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irits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4초

이조말통신제도의 역사적 고찰 (A Historical Study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Later Part of the Lee-Dynasty)

  • 신상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8-17
    • /
    • 1978
  • The later part of the Lee-Dynasty was a period that marked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the modern communication system in our country. This paper proposes to research the historic process of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odern communication system in that period through the communication administrative organ and the installation of the wire communication lines such as wastward lines, southward lines and northward lines extended from Han Seung (Seoul) as well as the submarine cables from Korea to Japan. The moderniz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n our country had been achieved in the struggle of national uprising spirits of Korean people against the invasive avarices of the neighbouring nations such as Japan and China. The initiation of the modern communication system played a leading role in civilizing our country. Thus the fair spirits of our forerunners who had schemed to develop the independent communication system should be valued enormously.

  • PDF

21 세기 수·해양교육의 새로운 지표(指標) 설정에 의한 발전방향 (The Development Object by the Establishment of New Index of Marine and Fisheries Education in 21st Century)

  • 이길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123-141
    • /
    • 2000
  • Facing to millenium, The new development of maritime and Fisheries education schemes will be cultivated in order to challenge global maritime nations as the new target of marine education which was established new index and problems of maritime education in place. First, The index of Marine and Fisheries education of 21st century was aimed at the spirits of expansion of territories of the era of ambassador of Jang Bo Go Sylla dynasty where marine trade had been prevailed between sylla and china leading to the spirits of marine pioneer in the northeastern Asian regions. and we must maintain the great desire and frontier spirities toward the marine industry also, adjust to the development and frontier spirits. Secondly, In order to cultivate the prominent man power for the marine industry, the government shall be specialized for the agency of marine education system, expand the educational installation, reforms the content of curriculum, to be adjust the global education system, also, enlarge the scholarship for the student, exemption tuition fees, installed the dormitory for the student, professors and teachers engaging in this parts have to lead the students with the pride and confidence and must provided the chance of job after he had completed for their on boarding life. Thirdly, for the secure responsible officer, the authorities has a schedules for enlarging the chance of studying and training also have to accumulate the practical experience and should enforce the retraining to the prof's and teachers also improve the leaders quality,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prof's and teachers will be elevated with the gaining of education philosophy and special treatment by the authorities. Fourth, to receive the positively marine industry educational system. First of all, have to provide the cooperation of industries and academy and they satisfy their job and change the their way of thinking and should notify the importance of government strategical industry by the mass-media system. Against the new marine era, we must participate the marine industry positively, have to elevate the culture of mankind and also, have provide the basement of prominent man-power for the marine industry in future.

  • PDF

한국의 민속주에 관한 고찰(II) -전라도.경상도.제주도 지방을 중심으로- (Study on Traditional Folk Wine of Korea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Chulla-do, Kyungsang-do and Cheju-do-)

  • 윤숙자;박덕훈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55-367
    • /
    • 1994
  •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nature of the traditional Korean wines brewed throughout the Southern Region of Korea-Chulla-do, Kyungsang-do and Cheju-do describing their varieties and brewing methods and also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ir features. When compared with the wines produced in the Central Region, the Southern varieties are very fastidious and complex in their brewing methods, which in turn show a wide range of diversity. First of all, all the 29 kinds of wines investigated, not a single one shows any resemblance to any one of the remaining, each exhibiting peculiar and particular characteristic features of its own. Especially, the distilling methods demonstrate very complex processes. Secondly, the majority of the Southern spirits are made from grains, added with fragrant flavor of pine tree, wormwood, chrysanthemum leaves and other medicine herbs such as Chinese matrimony vine and tankui. Thirdly, they are brewed with yeast made from wheat into kodupap(steamed rice) type of spirits, emerging as in the form of blended liquor. Fourthly, in brewing, different fermenting temperature and duration are required. Typewise, the temperature required for the basic spirit is $15{\sim}20^{\circ}C\;or\;25{\sim}30^{\circ}C$ : in the case of blended secondarily fermented liquor, from the minimum of $0{\sim}5^{\circ}C$ to the maximum of $75{\sim}80^{\circ}C$. The brewing duration is $3{\sim}5$ days for the basic spirits. In some cases, from the minimum of 3 days to the maximum of 100 days are consumed for fermenting. Fifthly, the wine extraction gadgets are yongsu (wine strainer), the sieve, filter paper, Korean traditional paper, the utilization of which implies that the brewers endeavor to observe and preserve the traditional and indigenous methods of wine making.

  • PDF

지역주민의 관광개발태도에 따른 공동체 의식과 관광개발 지지도 복합차이연구 (A Study on complex Differences of Community Spirits and Tourism Development Supports based on Segemented Groups of Residents' Attitude of Tourism Development)

  • 송래헌;윤유식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3호
    • /
    • pp.213-22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를 세분화하여 이에 대한 지역공동체와 관광개발의 지지도에 차이가 나타나는 가를 분석하고 각 세분집단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자료는 대전지역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표본수 358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를 군집분석을 통하여 세분화를 시도한 결과, 관광개발에 대한 긍적적인 집단, 관광개발에 대한 부정적인 집단, 조건적 관광개발 태도집단으로 세분화할 수 있었고 지역공동체의식과 관광개발지지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MAN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광개발의 긍정적인 태도는 지역공동체의 의식과 관광개발에 대한 지지도가 높다는 것을 제시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한민족과 퉁구스민족의 가신신앙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House Spirit Belief between the Tungus and Korea)

  • 김인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7권
    • /
    • pp.243-266
    • /
    • 2004
  • 필자는 2003년 7월 6일부터 2003년 7월 24일까지 중국 동북의 소수민족을 답사하였다. 답사 대상 민족은 허저족(赫哲族), 다우얼족(達斡爾族), 어룬춘족(顎倫春族), 어원커족(顎溫克族), 몽골족이었으며 답사지역은 헤이롱지성(黑龍江省)과 내몽골의 동북부 지역이었다. 본 고에서 연구대상으로 하는 민족은 퉁구스계 민족인 허저족, 어룬춘족, 어원커족이다. 그동안 한국의 청동기인을 형성한 것으로 인식되어온 퉁구스는 고고학적, 역사학적, 언어학적 증거로 볼 때 한민족과는 별개의 민족임을 알 수 있다. 물론 구체적인 결론은 각 분야의 학자들의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진 후에야 증명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 까지 이루어진 연구성과로 볼 때 한민족의 족원을 퉁구스에서 찾기는 어려울 듯하다. 퉁구스의 가신신앙과 한국의 가신신앙을 비교연구한 결과 마루신앙, 조왕신앙, 삼신신앙에 있어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원인으로는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하나는 전파나 접촉이고 다른 하나는 이주에 의한 결과이다. 전파나 접촉은 퉁구스와 한민족이 역사적으로 매우 근접한 거리에 거주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고 이주는 고구려, 부여 등의 멸망으로 인한 유이민에 의한 것이다. 퉁구스와 한민족의 가신신앙은 위에서 언급한 공통점과 함께 차이점도 보인다. 첫째, 한민족의 가신신앙은 농경을 기반으로 형성된 것으로 정착형의 가옥에 집의 안과 밖을 구분하는 성속(聖俗)관념이 발달하였으나 퉁구스민족은 이동식의 주거인 시에런주(xierenzhu)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집에 대한 성속관념이 한국보다는 약하다. 둘째, 한국의 가신은 신의 성격이 분명하며 신의 기능에 따라 모셔지는 장소가 다르다. 퉁구스의 경우 모든 가신이 마루(malu)에 모셔지며 일부는 가신이 아닌 신들이 모셔지기도 한다. 셋째 한국의 가신은 성주를 중심으로 가족을 이루고 있다. 퉁구스의 가신들 사이에 이러한 가족관계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한국의 가신신앙을 중국과 비교할 때 가장 큰 특징이라면 성주신앙을 중심으로 혈연관계를 맺으며 단단히 결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중국의 가신신앙에서 성주는 강태공이나 치우로 한국과는 구분되며 중국의 가신들은 혈연관계를 맺고 있지도 않다. 한국의 가신신앙 중 측간신이나 조왕신의 일부 내용은 중국 한족과 관련을 맺고 있으나 언어학에서 문법이 그러 하듯 가신신앙의 기본 구조는 중국과 다르다. 이러한 견고한 틀을 형성하고 있는 한국의 가신신앙 중 마루, 조왕, 삼신이 퉁구스민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한국 가신신앙에 퉁구스적 요소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대순사상의 생명관과 인생관 (Views on Life and Humanity in Daesoon Thought)

  • 최치봉
    • 대순사상논총
    • /
    • 제33집
    • /
    • pp.319-349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세계만물과 생명 그리고 인간에 대해 단계적으로 언급함과 동시에 리·기·신에 대한 개념을 통해 대순사상에서의 생명관과 인생관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기존에 연구된 대순사상의 생명관, 죽음관, 인생관을 대순사상의 원전과 검토하여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는 한편, 성리학의 본체론 및 발생론과 비교하여 대순사상에서의 특질을 밝히고자 한다. 전개에 있어 II장에서는 만물과 생명의 본원으로서 대순, 태극의 주재로서 상제, 만물의 구성을 논하였고, III장에서는 생명의 발생과 신과의 관계, 생명을 구성하는 생리와 생기, 생명의 목적을 언급하였으며, IV장에서는 생명의 한 범주인 인간과 이러한 인간이 삼계에서 가지는 존재론적 위상과 인생의 목적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생명에 관한 논의에 앞서, 태극과 상제를 대순의 개념으로 아울러 상정하고 이를 생명의 근원인 본체가 됨을 언급하였다. 개개 생물은 리·기·신을 통해 그 구조를 설명하였다. 또한 생리와 생기를 통해 그 생명의 속성과, 상제지심인 인을 구현하는 것으로 생명의 목적을 말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 기존의 생명에 대한 담론과 가장 차이나는 부분은 기존에 신을 생명 그 자체로 여겨 생명유무의 범주로 귀속시킨 것에 반하여, 기능과 작용적 측면의 본체로서 신을 상정하여, 존재를 그 존재로서 지속시키는 작용의 본체로 보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논의는 대순사상이 비록 성리학의 본체론과 발생론에 있어 유사성이 있지만, 신의 개념에 있어서 태극을 주재하는 인격적 상제를 상정하고 개개사물에 있어 리를 구현하는 신명들의 존재를 부각시킨다는 점에서 사상적 독창성을 언급한 것이다. 인간도 생물과 마찬가지로 생리와 생기를 갖추어 태어나며, 인간안의 내재신은 기를 주관하는 주체로서 작용한다. 인간은 세계를 구성하는 삼계의 한축을 담당하며 세계에 있어 중요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한 대순사상에서 인간의 존귀성이 잘 드러나는 것은 하늘과 땅에 이어서 인간에 신이 봉해진다는 '신봉어인(神封於人)'의 개념이다. 이는 진멸지경의 인간을 천지가 요구하는 인간으로 고쳐 쓰기 위함으로, 궁극적으로 신인조화를 통해 신봉어인의 시대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인간에 있어 이러한 가능성은 마음에 신대를 가지고 있음으로 가능한 것이다. 수도에 있어 인간과 외재신과의 소통과 조화(調化)는 인간의 체질과 성격의 변화를 유도함이라고 볼 수 있지만 종국에는 그 인간의 기국에 알맞은 신명을 봉하기 위함이다. 상제의 명과 선령신의 공 그리고 천지의 기를 통해 인간은 태어났다. 인존시대와 천운구인시대를 맞이한 현 시대의 인간은 천지에 쓰임에 기여하기 위함을 인생의 목적으로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간에게 가장 요구되는 것은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자신의 성리를 온전히 실현하는 것이다. 자신의 성리를 실현함은 사회적으로 볼 때 남에게 덕을 베푸는 것으로 이는 상제의 천명인 생생지리를 구현함이다. 나와 타물, 나와 타인 그리고 인간과 신명사이의 상생은 해원상생과 보은상생으로 완성되며, 이렇게 자신의 본성을 지극히 하여 온전히 드러낼 때 심령에 통하게 되고, 인존의 경지에 오르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