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lit Tee(T-stub)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상·하부 T-stub 접합부의 초기회전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Initial Rotational Stiffness of a Double Split Tee Connection)

  • 김희동;양재근;이재윤;이형동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133-142
    • /
    • 2014
  • 상 하부 T-stub 접합부는 보와 기둥의 강성비, T-stub의 기하학적 형상변화, 긴결재의 개수, 패널존 효과 등의 영향에 따라서 보통모멘트골조 및 특수모멘트골조에 적합한 거동특성을 나타내는 완전강도 부분강접 접합부(full strength partial restrained connection)이다. 이러한 상 하부 T-stub 접합부가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거동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강도, 강성, 연성능력을 나타내어야 한다. 이 연구는 T-stub의 기하학적 형상변화가 상 하부 T-stub 접합부의 모멘트-회전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상 하부 T-stub 접합부의 초기회전강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T-stub의 기하학적 형상변수 ${\alpha}^{\prime}$값을 변화시킨 2개의 상 하부 T-stub 접합부 실험체를 제작하여 접합부 실험을 수행하였고,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도 수행하였다.

전단탭이 없는 상·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의 접합부상세 개발 (Development of Connection Details for a Double Split Tee Connection Without a Shear Tab)

  • 양재근;김용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53-64
    • /
    • 2016
  •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는 보-기둥 모멘트 접합부의 한 형태로 T-stub 플랜지의 두께, 고장력볼트의 게이지 거리, 고장력볼트의 개수, 고장력볼트의 직경 등의 변화에 따라서 상이한 거동특성을 나타낸다.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는 일반적으로 상 하부에 체결된 T-stub이 휨모멘트를 지지하고 전단탭이 전단력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상화하여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중 저층 강구조물에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가 적용되면 보 부재의 규격이 작아지므로 보 웨브에 전단탭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이 보 웨브에 전단탭 설치가 어려운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가 충분한 전단력 지지능력을 발현하도록 하는 접합부상세를 제안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에 대한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물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하부 스플릿 T 접합부의 휨강도 설계식 (Design Formula for the Flexural Strength of a Double Split Tee Connection)

  • 양재근;김주우;김윤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511-520
    • /
    • 2012
  • 상 하부 스플릿 T 접합부는 부분강접 접합부의 한 형태로 접합부에 사용된 T-stub의 두께 및 고력볼트 게이지 거리 변화에 따라서 충분한 휨강도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상 하부 스플릿 T 접합부는 강재의 종류, 보 및 기둥의 규격, 접합부 형상 등의 조합에 의하여 보통모멘트골조 혹은 특수모멘트골조에 적용 가능한 충분한 연성능력을 갖는 내진접합부로 설계 및 시공 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 하부 스플릿 T 접합부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며 적합한 설계식의 제안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상 하부 스플릿 T 접합부의 국내 적용을 위해서는 많은 실험 및 해석적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FEMA의 상 하부 스플릿 T 접합부에 대한 설계식을 검토하고 국내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진행하였다.

전단탭이 없는 상·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를 적용한 강구조물의 설계 (Design of a Steel Structural Building Using Double Split Tee Connections without Shear Tabs)

  • 양재근;김용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85-96
    • /
    • 2016
  • 금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는 접합부를 구성하는 T-stub 플랜지의 두께, 고장력볼트의 게이지 거리, 고장력볼트의 개수 및 직경 등의 변화에 따라서 상이한 강도, 강성, 에너지소산능력 등을 발현한다. 이러한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가 중 저층 강구조물에 적용될 경우에 전단력을 지탱하는 전단탭을 적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충분한 휨모멘트지지능력뿐만 아니라 전단력도 지탱할 수 있는 개선된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상세의 제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양재근 등이 해석적 연구와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여 얻은 전단탭이 없는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가 중 저층의 강구조물에 적용되었을 때 충분한 회전강성을 발현하는 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또한, 전단탭이 없는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를 적용한 중 저층 강구조물이 안전한 구조적거동양상을 나타냄과 동시에 무차원화 된 초기 회전강성을 구조해석에 적용하여 재료적 물량저감 효과도 나타낼 수 있는 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전단탭이 없는 상·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의 접합부상세 제안 (Proposal of Connection Details for a Double Split Tee Connection Without a Shear tap)

  • 양재근;이형동;김용범;배다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423-433
    • /
    • 2015
  •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는 보-기둥 모멘트 접합부로써 T-stub 플랜지의 두께, 고장력볼트의 게이지 거리, 고장력볼트의 개수 및 직경 등의 영향에 따라서 상이한 거동특성을 나타낸다.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는 일반적으로 접합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는 T-stub이 지지하고 전단력은 전단탭이 지지하는 것으로 이상화되어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중 저층 규모의 강구조물에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가 적용되는 경우, 작은 규격의 보 부재가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보 웨브에 전단탭을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이 보 웨브에 전단탭을 설치할 수 없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가 충분한 전단력 지지능력을 갖도록 하는 접합부 상세를 제안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 하부 스플릿 티 접합부에 대한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고력볼트 Split Tee 접합부의 인장내력 (Structural Tensile Capacities of Split-Tee Connection with High Strength Bolts)

  • 최혜경;최성모;김진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5호통권66호
    • /
    • pp.541-549
    • /
    • 2003
  • 고력볼트 인장접합 형신인 Split Tee 접합은 접합부의 효율성과 시공성이 우수하여 유럽등지에서는 중저층의 건축물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널리 사용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는 고력볼트와 Split Tee를 구성하는 판재의 강성에 따라 지레작용의 효과를 포함하는 보트의 인장 전단파괴와 Split Tee의 송성파괴가 상호작용을 일으켜 해석과 설계가 복잡하다는 점과 시공상의 정밀도 확보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Split Tee접합에 관한 연구는 미국, 일본, 유럽등지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아직 초보적 단계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한 Split Tee접합부의 거동, 즉 지레작용의 영향과 그에 따른 반력작용의 특성을 파악하여 Split Tee접합 설계를 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하부 스플릿 T 접합부의 초기회전강성 예측모델 (Prediction Model for the Initial Rotational Stiffness of a Double Split T Connection)

  • 양재근;김윤;박재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79-287
    • /
    • 2012
  • 상 하부 스플릿 T 접합부는 T-stub의 두께, 고력볼트 게이지 거리 등의 주요 변수 조합에 따라서 보통모멘트골조 혹은 특수모멘트골조에 적합한 접합부로 사용된다. 상 하부 스플릿 T 접합부가 안전한 구조거동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건축구조기준에서 규정한 층간변위각 및 접합부모멘트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이러한 요구사항 조건의 충족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접합부의 회전강성 및 한계소성모멘트에 대한 예측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일차적으로 정적하중을 받는 상 하부 스플릿 T 접합부의 회전강성 예측을 위한 해석모델 제안을 위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제안한 해석모델의 적용 적합성은 기존의 해석모델 및 실험결과와 비교 검토하여 입증하였다.

F10T 고장력 볼트를 이용한 T-형 플랜지형 구조물의 Prying Action에 따른 정적강도 해석 (The Static Strength Analysis of Prying Action for T-flange Shape Structure Using F10T High Strength Bolt)

  • 박명균;이중원;구본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24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nd discusses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F10T high strength bolts used in the T-flange joint structure. The experimental works were carried out for the parameters which are flange web thickness, the distance between bolts, prying ratio. The results show that the working stress imposed to bolts decreases as the flange web thickness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he imposed stress to the bolts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wo bolts increases. In other words the strength of the T-flange joint increased as the web flange thickness increases and the distance between two bolts decreases. The prying ratio is increased as the distance between two bolts increases and as the flange web thickness decreases However, the degree of stress decrease in flange thickness variation is not that high as the distance variation between two bolts. Finally the equation for predicting the failure stress in T-flange joint structure using F10T high strength bolts wa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