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rm tail development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8초

대복, Gomphina veneriformis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 미세구조 (Spermatogenesis and Sperm Ultrastructure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 박채규;박정준;이정용;이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303-310
    • /
    • 2002
  • 우리나라 동해안에 가장 많이 서식하는 조개류인 대복의 정소구조와 정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복의 정소는 소성결합조직으로 구성된 다수의 정자형성 소낭을 가진다. 동일한 정자형성 소낭 내에서는 여러 단계의 생식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정원세포들은 정자형성 소낭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커다란 핵과 뚜렷한 인을 가진다. 정모세포에서는 연접사복합체와 골기체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세포의 핵은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상의 염색질로 구성되며, 정자변태과정 동안에 핵의 응축 및 첨체와 편모의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정소 내에서 완숙 정자들은 다발을 형성하고 있으며, 두부, 중편, 미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두부의 길이는 약 $8.5{\mu}m$로, 첨체부와 핵 부위로 구분된다. 첨체는 길이 약 $1.1{\mu}m$의 총알형태였다. 두부와 첨체 사이에서는 미세섬유로 구성된 첨체기둥이 확인되었다. 중편에는 4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며, 꼬리의 횡단면은 "9+2"의 구조를 나타냈다.

Seminiferous Epithelium Cycle in the Korea Squirrel, Tamias sibiricus

  • Jung Tae-Dong;Lee Jung-H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75-283
    • /
    • 2004
  • The annual changes in testis weight and diameter of seminiferous tubules, and the seminiferous epithelium cycle of Tamias sibiricus were studied by light microscope. Testis weight and diameter of seminiferous tubule a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January to July, and decreased rapidly to the size from August to December. Spermatogenesis occurs from January to July, and spermatocytogenesis are produced from August to December. The cycle of the seminiferous epithelium was divided into 12 stages during the development of spermatids as a changes of the nucleus and acrosomal structure, presence and/or absence of residual body, appearance and/or absence of sperm tail and meiotic figure and spermiation. The dark type spermatogonia (Ad) are appeared in all stages (I ~ XII), and the spermatids of step 10 are observed at I, II, X and XII stages. The spermatids of step 11 are appeared in III and IV stages, only the step 12 spermatid observed in V stage.

  • PDF

Development of Sperm MTT Assay for Its Application in Boar Semen

  • Jang, Hyun-Yong;Lee, Hee-Young;Cheong, Hee-Tae;Kim, Jong-Taek;Park, In-Chul;Park, Choon-Keun;Yang, Boo-Keun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29-235
    • /
    • 2010
  • The MTT assay is one of superior evaluation methods widely used to analyze the viability of metabolically active cell. I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percentage of viable sperm through measurement of the reduction of MTT granules at mitochondria in sperm tai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 of a simple and easy MTT assay to validate boar sperm viability and compare the accuracy of this test with microscopic examination. The MTT reduction rate for sperm viability were analyzed in microtiter plates (96 well) from 1 hr to 5 hr incubation periods at $37^{\circ}C$ using spectrophotometer (microplate reader) at 550 nm wavelength. The remainder of semen sample was simultaneously examined to compare the correlation of accuracy between MTT assay and other sperm parameters. Those sperm parameters were included the motility, survival rates, membrane integrity, mitochondria activity and acrosome integrity. The OD values of MTT assay (MTT reduction rates) did not greatly change at 1 hr to 5 hr incubation periods in different proportion of live and freeze-killed sperms (dead sperm). The MTT reduction rates or survival rates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ncentration of live and dead sperm. The linear regression at 1 hr and 4 hr incubation periods in sperm MTT assay was y=291.55x-72.176 and y= 180.64x-44.569, respectively. There are high correlation between 1 hr and 4 hr incubation periods (p<0.001). The results of MTT assay and other sperm parameters has a positive correlation (p<0.01 or 0.05).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MTT assay was 0.88115 for motility, 0.89868 for survival rates, 0.91722 for membrane integrity and 0.77372 for acrosome integrity,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MTT assay can be used as a reliable and efficient evaluation method for boar sperm viability. It can be use practical means to evaluate the quality of boar sperm by a fast, inexpensive and easy method.

망간 노출이 흰쥐의 정소기능과 혈청 프로락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nganese Exposure on the Testis Function and Serum Prolactin Concentration in Rat)

  • 이채관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4호
    • /
    • pp.321-327
    • /
    • 2009
  • 망간은 정소 독성을 나타내며, 뇌기저핵에 작용하여 혈청 프로락틴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혈청 프로락틴 농도 상승에 의한 과프로락틴혈증(hyperprolactinemia)은 정소의 정자 생성을 억제한다. 본 연구에서는 망간의 전신 노출이 흰쥐 정소의 정자 생산과 혈청 프로락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대조군 $(0.0mg/m^3)$과 망간 노출군 (Mn $1.5mg/m^3$)으로 나누고, 노출군은 다시 노출 기간에 따라 4주와 13주 노출군 등 4군으로 분류하였다(n=10). 노출 기간에 따라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와 사료 섭취량 등 일반적 소견 관찰, 혈액과 정소의 망간 농도, 정자의 수와 기형 등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망간 노출에 따른 혈청 프로락틴 농도를 조사하여 망간 노출 조건에 따른 혈청 프로락틴 농도 변화 및 정소 독성을 조사하였다. 망간 노출 4주 및 13주군에서 노출기간에 따라 혈액 및 정소의 망간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대조군에 비하여 망간 노출군에서 노출기간에 따라 정자의 수가 감소되었으며, small head와 bent tail 등 기형 정자의 빈도는 증가하였다. 혈청 프로락틴의 농도는 망간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 및 사료 섭취량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1.5mg/m^3$ 농도의 아만성 망간 노출은 흰쥐의 혈청 프로락틴 농도를 증가시키고, 정소 독성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전신 노출에 의한 망간의 흰쥐 정소 독성의 무유해영향농도(NOAEL)는 $1.5mg/m^3$ 이하로 예측된다.

  • PDF

Hoechst 33258 Staining을 이용한 웅성 생쥐 성세포의 간편 분류 (Simple Classification of Male Mouse Germ Cells using Hoechst 33258 Staining)

  • 김경국;박영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3-218
    • /
    • 2015
  • In the study for a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spermatogonial cells, the researchers should commonly require a simple, fast and reasonable method that could evaluate the developmental stage of male germ cells without any damage and also relentlessly culture them so far as a cell stage aiming at experimental applications. For developing the efficient method to identify the stage of sperm cell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rm cells were investigated by staining the cells with blue fluorescent dye Hoechst 33258, and a criterion for male germ cell classification was elicited from results of the previous investigation, then the efficiency of the criterion was verified by applying it to assort the germ cells recovered from male mice in age from 6 to 35 days. A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permatogonia significantly differed from spermatocytes in size, appearance and fluorescent patches of nucleus, and spermatids could also be distinguished from spermatozoa by making a difference in the volume and shape of nucleus and the shape and fluorescence of tail. Aforesaid criterion was applicable for classifying in vitro cultured sperm cells by verifying its efficiency and propriety for assorting the stages of testicular germ cells. However, the fluorescent staining showed that germ cells in mouse testis should be dramatically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at 21 days and 35 days of age, which were known as times of sexual puberty and maturity in male mice,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is simple criterion for sperm cell classification using fluorescence staining with Hoechst 33258 may be highly efficient and reasonable for spermatogenesis study.

경골어류 난태생 송사리과에 속하는 black molly와 sailfin molly의 정자형성과정 (Spermatogenesis of Black Molly and Sailfin Molly (Poeciliidae, Teleostei))

  • 유승준;김동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3호
    • /
    • pp.169-176
    • /
    • 2010
  • 난태생어류인 성숙한 블랙몰리(black molly, Poecilia sphenops)와 세일핀몰리(sailfin molly, Poecilia latipinna)의 정소를 적출하여 정자형성과정과 정자의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정소는 부레와 창자사이에 위치하고 있었고 장축 7 mm, 단축 2 mm 정도의 크기로 흰색을 띠고 있었다. 두 종 모두 정자형성 과정은 정소낭(testicular cyst)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정소낭 내에 동일한 분화시기의 생식세포가 분포하고 있었다. 제1정모세포는 타원형으로 관찰되었으며, 핵과 세포질의 전자밀도는 다른 생식 세포들에 비해서 매우 낮았고 미토콘드리아는 핵막주위에 분포하고 있었다. 제2감수분열 전기의 태사기에 나타나는 태기사복합체(synaptonemal complex)들이 확인되는 경우도 있었다. 두 종 모두 제2정모세포는 구형으로 정원세포보다 크기는 작았고 인은 발달되어 있지 않았으며, 핵의 전자밀도는 더 높아졌다. 특히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질 전체에 분포하고 있었고 정세포가 정자로 발달하는 정자완성과정시기에 편모가 형성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이미 제2정모 세포시기에 편모형성이 관찰되었다. 정자의 중편부위를 횡단한 결과 미토콘드리아는 2~4개 정도로 관찰되었고 편모의 미세소관 배열은 전형적인 두 종 모두 9+2 구조를 이루고 있었고 편모에 lateral fin이 발견되었다. 성숙한 정자의 두부형태는 구형인 정세포와 달리 장원추형이었으며 염색질 응축이 매우 뚜렷하였고, 두부에서 첨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중편부의 미토콘드리아는 두 종 모두 8~10개가 종렬로 위치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두 종의 정자형성과정과 정자의 형태는 같으며 이런 특징은 난태생 송사리과 어류의 공통적인 특성으로 생각된다.

한국산 물윗수염박쥐(Myotis daubentonii ussuriensis)의 정자변태 (Spermiogenesis in the Korean Daubenton's Bat(Myotis daubentonii ussuriensis))

  • 손성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권1호
    • /
    • pp.9-24
    • /
    • 1997
  •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spermiogenesis of the Korean eastern Daubenton's bat, Myotis daubentonii ussuriensis, the testis obtained from mature male bats was studi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were based on the variety and diagnostic characters of cell organell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differentiation of the cell organells, the spermiogenesis of the Korean eastern Daubenton's bat, M. d. ussuriensis, was divided into Golg, cap, acrosome, maturation and spermiation phases. Besides, these Golgi, cap, acrosome, and maturation phase were subdivided into the steps of early and late phases repectively and matruation phase was subdivided into step of early, mid and late phases. Therfore, the spermiogenesisof M. d. ussuriensis has been divided into a total of 11 phases. The chromatin granules began to condense at the early cap phase, regularized at the acrosome phase, and a perfect nucleus of sperm was formed at the maturation phase. The chromatoid body was occurred in the upper cytoplasm of nucleus at the early Golgi phase, and it was accurred the posterior cytoplasm of the nucleus at the early maturatio phase. The formation of sperm tail began to be develop in the early golgi phase, and completed at the spermiation phase. The fiber structure of middle piece was consisted of nine outer doublets and two central singlet microtubules and Nos. 1, 5, 6 and 9 in the outer dense were larger than the others(2, 3, 4, 7, 8).

  • PDF

수컷 살조개, Protothaca (Notochione) jedoensis (Bivalvia: Veneridae)의 정자형성과정 중 생식세포 분화와 성숙정자의 미세구조적 특징 (Germ Cell Differentiations during Spermatogenesis and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ature Sperms in Male Protothaca (Notochione) jedoensis (Bivalvia: Veneridae))

  • 김진희;박영제;이기영;최문술;서원재;정의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4권4호
    • /
    • pp.269-279
    • /
    • 2010
  • 본 연구는 수컷 살조개 Protothaca (Notochione) yessoensis의 정자 형성 과정 중 생식세포들의 분화와 성숙정자의 미세구조 특징에 관한 몇 가지 특징을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본 종의 정자형태는 원시형(primitive type)으로, 이매패강, 이치아강(Heterodonta)에 속하는 다른 종들과 유사하다. 생식세포에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는 보조세포들은 생식세포들의 발달을 위해 영양공급에 관여한다. 본 종의 정자의 핵형은 긴 원통형이며 첨체의 형태는 모자모양이다. 정자는 길이가 대략 $46{\sim}50{\mu}m$이며, 길다란 정핵(길이 약 $2.44{\mu}m$)과, 첨체(길이 $0.45{\mu}m$), 그리고 미부 편모(약 $42{\sim}46{\mu}m$)로 이루어져 있다. 미부 편모의 악소님(axoneme)은 9+2 구조를 나타낸다. 첨체소포의 특징으로써 basal ring의 기저부위에서 측면부위는 전자밀도가 불투명한 부위를 나타내나, 첨체소포의 앞쪽 정단부위는 전자밀도가 비교적 투명한 부위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이것이 이치아강에 속하는 백합과와 또 다른 여러 과들에 속하는 종들의 정자들이 갖는 첨체소포의 공통특징이다. 따라서 이치아강이 갖는 이들 첨체소포가 갖는 공통특징은 분류의 key 또는 중요한 도구로써 계통 분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정자 중편에 있는 미토콘드리아 수는 4개로 이치아강 내에서 백합과의 3종을 제외한 모든 종들과 다른 과들의 종들에서 공통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예외로, 개조개, 백합, 가무락조개 만은 중편의 미토콘드리아가 5개로 이루어져 있다. 미토콘드리아 수는 과나 또는 상과 수준에서 종들의 분류학적 분석을 할 경우, 분류 key 또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경골어류 잉어과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의 정자형성과정 (The Spermatogenesis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Cyprinidae, Teleostei)

  • 김동희;이규재;김석;등영건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3호
    • /
    • pp.227-236
    • /
    • 2009
  • 경골어류 잉어과 모래무지아과에 속하는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의 정자형성과정과 정자의 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쉬리의 정소는 부레와 창자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고 장축 1.8 cm, 단축 3 mm 정도의 크기로 어두운 흰색을 띠고 있었다. 정자형성과정은 정소낭(testicular cyst)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정소낭 내에서 다양한 분화시기의 생식세포가 분포하고 있었으나 번식기인 5월에는 정소의 상부는 다양한 분화시기의 생식세포와 정자가 하부에는 성숙한 정자만 관찰되었다. 정원세포는 전자밀도가 매우 낮고 미토콘드리아의 발달이 현저하였다. 제1정모세포는 원형으로 정원세포보다 크기가 작았고 제2정모세포는 제1정모세포보다 더 작아졌고 핵의 전자밀도는 더 높았다. 정세포의 초기발달시기에는 세포의 크기가 정모세포보다 작아졌고 두부의 전자밀도가 높아졌으며 편모가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미토콘드리아는 핵 주변에 분포하였다. 정자완성과정 말기에는 핵의 염색질 응축이 뚜렷하였으며 핵은 세포질 한쪽에 치우쳐 있었고, 미토콘드리아는 편모 주변에 집중되었다. 완전히 성숙한 정자의 경우 두부형태는 구형이었고 두부에서 첨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편모의 미세소관 배열은 9+2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편모 양쪽으로 lateral fin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7개의 조대원섬유가 발견되었다.

꺽지(Coreoperca herzi)의 정자형성 (Spermatogenesis of Coreoperca herzi (Perciformes; Percichthyidae))

  • 계명찬
    • 생태와환경
    • /
    • 제35권3호통권99호
    • /
    • pp.232-236
    • /
    • 2002
  • 한국산 꺽지 번식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정소 및 정자의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2001년 5월부터 10월에 걸쳐 북한강 지류인 수입천 지역에 서식하는 꺽지(Corecperca herzi)를 채집하여 분석하였다. 정소는 흰색을 띄며 쐐기모양을 하고 복강의 등쪽에 좌우 균등하게 발달하였다. 동일한 정자형성 단계에 있는 생식세포들이소낭세포에 싸여 발달하며 여러 개가 모여 소엽구조를 형성한다. 각 소엽은 여러 개의 소낭들로 구성되며 소낭들은 각각 속에 들어 있는 생식세포의 정자형성 단계가 상이하였다. 정자는 길이는 43 ${\mu}$m로 둥근 형태의 두부는 2.2 ${\mu}$m 길이이며 0.5 ${\mu}$m길이의 중편이 두부 밑에 발달한다. 미부의 길이는 40 ${\mu}$m이다. omassie brilliant blue염색 결과 정자의 두부 선단에 강한 염색을 확인하였는데 첨체를 발달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