 1973
  • This study included two parts of investigation, the microfloral changes during the brewing process with the changes of pH, total acidity, temperature and alcoholic contents, as well as determination of survival times of major enteric pathogens in Takju. 1. Maximum number of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4.3{\times}10^7$ per milliliter on the 5th day of fermentation and gradually decreased.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one of the predominant strains of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number of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4.3{\times}10^6$ per milliliter at the completion of the brewing and human consumption. In a few day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brewing. Bacillus subtilis and some species of Staphylococcus spp. began to grow and those organisms were responsible for the spoilage. 2. Maximum pH, during the brewing, was 5.8 on the first day of fermentation and rapidly decreased until 6th day of fermentation at pH 4.3. 3. Maximum alcholic content was 14.5 degree on the 4th day of fermentation, 10.3 degree on the 5th day and this degree was continued during the experimentation. 4. Maximum temperature, during Takju brewing was 34.deg.C on the 3rd day of fermentation and rapidly decreased up to 23.deg.C on the 6th day and this temperature was continued until the brewing process was finished. 5. Maximum total acidity was 0.57 percent on the 4th day of fermentation and gradually decreased by brewing process was completed. 6. Survival time of major enteric pathogenic bacteria in Takju was as follows : Shigella dysenteriae and Escherichia coli were isolated in two hours and 14 hours respectively, but Salmonella typhi, Vibrio parahemolyticus were not isolated even in an hour after the inoculation of those organisms in undiluted Takju. In diluted Takju, Salmonella typhi, Vibrio parahemolyticus were not isolated even in an hour after the inoculation of those organisms in undiluted Takju. In diluted Takju, Salmonella typhi, Shigella dysenteriae, and Escherichia coli were survived for 50-60 hours, but Vibrio cholerae and Vibrio parahemolyticus were not isolated even if treated within one hour.

  • PDF

가공식품(加工食品)의 내열성부패균(耐熱性腐敗菌) 분포(分布) 조사연구(調査硏究) -(제(第) 1 보(報)) 지역별(地域別) 아포형성균(芽胞形成菌) 조사(調査)- (Study on Heat Resistant Putrefactive Spore Formers in Korean Soil and Processed Foods -Part 1. Survey on regional distribution of spore forming bacteria-)

  • 구영조;신동화;김정옥;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24-230
    • /
    • 1978
  • 통조림 및 가열보조식품(加熱保存食品)의 부패원인(腐敗原因)인 내열성부패균(耐熱性腐敗菌)에 대(對)하여 충청남도(忠淸南道) 부여(夫餘) 등(等) 전국(全國) 8개지역(個地域)의 양송용가공공장(洋松茸加工工場)을 중심(中心)으로 양송용균상퇴비(洋松茸菌床堆肥), 복토(覆土), 원료양송용(原料洋松茸) 및 살균전(殺菌前)통조림제품(製品)에 대(對)하여 일반세균(一般細菌) 및 아포형성균(芽胞形成菌) 소장(消長)에 대(對)하여 조사(調査)하고 아포형성균(芽胞形成菌) 140 균주(菌株)를 분리(分離) 보관(保管)하였으며 이 중에서 내열성(耐熱性)이 강(强)한 아포형성균(芽胞形成菌) 9균주(菌株)를 분리선발(分離選拔), 이들에 대(對)하여 D-value와 Z-value를 구(求)하였다. 이중 가장 내열성(耐熱性)이 강(强)한 균주(菌株)는 aerobic thermophile spore former F-10(부여지방(扶餘地方) 원료양송용(原料洋松茸) 분리(分離))으로 Z=21.1F(in M/15 phosphate buffer solution), $D_{250}=6.6\;minute$ 이었다.

  • PDF

냉동 및 해동속도가 우육표면 대장균군의 반치사적 손상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reezing and Thawing Rates on the Percentage of Sub-lethally Injured Total Coliform on Beef Surface)

  • 이용욱;황성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9-26
    • /
    • 1988
  • Most of meat spoilage bacteria area Gram negative, which are very sensitive to freezing ; for instance , 90% of E. coli cells are killed or sub-lethally injured by freezing at -3$0^{\circ}C$, and the freeze-injury rate is dependent upon freezing rate. Since the injured bacterial cells are sensitive to selective agents, they fail to multiply in selective media. Injured bacterial cells are, however, capable of spontaneous repair at appropriate environmental and nutritional conditions . Enumeration of injured bacterial cells involves artificial induction of repair at these conditions. Cubic beef samples(3$\times$3$\times$3cm) were frozen at -6$0^{\circ}C$, -4$0^{\circ}C$, or -18$^{\circ}C$. The samples frozen at each temperature were thawed at 4$^{\circ}C$, 2$0^{\circ}C$, or by microwave . After these respective freezing an thawing treatments, the percentage of sub-lethally injured total coliforms out of total surviving ones was measured and compa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teraction between freezing and thawing on injury rate was not significant. 2. The injury rates(as means of all three thawing treatments post-freezing) by freezing at -6$0^{\circ}C$, -4$0^{\circ}C$, or -18$^{\circ}C$ were 32.2$^{\circ}C$ and 19.2$^{\circ}C$ respectively . 3. The injury rates(as means of all three freezing treatments)by thawing at 4$^{\circ}C$, 2$0^{\circ}C$, or by microwave were 49.3%, 11.7% and 21.0% respectively. The highest injury rate was caused by freezing at -6$0^{\circ}C$ and subsequent thawing at 4$^{\circ}C$. However since the injury rates by freezing treat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eezing at -18$^{\circ}C$ and subsequent thawing at 4$^{\circ}C$ can also be recommended ,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 PDF

교차오염방지를 위한 공기정화제품에서 미생물 오염도 분석 (Monitoring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Air Purifier for Preventing Cross-contamination)

  • 염승목;김영목;이명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01-209
    • /
    • 2016
  • 실내 공기질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쾌적한 실내 환경에 도움을 주는 공기청정 기능과 습도 조절 기능을 동시에 갖춘 제습기와 공기청정기가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공기정화제품을 사용하게 될 시에는 필터가 오염되어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나 보고는 드문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 사무실 등에서 사용한 공기정화제품을 수거하여 주요 부위별 미생물 오염도 및 주요 오염 미생물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4 종류의 공기정화제품에서 오염도가 높은 부위는 필터부위, 물이 직접 닿는 부위 및 공기가 외부로부터 직접적으로 들어오는 입구부위 등에서 미생물학적 오염도가 가장 높았다. 하지만 공기정화제품은 사용하는 환경과 조건에 따라서 미생물학적 오염도 및 오염 미생물의 성상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 공기정화제품들에는 공통적으로 Staphylococcus sp., Micrococcus sp. 그리고 Bacillus sp.의 세균과 Cladosporium sp. 및 Penicillium sp.의 진균이 공통적으로 오염되어 있는 우점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산, 유산 및 구연산에 의한 냉장 돔의 오염 미생물 제거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Refrigerated Red Seabream by Acetic, Lactic, and Citric Acids)

  • 김창렬;김정숙;고대희;이순자;은종방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63-267
    • /
    • 1997
  • 본 연구는 4$^{\circ}C$ 냉장조건에서 신선한 돔포의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 증진을 목적으로 초산, 유산 및 구연산 침지법을 이용하여 호기성 부패세균의 증식억제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4개의 처리구로 만든 돔포는 각 0.25~1.0%의 초산, 유산 및 구연산의 위생수에서 5분 침지 후 처리구별로 플라스틱 저장백에 넣은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구는 수돗물에 5분간 침지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2반복 시료는 4$^{\circ}C$, 12일 저장하면서 3일 간격으로 취한 다음 분석에 사용하였다. 0.25~1.0%(v/v) 초산 처리구는 4$^{\circ}C$, 12일 저장 동안 호기성 부패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0.25~1.0%(v/v) 유산 처리구 그리고 0.5~1.0%(w/v) 구연산 처리구는 각각 4$^{\circ}C$, 저장 9일 동안 호기성 부패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돔포의 냉장 동안 초산처리구의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 PDF

질경이(Plantago asiatica L.) 추출물의 항균성검색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Plantain (Plantago asiatica L.) extract)

  • 전영옥;김건희;김순임;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98-502
    • /
    • 1998
  • 천연식품보존제의 개발을 위해 우리나라 전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산나물로 많이 이용되어온 질경이를 대상으로 식품부패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색하였다. 질경이 메탄을 추출물은 1.5mg/ml의 농도에서 곡류의 부패를 일으키는 B. subtilis와 호염균으로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V. parahaemolyticus의 성장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인공합성보존제인 Sodium propionate는 1%의 농도에서 B. subtilis는 80.97%, E.coli는 26.57%, S. aureus는 31.28%, L. monocytogenes는 72.71% 그리고 V. parahaemolyticus는 19.75% 저해되었으며 5% 농도에서는 5균주 모두 완전히 저해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질경이의 메탄올추출물이 sodium propionate 보다 10배 낮은 저 농도에서 식품부패 미생물의 성장을 완전히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항균성을 살펴본 결과 ethylacetate 분획물이 다른 분획보다 높은 항균력을 보였는데 B. subtilis, E. coli와 V. parahaemolyticus는 1.0 mg/ml의 농도에서 성장이 저해되었다. 특히 chloroform 분획물은 S. aureus에 대하여 250$\mu\textrm{g}$/disc의 농도에서 강한 저해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