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rmatid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6초

해산 송사리 Oryzias dancena의 초기 생식소 형성 및 성분화 (Early Gonadogenesis and Sex Differentiation of a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Beloniformes; Teleostei))

  • 송하연;남윤권;방인철;김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1-148
    • /
    • 2009
  • Oryzias dancena를 해양생태계 위해성 평가를 위한 해양 생물모델로 연구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초기 성분화와 생식소 발달 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원시생식세포가 처음 관찰된 시기는 수정 후 5일째이고, 수정 후 9일째에 장과 앞신장관 사이의 생식소 형성 부근으로 이동한 것이 관찰되었다. 부화 후 12일째의 생식소는 암 수로 분화가 이루어졌다. 부화 후 28일째 난소에서는 주변인기의 난모세포가 관찰되었으며, 28일째의 정소에서는 정소 소관의 수와 정원세포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산란은 부화 후 9주째에 이루어졌으며, 이 시기의 난소에서는 난황과립이 난 전체에 형성되는 성숙난과 배란 직후 성숙난이 빠져나간 흔적이 관찰되었다. 수컷 생식소에서 역시 많은 수의 정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사정 직후 정자가 빠져나간 부분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 본 종은 초기 성분화 과정에 자성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정소와 난소로 분화하는 분화형 자웅이체에 속한다.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와 컴퓨터 프로그램의 융합적 연구를 통한 비수리(Lespedeza cuneata. G. don)의 생리적 변화에 따른 유용 유전자 분리 (Isolation of Gene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Lespedeza cuneata. G don by the Convergence Study using a Computer Program and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 안철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31-38
    • /
    • 2017
  • 본 연구는 콩과 식물인 비수리의 유용유전자를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와 분자생물학의 융합적인 연구를 통해 분리하고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비수리는 자원식물이지만 많은 유용물질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항당뇨 기능을 하는 D-pinitol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비수리에서 D-piniol의 생합성에 관련된 유전자가 분리 되지 않았다. 비수리에 비생물학적 스트레스(가뭄)를 처리하고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같이 total RNA를 추출한 후에 library를 만들어 NGS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D-pinitol 생합성에 관련된 유전자들을 분리하여 in silico 상에서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Blas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D-pinitol 생함성에 관여하는 ononitol epimerase를 확인하였고 in vitro 상에서도 RT-PCR을 통해 유전자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함으로써 융합적 연구를 통해 유전자를 찾고 분리하여 발현양상을 확인하였다.

생쥐 정소에서 C-terminal Src kinase (Csk) 발현과 Src kinase 활성의 조절

  • 계명찬;최진국;안현수;김영수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66-66
    • /
    • 2003
  • Protein tyrosine kinases는 표적단백질의 tyrosine 잔기를 인산화하는 효소로서 다양한 종류의 성장인자, peptide 호르몬, cytokine 수용체 하위의 세포 내 신호전달에 관여한다. Non-receptor tyrosine kinase의 일종인 c-Src는 세포막에서 발생한 ligand-receptor 상호작용 하위의 신호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C-terminal Src kinase (Csk)는 Src kinase의 C-terminal tyrosine 잔기를 인산화시켜 Src kinase의 활성을 저해한다. 이러한 Src-Csk loop를 통한 세포 내 신호전달과정은 세포의 증식과 분화, 사멸 조절에 중요한 기능을 갖지만 정소의 발생과 분화 과정에서 Src-Csk loop의 발현 및 정자형성 과정에서의 기능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 정소에서 출생 후 성적 성숙과정에서 Csk의 발현과 Src kinase 활성의 변동을 조사하였다. Csk mRNA 발현은 생 후 2주령 이하의 미성숙 정소에서 다량으로 발현되었고 사춘기 정소 이후에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Csk 단백질의 발현 양상은 mRNA 발현양상과 일치하였다. c-Src kinase 활성은 생 후 2주에 급격히 증가하고 이 후 4주령에서 감소하다가 성체 (8주령)에서 다시 증가하여 가장 높았다. 성체 조직의 Csk 단백질 현존량이 미성숙 개체보다 적은 반면 Src kinase 활성은 가장 높아 Csk 발현의 감소는 Src kinase 활성을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정소 조직 내 Csk의 발현양상을 조사한 결과 Leydig cell, Sertoli cell, germ cell 등 도처에서 발현되었으며 Sertoli cell 에서의 발현은 세정관 상피의 구성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성체의 세정관 내에서는 감수분열 이후의 정세포(spermatid)를 감싸고 있는 Sertoli cell의 강소측에서 강한 Csk 활성이 검출되어 생식세포의 분화과정 동안 세정관 상피의 조직재구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Leydig cell에서의 발현은 생후 1주령까지는 미미하였으나 이후 2주령 이후에는 다량으로 발현함이 확인되어 adult type Leydig cell에서 진행되는 steroidogenesis와의 관련성을 추측할 수 있다. 미성숙 정소로부터 분리한 Sertoli cell-enriched culture에 200 nM testosterone을 처리하였을 때 Csk mRNA의 발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androgen에 의한 Sertoli cell의 분화과정에 Csk가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성적 성숙에 따른 생쥐 정소 내 Src-Csk loop의 발현과 Src kinase 활성의 변동은 정소 내 간충조직, 세정관 상피의 증식 및 기능적 분화 과정을 매개하는 생리적 활성분자 수용체 하위의 신호전달 과정에 Src-Csk loop에 의한 조절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미성숙 돼지 정조세포 배양에 미치는 배양액, 배양온도 및 공배양 효과 (Effect of Culture Medium, Temperature and Coculture on Culture of Immature Porcine Spermatogonia Cells)

  • 김현종;조상래;최선호;한만희;손동수;류일선;김인철;이장희;김일화;임경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41
    • /
    • 2005
  • 본 연구는 가축유전자원의 효율적 보존을 위해 정조세포를 줄기세포 형태로 장기보관하면서 필요에 따라 증식, 분화를 통해 가축의 복원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로 진행되었다. 정조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한 결과 배양온도는 다른 세포들과는 달리 $32^{\circ}C$에 세포분열이 활발하였으며, TCM199에 $10\%$ FCS를 첨가한 배양액과 세르톨리세포 공배양으로 정조세포의 배양을 지지하였다. 40일령이 지나면서 정조세포 콜로니 즉 germline stem cells를 형성하였으며, 일부에서는 외형상 ES-like cells를 형성하거나, 세정관 형태로 정조세포들이 재구성되었다. 40일령까지 배양한 상태에서는 정조세포의 정모세포나 정자세포로 분화하는 징후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추후 이들 세포로 분화를 유기하는 실험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벤조피렌의 급성독성 수준에 따른 관리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benzo[a]pyrene according to the Level of Acute Toxicity)

  • 김미나;이승길;이용식;조삼래;김덕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3-159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LD_{50}$ of benzo[a]pyrene to decide the possibility to designate them as toxic substance on the Act on the Registration and Evaluation, etc. of Chemical Substances, and to suggest that they should be managed in what level on the Chemical Control Act. Methods: Based on the result of a preliminary study, 300 mg/kg was set as the middle dose. A highest dose of 2,000 mg/kg and a lowest dose of 50 mg/kg were selected based on the OECD TG 423. Benzo[a]pyrene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to female and male SD rats at dose levels of 50, 300, 2,000 mg/kg (body weight). All animals were monitored daily for clinical signs and mortality over 14 days. Also testicular spermatid count, motility and etc. were examined as well. Results: Under the condition of this experiment, $LD_{50}$ of benzo[a]pyrene was assumed to be >2,000 mg/kg. In the lesion according to autopsy, there were no specific symptoms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At 2,000 mg/kg, a decrease in the sperm motility was observed. Benzo[a]pyrene should be designated to be toxic substance as the material assumed to be reproduction-toxicity on the Act on the Registration and Evaluation, etc. of Chemicals. Therefore we should abide by legal procedures determined by Chemicals Control Act in treating it. Conclusion: Considering the significant result that sperm mot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ferior to that in the reference group, we suggest that benzo[a]pyrene be designated as a toxic substance.

대복, Gomphina veneriformis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 미세구조 (Spermatogenesis and Sperm Ultrastructure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 박채규;박정준;이정용;이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303-310
    • /
    • 2002
  • 우리나라 동해안에 가장 많이 서식하는 조개류인 대복의 정소구조와 정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복의 정소는 소성결합조직으로 구성된 다수의 정자형성 소낭을 가진다. 동일한 정자형성 소낭 내에서는 여러 단계의 생식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정원세포들은 정자형성 소낭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커다란 핵과 뚜렷한 인을 가진다. 정모세포에서는 연접사복합체와 골기체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세포의 핵은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상의 염색질로 구성되며, 정자변태과정 동안에 핵의 응축 및 첨체와 편모의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정소 내에서 완숙 정자들은 다발을 형성하고 있으며, 두부, 중편, 미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두부의 길이는 약 $8.5{\mu}m$로, 첨체부와 핵 부위로 구분된다. 첨체는 길이 약 $1.1{\mu}m$의 총알형태였다. 두부와 첨체 사이에서는 미세섬유로 구성된 첨체기둥이 확인되었다. 중편에는 4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며, 꼬리의 횡단면은 "9+2"의 구조를 나타냈다.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웅성생식세포 발달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le Germ Cell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eleostei: Pleuronectidae))

  • 김재원;김봉석;최철영;이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3호
    • /
    • pp.243-250
    • /
    • 2003
  • 넙치의 웅성생식세포의 발달과 정자 구조를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곡정세관의 각 소낭내의 생식상피에서는 분열 증식중인 정원세포군이 염기성 염료에 미약하게 반응하기 시작한다. 정소조직의 계속적인 발달로 각 소낭내에는 분열증식중인 정모세포군을 관찰할 수 있다. 이후 소엽내강에는 상당수의 초기 정세포를 관찰할 수 있으며, 더욱 더 발달된 변태된 정자를 볼 수 있다.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에서 간기의 정원세포는 세포질이 미약한 반면, 커다란 핵과 뚜렷한 인을 가진다. 제1정모세포의 핵내에서는 연접사 복합체 (synaptonemal complex)가 뚜렷하고 세포질내에서는 세포소기관이 증가한다. 제2정모세포의 핵질은 응축되어 높은 전자밀도를 나타낸다. 정세포는 세포질과 핵질이 응축되면서 타원형의 형태를 취하고, 미토콘드리아는 핵의 후방으로 위치한다. 변태를 마친 정자는 두부와 미부로 구성되며 무첨체형이다. 두부 후방에서는 cytoplasmic collar는 6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진다. 미부에서는 axonemal lateral fin을 관찰할 수 있다. 미부 편모 축사의 횡단면은 "9+2"의 미세소관 구조를 나타낸다.

포유동물 난자의 유성 및 무성 발생과정 동안 핵 및 세포질의 변화 (Nuclear and Cytoplasmic Dynamics in Mammalian Oocytes during Sexual and Asexual Developments)

  • Kim, Nam-Hyu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7-12
    • /
    • 2000
  • 수정에 의한 배 발생은 정자가 난자 내로 침입하여 정자와 난자의 반수체 핵질이 융합되고 이어 유사분열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하지만 수정 및 초기 배 발생 동안 자웅 핵질과 난 세포질 구성 요소 상호간의 작용기전에 관해서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 부분이 많다. 수정보조기법인 세포질 내 정자 직접 주입법의 개발은 남성불임치료에 혁신적인 기술로 자리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포유동물의 수정과정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핵치환에 의한 복제동물 생산기법도 분화된 핵이 난 세포질 내에서 재 분화 (reprogramming)하여 발생하는 유일한 과정으로 세포질 구성요소들의 상호작용과 발생 조절 기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최근 몇 년간 돼지 난자 세포질에 정자 및 원형정자 직접주입, 세포질 이식, 세포질 융합 및 핵치환 한 후 난자의 발생과정을 간접 면역형광 분석법과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체외수정, 세포질 이식 및 정자직접 주입법 등과 같은 임상치료기술 과 핵치환에 의한 복제동물생산 기법의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었고, 포유동물 난자의 후생적 발생과정 (epigenesis)에 관해 공부할 수 있었다.

  • PDF

Expression of Luteinizing Hormone (LH) Subunit Genes in Mouse Testis

  • Kim, Hee Soo;Lee, Su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3호
    • /
    • pp.327-333
    • /
    • 2017
  • Gonadotropins are heterodimers consisting an alpha chain ($Cg{\alpha}$) and a beta chain. Interestingly, presence of complicated $LH-{\beta}$ transcripts in rat testis was accidently found; testicular $LH-{\beta}$ transcripts were confined in seminiferous tubules to spermatids, and the translated products were localized in the elongated spermatids. We hypothesized that mouse testis has potential to produce the tissue specific $LH-{\beta}$ with similar structure to the rat testicular forms. To verify our hypothesis, we examined the adult mouse (ICR) testis using RT-PCR and immunohistochemistry. The PCR revealed the presence of the identical products in the reactions for three LH subunit types. The expected product sizes for mouse $Cg{\alpha}$ and $LH-{\beta}$ known as pituitary type were 224 bp and 503 bp, respectively. The testicular type $LH-{\beta}$ products were produced by a primer set based on the rat sequences, with unexpected size of 800 bp. Sequencing revealed that the proximal and distal parts (2-82 and 661- 773 bp, respectively) were homologous to rat testicular $LH-{\beta}$ cDNA, and middle part (83-660 bp) was a unique mouse-specific region. Both $Cg{\alpha}$ and $LH-{\beta}$ positive signals were in the round and elongated spermatids and mature sperms, and the $LH-{\beta}$ signals were more intense. In 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resence and localization of the LH subunits in mouse testi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understand the precise structure and function of mouse testicular LH.

Expression of Novel Genes Related to Germ Cell in Chicken

  • Zheng, Ying-Hui;Kim, Duk-Kyung;Lee, Sang-In;Choi, Jin-Won;Kim, Sun-Young;Kang, Seok-Jin;Park, Kyung-Je;Kim, Tae-Hyun;Kim, Hee-Bal;Han, Jae-Yong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6년도 제23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82-83
    • /
    • 2006
  • 생식 세포는 한 세대의 유전 정보를 다음세대에 전달할 수 있는 유일한 세포로서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기능 유전체 연구를 통해서 새로운 유전자의 기능을 규명함으로써 그 유전자의 생물학적 의미와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생식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를 발굴하여 그 유전자가 생식세포의 발달과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real-time quantitative RT-PCR 기법을 이용하여 정소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5개(AGE1, AGE2, AGE3, AGE4, AGE5)를 선발하였고, in situ hybridization 실험을 통하여 정소 조직 내에서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AGE1, AGE2는 round spermatid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AGE3, AGE4, AGE5는 spermatocyte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발굴한 유전자들은 닭의 생식선발달에 중요한 기능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앞으로 닭의 유전육종분야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