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lenocyte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4초

In vitro Stimulation of NK Cells and Lymphocytes Using an Extract Prepared from Mycelial Culture of Ophiocordyceps sinensis

  • Sun-Hee Jang;Jisang Park;Seung-Hwan Jang;Soo-Wan Chae;Su-Jin Jung;Byung-Ok So;Ki-Chan Ha;Hong-Sig Sin;Yong-Suk Jang
    • IMMUNE NETWORK
    • /
    • 제16권2호
    • /
    • pp.140-145
    • /
    • 2016
  • Ophiocordyceps sinensis is a natural fungus that has been valued as a health food and use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centuries. The fungus is parasitic and colonizes insect larva. Naturally occurring O. sinensis thrives at high altitude in cold and grassy alpine meadows on the Himalayan mountain ranges. Wild Ophiocordyceps is becoming increasingly rare in its natural habitat, and its price limits its use in clinical practic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alternative is a great focus of research to allow the use of Ophiocordyceps as a medicine. To develop an alternative for wild Ophiocordyceps, a refined standardized extract, CBG-CS-2, was produced by artificial fermentation and extraction of the mycelial strain Paecilomyces hepiali CBG-CS-1, which originated from wild O. sinensi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 vitro immune-modulating effect of CBG-CS-2 on natural killer cells and B and T lymphocytes. CBG-CS-2 stimulated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enhanced Th1-type cytokine expression in the mouse splenocytes. Importantly, in vitro CBG-CS-2 treatment enhanced the killing activity of the NK-92MI natural killer cell li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ycelial culture extract prepared from Ophiocordyceps exhibits immune-modulating activity, as was observed in vivo and this suggests its possible use in the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abnormal immune function.

Anti-oxidant and immune enhancement effects of Artemisia argyi H.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Ji Yun Lee;Ji Hyun Kim;Ji Myung Choi;Hyemee Kim;Weon Taek Seo;Eun Ju Cho;Hyun Young Kim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92-502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immune enhancement activities of Artemisia argyi H.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The fermented A. argyi H. ethanol extract increased scavenging activitie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hydroxyl (·OH), and superoxide (O2-) radicals. Particularly, the ethanol extract of fermented A. argyi H. exhibited higher ·OH and O2-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ompared with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o evaluate the immune enhancement effects of the fermented A. argyi H., mice were fed a normal diet supplemented the fermented A. argyi H. at concentrations of 1%, 2%, and 5%, respectively. The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A. argyi H. dose-dependently increased splenocyte proliferation. In addition, mice fed with 5% fermented A. argyi H. showed enhanced proliferation of T-cells and B-cells, along with increased levels of interferon-γ, interleukin-10, and tumor necrosis factor-α,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Furthermore, mice fed with fermented A. argyi H. exhibited an increase in prominent probiotics such as Akkermansia muciniphila and Lactobacillus in gut microbiota,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fermented A. argyi H.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could be used as a dietary antioxidant and immune enhancement agent.

면역억제 마우스 모델에서 왕느릅나무 유래 DEU-7의 면역기능 증강 (DEU-7 Derived from Ulmus macrocarpa Improved Immune Functions in Cyclophosphamide-treated Mice)

  • 강경화;고지수;이인환;이상호;이성도;김덕원;이종환;황혜진;현숙경;김병우;김철민;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156-1163
    • /
    • 2015
  •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 Hance), 네 종류의 식물성 한방 약재의 면역증강효능을 cyclophosphamide를 처리한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은 cyclophosphamide로 면역억제를 유도한 후 네 종류의 한방 약재를 식이하여 cyclophosphamide에 의해 억제된 면역인자의 회복 여부를 조사하였다. 네 종류의 한방 약재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 추출한 후 동일한 농도로 마우스에 처리하였다. 이 중 왕느릅나무 열수 추출물(DEU-7)이 cyclophosphamide의 영향으로 면역 억제된 마우스에서 면역인자 혈중 농도를 정상치 준하는 또는 가깝게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DEU-7에 의해 비장의 무게와 비장세포수는 증가하였으나 간과 흉선과 같은 다른 장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Ex vivo 조건에서 DEU-7은 비장세포의 사멸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한 면역인자인 IL-2와 IL-4 cytokine은 면역억제로 농도가 감소되었으나 DEU-7이 약 2배와 3배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정상치의 약 1/2 수준이었다. IgM과 IgG의 농도는 cyclophosphamide 처리로 정상치의 약 1/2로 떨어졌으나, DEU-7에 의해서 정상치와 동일한 농도로 증가하였다. IL-2와 IL-4 결과에서 DEU-7은 T 림프구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되며, 또한 IgM과 IgG의 결과로서 B 림프구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선천성 면역에 중요한 면역인자인 TNF-α, IL-12과 IFN-γ 역시 cyclophosphamide에 의해 농도가 감소되었으나 DEU-7에 의해 정상치에 가깝게 회복되었다. 따라서, DEU-7은 면역 억제 또는 감소된 상태를 정상 상태로 회복 또는 유지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인진쑥 및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무항생제 닭고기 생산 연구 (Studies for Antibiotic Free Chicken Production Using Water Extracts from Artemisia capillaris and Camellia sinensis)

  • 김동욱;김지혁;강근호;강환구;박성복;박재홍;방한태;김민지;나재천;채현석;최희철;서옥석;김상호;강창원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75-988
    • /
    • 2010
  • 본 연구는 무항생제 닭고기 생산을 위한 성장촉진용 항생제를 대체할 천연생리활성물질 개발을 목표로 실험 1에서는 인진쑥 및 녹차의 추출수율, 총 페놀화합물 함량,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및 면역 활성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구명하는 한편, 실험 2에서는 이들 추출물을 육계에 음수 급여하여 생산성, 조직 및 소장의 변화, 장내 미생물 균총, 혈액 특성 및 비장 cytokines mRNA 발현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진쑥 및 녹차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각각 16.8%, 26.5% 이었으며,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15.28 및 26.74 GE mg/mL이었다. 또한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활성 및 닭의 splenocyte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DPPH radical을 50% 감소시키는 농도인 $SC_{50}$은 각각 0.30 mg, 0.06 mg으로 나타냈으며, 유해균 3종(E. coli, S. aureus, S. Typhimurium)에 대해 항균 활성은 인진쑥 추출물이 33.7%, 21.6%, 28.5%, 녹차 추출물이 52.3%, 42.1%, 45.6%의 성장 저해율을 나타냈다. 닭의 splenocyte 증식에도 효과가 나타냈는데, 특히 인진쑥 추출물은 2.5 ${\mu}L$, 5.0 ${\mu}L$ 농도에서 림프구분열촉진인자로 알려진 Echinacea 및 concanavalin A보다 우수한 세포 증식도를 보였다. 실험 1에서 항산화, 항균 및 면역조절효과가 확인된 인진쑥, 녹차 추출물을 육계에 음수 급여한 결과, 인진쑥, 녹차 추출물 처리구가 무항생제 대조구(NC)에 비해 종료체중 및 증체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맹장 내 Salmonella 수에서는 무항생제 대조구(NC)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혈액 생화학 조성에 있어서는 인진쑥, 녹차 추출물 처리시 총콜레스테롤, 간 및 신장의 이상 측정 지표인 AST 및 ALT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본 연구를 통해 인진쑥 및 녹차 추출물의 생리활성효과를 구명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은 육계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유해균의 성장 및 증식을 억제시켜 장내 미생물 균총 안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조직 발달 및 혈액 성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항생제 대체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카드뮴이 BALB/c 마우스의 면역반응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1. 세포성 면역반응 (Effect of cadmium on immune responses and enzyme activities of BALB/c mice 1. Cellular immune responses)

  • 윤창용;김태중;송희종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43-552
    • /
    • 1995
  • 카드뮴이 BALC/c 마우스의 세포성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여러 농도의 카드뮴이 첨가된 음료를 장기간 동안 자유급식하고, 비장내 T helper 및 T suppressor cell의 분포도, 복강대식세포의 탐식능 및 시험관내에서 Con-A 및 LPS에 대한 비장세포의 증식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군의 6주간 체중 증가율은 대조군이 27.0%이었으며, 25, 50, 100 및 200ppm $CdCl_2$, 투여군의 체중증가율은 각각 28.54%, 28.31%, 20.49% 및 18.04%로 나타났다. 2. 체중당 비장무게(mg/g)는 대조군이 $4.34{\pm}0.23$이었으며, 25, 50, 100 및 200ppm $CdCl_2$, 투여군은 각각 $4.20{\pm}0.54$, $4.80{\pm}0.87$, $4.25{\pm}0.32$$4.40{\pm}0.32$이었다. 또한 총비장세포수(${\times}10^7$)는 대조군($24.29{\pm}5.98$)에 비해 25, 50, 100 및 200ppm $CdCl_2$, 투여군에서 각각 14.1%, 35.7%, 16.6% 및 22.0%증가하였다. 3. 총 $CD_4{^+}$ 세포수(${\times}10^7$)는 대조군이 $9.15{\pm}2.24$, 25, 50, 100 및 200ppm $CdCl_2$, 투여군은 각각 $10.40{\pm}2.04$, $12.04{\pm}3.08$, $10.20{\pm}3.16$$10.80{\pm}1.48$ 이었으며, 총 $CD_8{^+}$ 세포수(${\times}10^7$)는 대조군이 $2.32{\pm}0.56$, 각 실험군의 총세포수는 $2.54{\pm}0.27$, $3.12{\pm}0.80$, $2.25{\pm}0.70$$2.24{\pm}0.28$ 이었다. 한편, $CD_4{^+}/CD_8{^+}$ 비율은 50ppm 투여군($3.88{\pm}0.01$)을 제외하고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3.97{\pm}0.02$)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4. 카드뮴 처리군의 SRBC에 대한 복강대식세포의 탐식능은 25 및 50ppm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및 p<0.01), 100 및 200ppm 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5. 시험관에서의 Con-A 및 LPS에 대한 비장림프구 증식반응은 LPS의 경우 카드뮴 농도에 비례하여 억제되었으나 Con-A에 대한 증식반응은 저농도($10^{-7}-10^{-6}M$)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 6. $CdCl_2$에 대한 비장세포의 세독독성은 $10^{-4}M$에서 특히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카드뮴이 세포성면역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T세포 아군의 분포도를 변화시키므로써 면역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정통탕(定痛湯)이 콜라젠으로 유도한 관절염 동물 병태 모델에 미치는 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JTT on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Mice)

  • 조종철;구영선;김동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9-49
    • /
    • 2007
  • Rheumatoid arthritis is an autoimmune disease involving multiple joint. In order to access the suppressive effects of JTT on rheumatoid arthritis and it's effects on immune system we investigated whether JTT could suppress the disease progression of collagen-induced arthritis. DBA/1 mice were immunized with bovine type II collagen. After a second collagen immunization, mice were treated with DW, JTT (200 or 400 mg/kg) or methotrexate (MTX, 30 mg/kg) as a positive control. Oral administration of JTT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progression of CIA, which extend is comparable to that of MTX.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led that JTT inhibite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to affected paw joint and bone erosion and cartilage destruction were greatly reduced compared with control. Total cell number of spleen, lymph node and peripheral blood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e absolute number of CD19$^+$, CD3$^+$/CD69$^+$, CD4$^+$/CD25$^+$ cell in spleen from JTT treated mic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bsolute number of CD19$^+$, CD3$^+$, CD3$^+$/CD69$^+$, CD4$^+$, CD4$^+$/CD25$^+$ CD8$^+$, CD49b, CD3/CD49b cells in draining lymph nod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of JTT treated mice, the absolute number of CD4$^+$, CD4$^+$/CD25$^+$, CD3$^+$/CD69$^+$ cel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while that of CD49b$^+$ was slightly increased. Infiltration of CD3$^+$ cells and CD11b$^+$/Gr-1$^+$ cells into paw join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JTT treated mice. The levels of pathologic cytokines including TNF-a and IL-6 in seru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oral treatment with JTT The levels of IFN-g in the culture supernatant of splenocyte stimulated with CD3$^+$/CD28$^+$ or collagen were dramatically decreased, while the levels of IL-4 was increased under CD3$^+$/CD28$^+$ or collagen stimulation. Rheumatoid factors including IgG, IgM and collagen specific antibody were present much lower in the serum of JTT treated mice than control. Taken together, JTT has suppressive effects on rheumatoid arthritis by modulating immune system, and has potential to use anti-rheumatic arthritic agent in human.

백작약 조다당분획에 의한 B 세포 증식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 cell proliferation by polysaccharide fraction of Paeonia japonica miyabe)

  • 박혜란;함연호;이성태;백상기;조성기
    • IMMUNE NETWORK
    • /
    • 제1권2호
    • /
    • pp.126-134
    • /
    • 2001
  • Background : Paeonia japonica Miyabe is a medicinal plant which has been widely used as a component of blood-building decoctions (Chinese medicinal concept : Bu-Xie). The immunopharma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xtract of Paeonia japonica (PJ) were investigated. Methods : The effects of fractions of PJ extract on lymphocyte proliferation were measured by $H^3$-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The proliferated lymphocyte subsets were analyzed in flow cytometry. The subset cell populations of spleen cells were separated by magnetic cell separation system, and their proliferation by the extract wer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extract on antibody production was determined in mice challenged with sheep red blood cells (SRBC) using hemolytic plaque forming cell assay. Results : Spleen cells were proliferated by water extract of PJ. Polysaccharide fraction (PJ-P) of the extract was most active in the proliferation. It was found in flow cytometry that the lymphocyte subset proliferated by PJ-P was B cell population. Among the separated subset cell populations, T cell-depleted cell population and macrophage-depleted cell population were most proliferated by PJ-P. However, positively selected populations of B cells and T cells were not proliferated by PJ-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 cell proliferation by PJ-P may require the assistance of macrophages or T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rstly PJ-P may stimulate macrophages or T cells, and then B cells are activated. The number of antibody-secreting cells was increased by administration of PJ-P in mice immunized with SRBC as a T-dependent antigen.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crophages and accessory cells are directly activated by PJ-P and then helper T cells and B cells are indirectly activated. As the results, immune responses might be coordinately improved. In conclusion, PJ-P, a polysaccharide of P. japonica, may be a characteristic immunostimulator, which is analogous to polysaccharides such as lentinan, PSK and ginsan.

  • PDF

마우스세포를 이용한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의 병용 처리에 따른 면역활성 효과 (Immunological Synergistic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with Herbal Preparation (HemoHIM) and Red Ginseng Extracts)

  • 변명우;변의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82-190
    • /
    • 2015
  • 본 연구는 홍삼추출물(홍삼단)과 생약복합추출물(헤모힘)이 주요 기능성분은 다르지만 면역활성이라는 생리활성 측면에서 동일한 효과를 인정하고 있어서 이들의 병용 처리가 면역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면역활성능에 관한 평가를 진행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골수에서 분리한 미분화 골수세포를 선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로 분화시킨 후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을 병용 처리하였을 때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의 세포 증식능 및 사이토카인의 분비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활성화된 탐식(면역)세포의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CD80과 CD86의 발현과 탐식(면역)세포의 항원제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 조직적합성 복합체(MHC class II)의 발현이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의 병용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후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 T 세포가 다량으로 분포하는 비장 조직으로부터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을 병용처리하였을 때 세포 증식능 및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Th1 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함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 추출물의 병용 처리는 선천면역뿐만 아니라 후천면역에 관여하는 다양한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직 간접적으로 다양한 상승작용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꿀벌 꽃가루 열수 추출물의 수지상 세포 활성화 및 Th1 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ee pollen extract on activation of dendritic cells and induction of Th1 immune response)

  • 조은지;김이은;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44-450
    • /
    • 2018
  • 본 연구는 꿀벌 꽃가루 추출물(BPW)의 면역 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선천면역계의 대표적인 수지상세포와 후천면역계의 대표적인 비장세포에 BPW를 처리 하여 면역세포의 활성능을 관찰하였다. 수지상 세포에 BPW를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 산화질소(II)와 사이토카인($TNF-{\alpha}$, IL-6과 $IL-1{\beta}$) 분비능과 세포 표면분자를 관찰 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수지상 세포에 BPW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독성을 일으키지 않았으며 주요 면역 활성 인자인 산화질소(II) 분비능을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이토카인의 분비능을 관찰한 결과, $TNF-{\alpha}$, IL-6과 $IL-1{\beta}$의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활성화된 면역세포의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CD80과 CD86의 발현과 항원제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MHC class I, II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후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 T 세포가 다량 분포하는 지라 세포를 분리하여 BPW를 처리 하였을 때 Th1 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BPW는 선천면역뿐만 아니라 후천면역에 관여하는 다양한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Murine AIDS 감염쥐 splenocytes에서 $NF-{\kappa}B$의 활성화 억제를 통한 pycnogenol의 Th2 cytokines의 mRNA 발현 조절 효과 (Pycnogenol, a Standardized Extract of French Maritime Pine Bark, Inhibited the Transcriptional Expression of Th2 Cytokines by Suppressing $NF-{\kappa}B$ Activation in Primary Splenocytes of C57BL/6 Mice with Murine AIDS)

  • 이정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29-834
    • /
    • 2006
  • HIV 감염 후 AIDS로의 진행과정에서 cytokines의 변화는 필수적인 결과로서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AIDS 동물모델을 사용하여 Pyc Cytokines발현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 매개체로서 $NF-{\kappa}B$의 관련성 및 작용 기작 확인에 초점을 두었다. LP-BM5 retrovirus에 감염된 C57BL/6 생쥐를 이용하여12주간에 걸친 실험에서Pyc 투여는 Th1과 Th2 cytokines의 혈중농도를 조절하여 murine AIDS로의 진행을 억제하는 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Th2 cytokines의 mRNA 발현을 억제함에 따라 Th1 cytokines의 혈중농도는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Pyc가 Th2 cytokines을 선택적으로 transcription level에서 조절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Th2 cytokines mRNA 발현 조절은 $NF-{\kappa}B$의 활성화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AIDS 동물모델에서 $NF-{\kappa}B$의 조절을 통한 cytokines의 발현 조절의 가능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Pyc의 역할에 대해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향후 murine AIDS 진행 억제제로서의 Pyc의 기작에 대한 일면을 보인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