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irodela polyrhiza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6초

영산강 수계의 배후습지인 우습제에 서식하는 식생분포와 특성 (Vegetation Distribution and Phytosociological Character of Useupje (Backswamp) in the Youngsan River Basin)

  • 정현기;임정철;최병기
    • 생태와환경
    • /
    • 제50권1호
    • /
    • pp.157-168
    • /
    • 2017
  • 배후습지는 범람에 의해 고운 입자가 퇴적된 범람원으로 일반적으로 추이대의 성격을 지니며, 다양한 생태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영산강 배후습지인 우습제의 식생다양성과 자연성평가를 통한 습지의 생태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우습제의 식생은 서식처의 종조성에 따라 4개 상관형의 14개 단위식생으로 분류되었다. 부유식생에는 개구리밥군락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이 출현하였고 부엽식생에는 마름군락 (Trapa bispinosa var. inumai community), 연꽃-마름군락 (Trapa bispinosa var. inumai-Nelumbo nucifera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정수식생의 진연안대에는 물참새피군락 (Paspalum distichum community), 고마리군락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갈풀군집 (Phalaridetum arundinaceae)이 확인되었고 추수대에는 줄-매자기군집 (Scirpo fluviarilis-Zizanietum latifoliae), 애기부들군락 (Typha angustata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조간대에는 큰고랭이군집 (Scirpetum tabernaemontani), 갈대군집 (Phragmitetum australis)이 확인되었고 중수위권의 습지추이대지역에서는 버드나무-이삭사초군락 (Carex dimorpholepis-Salix subfragilis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우습제 식생분포결과에 따르면, 식생분포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로서 습지 내 수위변화가 주요 요인으로 고려된다. 우습제의 단위식생 평가결과는 식생자연도에 따라 대부분 III 등급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넓은 면적에서 다양한 고유식생 분포가 확인되었고 인접한 습지가 존재하지 않는 지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지역생태계에 기여하는 생태학적 가치는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우포늪에서 번식하는 물꿩의 서식지 이용 특성 고찰 (Characteristics of Habitat Use of Pheasant-tailed Jacana Hydrophasianus chirurgus in Upo Wetland)

  • 백충렬;김태성;이정현;이자연;양병국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7-192
    • /
    • 2014
  • 이 연구는 2013년 6월부터 8월까지 우포늪에서 번식하는 물꿩 Hydrophasianus chirurgus의 서식지 이용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물꿩의 개체군 관리를 위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함이다. 연구기간 중 둥지는 총 4개가 관찰되었으며, 둥지의 위치는 수변으로부터 $56.2{\pm}16.37m$에 있었다. 물꿩의 둥지는 모두 가시연꽃(Euryale ferox) 위에 만드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둥지재료는 생이가래(Salvinia natans),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붕어마름 (Ceratophyllum demersum), 자라풀(Hydrocharis duvia) 등의 수생식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식활동에 가장 큰 방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인간의 간섭인 것으로 나타났고, 방해 시 알을 옮기는 행동이 관찰되었다. 관찰된 4개의 둥지 중 2개의 둥지에서 알을 옮기는 행동이 관찰되었으며, 약 1~2m 정도 옮긴 것을 확인하였다. 우포늪은 가시연꽃 군락이 넓게 분포하고 있고, 수심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매년 우포늪을 찾아오는 물꿩의 수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에는 우리나라를 찾는 물꿩의 수가 적어 관리 계획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나, 최근 들어 규칙적으로 도래하고 있고, 개체수도 증가하는 추세라 개체군 관리를 위한 방안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fluene of aquatic macrophytes on the interactions among aquatic organisms in shallow wetlands (Upo Wetland, South Korea)

  • Jeong, Keon-Young;Choi, Jong-Yun;Jeong, Kwang-Seu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4호
    • /
    • pp.185-194
    • /
    • 2014
  • Seasonal monitoring was implement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macrophyte bed structure on the composition and trophic interaction of aquatic organisms (algae, zooplankton, macro-invertebrate, and fish) in a shallow wetland (Upo Wetland, South Korea). Distinct division of the plant assemblage (reed zone and mixed plant zone) was observed. The reed zone was composed solely of Phragmites communis, whereas the mixed plant zone comprised a diverse macrophyte assemblage (Salvinia natans, Spirodela polyrhiza, Trapa japonica, Ceratophyllum demersum, and Hydrilla verticillata). Most of the aquatic organisms were more abundant in the mixed plant zone than in the reed zone, and thi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seasonal development of macrophyte cover. Stable isotope analysis showed seasonal interactions among aquatic organisms. The majority of aquatic animal (zooplankton, Odonata, and Ephemeroptera) were dependent on epiphytic particulate organic matter (EPOM), and the dependence on EPOM gradually increased toward autumn. Interestingly, Lepomis macrochirus consumed Ephemeroptera and zooplankton in both macrophyte zones, but Micropterus salmoides depended on different food items in the reed zone and the mixed plant zone. Although, M. salmoides in the reed zone showed food utilization similar to L. macrochirus, it consumed Odonata or small L. macrochirus in the mixed plant zone. Based on these results, it appears that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of the two macrophyte zones support different assemblages of aquatic organisms, strongly influencing the trophic interactions between the aquatic organisms.

신안군 임자도의 관속수생식물의 식생에 관한 연구 (Study of vascular hydrophyte vegetation in Imjado, Shinangun, Korea)

  • 양효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37
    • /
    • 2008
  • 신안군 임자도의 습지에 서식하고 있는 수생식물군락과 생산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25개지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수식물은 갈대군락, 애기부들군락, 털물참새피군락, 나도겨풀군락, 흑삼릉군락, 미나리군락, 물피군락, 골풀군락, 사마귀풀군락 및 고마리군락, 부엽식물은 마름군락, 부유식물은 좀개구리밥군락과 개구리밥군락, 침수식물은 물수세미군락 및 가래군락으로 총 15개 군락이 식별되었다. 임자도의 수생관속식물군락 중 흑삼릉군락의 출현이 특이하다.

  • PDF

Streptococcus sobrinus KCOM 1157에 대한 약용식물들의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s extracts against Streptococcus sobrinus KCOM 1157)

  • 음진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79-286
    • /
    • 2020
  • 치아우식증 치료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왔던 20종류의 약용식물로부터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treptococcus sobrinus KCOM 1157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들을 조사하였다. 감초, 고삼, 황련, 박하, 송절, 부평초 등의 추출물들이 S. sobrinus KCOM 1157에 대해서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 중 송절, 고삼, 황련 등의 천연물들은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은 송절, 고삼, 황련의 천연물들이 S. sobrinus 를 포함한 구강질환 세균들에 대한 항우식증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신평천(임실), 추령천(정읍) 일대의 식물상 및 식생 단면도 (Vegetation Sectional View and Flora in the Sinpyeong Stream (Imsil), Churyeong Stream (Jeongeup))

  • 오현경;변무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9-81
    • /
    • 2011
  • The flora of the Sinpyeong and Churyeong stream were listed 324 taxa; 87 families, 227 genera, 289 species, 1 subspecies, 31 varieties and 3 forms. The Sinpyeong stream were 249 taxa and Churyeong stream were 221 taxa. Based on the rare plants (IUCN) by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were recorded; Penthorum chinense (Crassulaceae), etc. and endemic plants, 6 taxa; Weigela subsessilis (Caprifoliaceae), Lycoris flavescens (Amarylidaceae), etc. Based on the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12 taxa (3.7% of all 324 taxa of flora); Monochoria korsakowi (Pontederiaceae), etc. in class III. 10 taxa (Salix glandulosa (Salicaceae), Ulmus parvifolia (Ulmaceae), Impatiens noli-tangere (Balsaminaceae),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Tiliaceae), Nymphoides peltata (Gentianaceae), Actinostemma lobatum (Cucurbitaceae), Cirsium pendulum (Compositae), Microstegium japonicum (Gramineae), etc.) in class I. Based on the naturalized plants, 51 taxa and ecosystem disturbing wild plants, 6 taxa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Aster pilosus, Ambrosia artemisiaefolia, Hypochaeris radicata, Paspalum distichum var. distichum) and naturalization rate was 15.7% of all 324 taxa of flora, urbanization index was 18.8% of all 271 taxa of naturalized plants. Based on the hydrophytes, 23 taxa and emergent hydrophytes were 17 taxa, floating-leaved hydrophytes were 3 taxa, submergent hydrophytes were 2 taxa, free-floating hydrophytes was Spirodela polyrhiza.

대구지방 하천의 수질특성과 수생물에 미치는 영향 비교 (Compazrison of Water Qualities and Biotic Effects of Three River Waters in Taegu Area)

  • Lyu, Seung-Won;Seung-Dal Song
    • 환경위생공학
    • /
    • 제5권1호
    • /
    • pp.7-13
    • /
    • 1990
  • 대구지방의 중요 하천인 낙동강, 금호강 및 신천을 대상으로 이들간의 수질차이와 홍수 전(8월24일)과 후(9월8일)의 수질차이를 비교하는 한편, 각 하천수가 Spirodela polyhiza Shleiden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홍수 전의 화학 성분 농도는 대부분 금호강과 신천이 서로 유사하며(COD, 19.6~21.4; alkalinity, 177~183; ${NH_4}^{+},\; 20.7~24.4;\;{NO_3}^{-}\;39~4.3;\;{PO_4}^{3-},\;3.4~3.7;Ca^{2+},\;68.5~69.7;\;Mg^{2+},\;42;\;Cl^{-},\;90~92;SiO_2, \;10.4~11.2;\;{SO_4}^{2-},\;11~32;\;LAS,\;3.0~3.8;\;Cr^{3+,6+}$, 0.007~0.010ppm), 낙동강에 비해 훨씬 높았다.(${NH_4}^{+},\;{SO_4}^{2-},\;{PO_4}^{3-}$ 및 LAS는 30~40배 : COD, alkalinity,${NO_3}^{+},\;Mg^{2+},\;Cl^{-}$$Cr^{3+,6+}$은 2~5배). 특히 금호강은 다른 하천과는 달리 Secchi disk transparency가 극히 낮고(17cm), DO가 검출되지 않았다. Phytoplankton 군집의 general diversity index($\bar{H}$)는 낙동강, 금호강 및 신천이 각각 3.1, 2.7 및 1.6으로 신천의 오염도가 가장 높았다. 홍수기 후에는 특히 다음과 같은 성분이 증가하였다.(낙동강-${NH_4}^{+},1.0;\;{NO_3}^{-},9.6;\;SiO_2,\;12.8;\;{SO_4}^{2-}\;5.4ppm$; 금호강 DO, 1.0;${NO_2}^{-},\;0.92;\;{NO_3}^{-},\;22.2;{SiO_2},\;17.6ppm$; 신천-DO, 3.0;${NO_2}^{-},\;1.4;\;{NO_3}^{-},\;22.2;{SiO_2},\;19.2;{SO_4}^{2-}\;25ppm$). S.polyrhiza의 생육은 금호강수에서 가장 왕성한 반면(최대 RGR, 26%/day), 금호강수에서는 배양 7일째 생장이 중지되었고, 배양 11일째의 total chlorophy 일 함량은 낙동, 금호 및 신천수에서 각각 1.04, 1.88 및 1.25mg/g frond였다. 이들 하천수에 함유된 LAS(0.1~3.8ppm), $Cd^{2+}$(0~0.02ppm) 및 $Cr^{6+}$(0.004~0.010ppm)은 이 식물의 생육을 크게 저해하지 않았다.

  • PDF

여름철 얕은 저수지의 중앙과 연안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서식지 선택 (Habitats Selection of Zooplankton between Pelagic and Littoral Zone in Shallow Reservoirs in Summer)

  • 정현기;서정관;이혜진;이원철;이재관
    • 환경생물
    • /
    • 제28권4호
    • /
    • pp.188-19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의 농업용수로 활용되는 수심이 낮은 4개 저수지의 중앙과 연안에서 서식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을 조사하였다. 4개 지역의 조사기간 동안 평균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저수지 중앙에서 $477.5{\pm}312.4$ ind. $L^{-1}$로 높게 조사되었고, 저수지 중앙과 연안을 비교 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ig. 3, t=2.337, p<0.05). 대부분 우점한 분류군은 소형 윤충류로 지역간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저수지 내 이화학요인 결과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연안에서 수생식물의 밀도가 증가하면 동물플랑크톤도 연안에서 높은 밀도를 보인다. 하지만 4개 저수지의 여름철 수생식물 분포는 지역간 차이를 보이며 얕은 저수지의 전 수면을 Trapa japonica, Spirodela polyrhiza 등 부유식물이나 부엽식물 등으로 뒤덮는 경우 동물플랑크톤 밀도는 저수지 연안(littoral)과 비교 시 중앙(pelagic)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저수지 중앙과 연안의 동물플랑크톤 서식지 선택에 있어 수생식물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된다. 그리고 수생식물의 높은 밀도로 인해서 항상 연안의 동물플랑크톤밀도가 증가하지는 않는다. 게다가 전 수면을 수생식물이 덮을 경우 저수지 중앙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크게 증가한다. 결론적으로 저수지 내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포식압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수생식물 분포에 영향을 받으며 요각류나 지각류 보다 윤충류에서 크게 차이를 보인다.

낙동강 상류 한천 일대의 하천변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Riverside Vegetation around Hanchon an Upper Stream of Nak-tong River)

  • Song, Jong-Suk;Seung-Dal S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5호
    • /
    • pp.431-451
    • /
    • 1996
  • The present studwas undertaken to classify and describe the riverside vegetation around Hanchon (36°27’-36°51’N, 128°15’-128°37’E), a tributary in the upper stream area of Nak-tong River, South Korea by methods of the ZM school of phytosociology. As a result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twenty three associations and communities belonging to ten classes. Reflecting various human impacts in the past, the associations and communities of the Artemisietea principis were most plentiful there. The vegetation uni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A. forest vegetation A-1 Fagetea crenatae:Zelkova serrata community, Larix leptolepis community; B. Shrub vegetation B-1 Salicetea sachalinensis:Salicetum gracilistylae, Salicetum graciliglandis assoc. nov., B-2 Rosetea sachalinensis:Salicetum gracilistylae, Salicetum graciliglandis assoc. nov., B-2 Rosetea multiflorae:Stephanandra incisa community, Lycium chinense community; C. Grassland vegetation C-1 Lemnetea minoris:Spirodela polyrhiza-Lemna paucicostata community, C-2 Bidentetea tripartiti:Polygonetum thunbergii, Polygonetum sieboldii-hydropiperis, Panico Polygonetum hydropiperis, Pharagmitetea :Oenantho- Phalaridetum arundinaceae, Phragmitetum japonicae, Miscanthetum sacchariflori, Phragmites australis community, C-4 Artemisietea principis:Artemisia princeps community, Impatiens textori community, Lactuco indicae-Humuletum japonicae, Pueraria lobata-Humulus japonicus community, Pennisetum alopecuroides community, C-5 chenopodietea:Echinochloa crus-galli var. orizicola community, Digitaria adsecendens community, Polygonum nodosum community, C-6 Miscanthetea sinensis: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C-7 Plantaginetea:Eragrotis multicaulis-Plantago asiatica community. It is inferred that the endemic vegetation units in the riverside vegetation of Korea are very rare, because most of the vegetation uni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are common with those of Japan. Among the above vegetation units, the Salicetum graciliglandis was established as a new association. On the other hand, the associations and communities of classes characterizing the riverside vegetation increased with a decrease of human impacts from the downstream to the upstream in Hanchon, while the number of the naturalized plants was the reverse. Also based on the present phytosociological work, the relation between the vegetation units and their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restoration ecology and nature conservation of the riverside vegetation were discussed here in detail.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약용식물 성분의 선택적 추출 (Selective Extraction of Cytotoxic Substances from Medicinal Plant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최영해;박은정;김영림;진영원;전성호;정승남;유기풍;김진웅
    • 생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9-64
    • /
    • 1999
  •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technique was applied to extract cytotoxic substances from five medicinal plants including Angelica gigas, Angelica acutiloba, Aralia cordata, Spirodela polyrhiza, Bupleurum falcatum, and Acanthopanax sessiliflorus. The cytotoxicities against P388, A549, and HL-60 cell lines were determined for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s of five plant materials employed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extracts such as n-hexane, $CHCl_{3}$, and MeOH to evaluate the SFE as an alternative method to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extraction. In most cases, the SFE extracts of plant materials showed enhanced cytotoxicities when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organic solvent extracts. In addition,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ressure of SFE for extraction of the cytotoxic substances were largely affected by both the plant species and the cell lines test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FE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method for the selective extraction of cytotoxic compounds from pl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