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peech rate

Search Result 1,25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변칙 사례에 대한 과학 영재 학생들의 반응에서 드러난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소집단 논변활동 탐색 (Exploring Small Group Argumentation and Epistemological Framing of Gifted Science Students as Revealed by the Analysis of Their Responses to Anomalous Data)

  • 이은주;윤선미;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19-429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논변활동에서 드러나는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을 확인하고, 소집단 구성원들의 프레이밍 사이의 상호작용이 논변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였다. 21명의 과학영재 학생들이 세 명 혹은 네 명이 한 집단을 이루어 연구에 참여하였고 학생들이 광합성 속도에 대한 탐구 데이터를 해석하는 논의 과정이 분석되었다. 학생들의 활동은 소집단별로 녹화되었고 학생들의 담화 전사본과 행동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탐구 과정에서 변칙 사례에 반응하는 학생들의 발화 및 행동을 분석하여 그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을 확인하였고 주장에 대한 정당화의 근거와 소집단 논변활동 수준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탐구에 대해 '현상 이해'와 '교실 게임'이라는 두 가지 방식의 프레이밍을 보였다. 구성원들이 '현상 이해'의 프레이밍을 보인 경우에는 다른 구성원들에게 데이터의 신뢰성과 타당성 점검을 통해 변칙 사례의 원인을 정당화할 것을 요구하였으며, 이는 높은 수준의 논변활동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구성원들이 '교실 게임'에 해당하는 프레이밍을 보인 경우에는 변칙 사례를 설명할 필요성을 인식하지 않았고, 단순한 경험적 근거만 고려함으로써 낮은 수준의 논변활동을 보였다. 논의 전반에 걸쳐 구성원들의 프레이밍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집단 내의 감정적 갈등이 유발되어 깊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편,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학생들의 프레이밍 전환이 관찰되었는데, 여기에는 집단의 리더가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학 교실에서 과학적 논변에 요구되는 생산적인 프레이밍 형성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자식별 시스템의 계산량 감소를 위한 화자 프루닝 방법 (A Speaker Pruning Method for Reducing Calculation Costs of Speaker Identification System)

  • 김민정;오세진;정호열;정현열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57-46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GMM (Gaussian Mixture Model)에 기반한 문맥독립 화자식별 시스템의 식별성능 향상과 실시간 처리를 위한 계산량 감소를 위하여 화자 프루닝 (Speaker Pruning)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화자식별 방법인 최대유사도(Maximum Likelihood) 방법과 가중모델순위 (Weighting Model Rank) 방법, 수정된 가중모델순위 (Modified WMR) 방법 등은 입력 음성 전체와 모든 화자모델들과의 유사도를 프레임 단위로 계산하여 가장 큰 누적 유사도를 가지는 화자를 식별화자로 결정하는 방법으로써, 입력 프레임 및 등록 화자수가 늘어남에 따라 계산량 및 식별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방법은 입력음성 프레임의 일부분만을 이용하여 화자모델들과의 프레임 유사도를 계산한 후 계산된 유사도를 이용하여 등록화자의 상위 일부분의 화자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화자들에서만 유사도 계산을 수행함으로서 계산량 및 식별시간을 줄이는 방법이다. 또한, 화자 프루닝을 적용할 경우 화자수가 가변 되더라도 수정된 가중모델 순위방법을 적용할 수 있어 식별성능을 높일 수 있다. 식별실험결과, 제안방법을 적용한 경우 기존의 최대 유사도 방법이나 가중모델순위 방법보다 최대 65%의 계산량 및 식별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약 2%의 향상된 식별결과를 나타내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대신호 기반의 명령어인식기를 위한 특징벡터 연구 (Effective Feature Vector for Isolated-Word Recognizer using Vocal Cord Signal)

  • 정영규;한문성;이상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3호
    • /
    • pp.226-234
    • /
    • 2007
  • 본 논문은 환경 노이즈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성대 마이크를 이용한 명령어 인식기를 개발한다. 성대마이크는 환경 노이즈의 효과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주파의 부재와 부분적인 포먼트 정보 손실 때문에, 성대마이크를 이용해서 개발된 ASR시스템은 표준마이크를 이용한 시스템에 비해 낮은 성능을 보인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ASR시스템 개발에 성대마이크를 이용한 경우는 표준 마이크로 낮은 성능을 보인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ASR시스템 개발에 성대마이크를 이용한 경우는 표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보안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본 논문은 한국어의 음운적 특정과 신호 분석을 통해 성대마이크만을 사용한 높은 성능의 ASR 시스템을 개발 할 수 있음을 보인다. 주파수 대역내 에너지 합을 이용하는 MFCC 알고리즘이 갖는 성대신호 분석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성대신호를 대상으로 보다 높은 성능을 갖는 특정추출 알고리즘의 조건을 제시한다. 이러한 조건은 (1) 민감한 band-pass filter와 (2) 유/무성음 분리를 위해 사용하는 특정벡터의 사용이다 실험 결과 제안된 조건을 만족하는 ZCPA 알고리즘을 적용한 경우가 MFCC를 적용한 경우보다 약 16%정도의 높은 성능을 보인다. 그러고 CMS와 RASTA와 같은 channel normalization 알고리즘을 적용한 경우 약 2%의 성능 향상이 있다.

궁형성대와 성대폴립 간의 음성 비교 (A Comparison of Acoustic Parameters between Vocal Fold Bowing and Vocal Fold Polyp)

  • 강영애;윤여훈;윤규철;성철재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0-46
    • /
    • 2011
  • Background and Objectives : Vocal fold bowing is an organic voice disorder that is associated with an abnormal structure of the vocal folds whereas vocal fold polyp is a functional voice disorder caused by an abnormal use of the vocal folds. Both types of vocal folds share a common property in that they make one's voice breathy or str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voice from two types of vocal folds and to offer information of clinical importance. Materials and Method: Vocal fold bowing and vocal fold polyp groups consisted of 7 male subjects, respectively. All subjects recorded /a/ in the state of measuring MPT (maximum phonation time), repeating 3 times, by a voice recorder (48 kHz sampling rate; 24 bit quantization). They answered the questions of K-VHI. Time domain parameters (such as perturbation parameters including HNR, Jitter, etc.) were calculated for the whole duration of /a/ and those of the frequency domain were measured in initial 40 ms and stable 40 ms of /a/, respectively. Mann-Whitney V-test was used for the time domain parameters and K-VHI survey,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applied to the frequency domain parameters (H1, H2, H1-H2). Results: For K-VHI survey and the time domain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wing and polyp group. For frequency domain analysis, H1 and H2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 between two groups. Vocal fold bowing group has longer duration and lower intensity than that of vocal fold polyp group in the 'aspirated interval', which could be observable prior to ordinary vowel oscillation. Conclusion: Both groups seem to show breathy voice. This could be referred on the basis of the value of H1-H2. The K-VHI survey says that subjects with vocal fold bowing feel more uncomfortable than subjects with vocal fold polyp.

  • PDF

T1a 병기 성문암의 방사선 치료 후 음성에 관한 연구 (Quantitative Analysis of Voice Quality after Radiation Therapy for Stage T1a Glottic Carcinoma)

  • 이준규;정웅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17-21
    • /
    • 2005
  • 목적 : 후두암에서 방사선 치료는 음성을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성문암의 일차적인 치료법으로 사용된다. 이에 T1a 병기 성문암에서 방사선 치료가 환자의 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조기 성문암(T1a)으로 진단 받고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 최소 1년이 지난 17명의 남자 환자들을 대상으로 객관적인 음성검사들(음향분석, 공기역학검사, 후두 스트로보스코피)을 이용하여 음성을 평가하였고, 이것을 성별과 연령을 맞춘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음향분석으로는 평균 기본주파수(Fo), jitter, shimmer, 잡음 대 조화음 비율(Noise to Harmonics Ratio)을 측정하였다. 공기역학적 검사로는 최대발성지속시간, 평균호기류율, 음강도, 성문하압, 성문저항, 성문효율, 성문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음향분석의 shimmer만이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높았다. 그 외 다른 검사나 공기역학검사에서는 두 군 간에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단지 shimmer만이 방사선 치료 환자군에서 높았기 때문에 T1a 병기 성문암에서의 방사선치료는 음성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가변 CSD 계수를 이용한 저전력 디지털 필터의 설계 (Design of a Low Power Digital Filter Using Variable Canonic Signed Digit Coefficients)

  • 김영우;유재택;김수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8권7호
    • /
    • pp.455-46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하는 디지털 필터의 저전력화를 위한 새로운 저전력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저전력 기법에서는 CSD (canonic signed digit)숫자의 유효 표현 범위를 결정하는 nonzero digit 와 ternary digit의 값에 따른 필터의 차단대역 특성 변화를 이용하여, 다단계의 필터 차단 대역 특성을 가지는 가변 CSD 계수를 얻고 이를 approximate processing 기법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저전력 필터 설계기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4개의 필터 차단대역 특성을 사용하는 AC '97 과표본화 ADC용 decimation 필터의 설계에 적용하였다. Decimation필터 중 제안된 저전력 기법을 적용한 두 half-band 필터의 연산량은 제안된 기법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각각의 근사화 수준에서 단위 출력 샘플 당 63.5, 35.7, 13.9 %의 덧셈 연산만을 수행하여 필터의 출력을 얻을 수 있었다. Decimation 필터는 0.6㎛ CMOS SOG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제작·실험하였으며, 실험결과 입력 신호의 attenuation에 따라 전체 소모전력의 약 3.8 %에서 9 %의 소모전력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가변 CSD 계수를 이용한 approximate processing 방식은 특히 음성 대역 및 오디오 대역의 신호처리와 과표본화 ADC/DAC의 decimation/interpolation과 같은 multirate 시스템에 적합하다.

  • PDF

원격 진료를 위한 실시간 생체 신호 취득, 전송 및 압축, 저장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Bio-signal Obtaining, Transmitting, Compressing and Storing System for Telemedicine)

  • 정인교;김영준;박인수;이인성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5권4호
    • /
    • pp.42-5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원격 의료 서비스를 위한 생체 신호 취득 및 전송 시스템의 실시간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ZigBee와 SIP/RTP를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 생체 신호 전송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기존의 시스템은 ZigBee기반의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ECG 및 기타 생체 신호를 수집한다. 이 때 연속된 ECG 전송에 의하여 채널이 과다하게 점유되어 ECG 이외의 생체 신호를 전송할 때 패킷의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하나의 RTP 세션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과 ECG 및 기타 생체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과중한 전송 스레드 부하와 지연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CG 전송 모듈의 채널 점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Bluetooth를 보조 전송 수단으로 사용하고 복수의 RTP 세션과 전송 스레드를 사용하여 전송지연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산 웨이블릿 리프팅과 다단계 벡터 양자화 기반의 압축 방법을 적용하여 전송 및 저장되는 ECG를 압축하여 관리하는 구조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ECG의 압축은 데이터의 전송량을 감소시켜 시스템의 실시간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시스템에 대하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실시간 전송 모듈의 프로세스 점유율을 약 20%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실제 측정한 ECG를 압축한 결과 25.6:1의 압축률에서 약 3.25%의 PRD를 가지는 효율적인 ECG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민의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의식 조사연구 (The Research of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Water Fluoridation Program for Residents of Haeundae-Gu, Busan)

  • 전은숙;이혜진;배수명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7-53
    • /
    • 2006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민의 수불사업에 대한 지식수준을 파악함과 동시에 수불사업 추진 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마련할 목적으로 2005년 8월 5일부터 20일까지 해운대구민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해운대구민이 섭취하는 식수로서는 정수한 수돗물이 42.8%, 수돗물이 31.3% 였으며, 음식 조리시 사용하는 물의 종류로서 수돗물이 48.3%, 정수한 수돗물이 35.4%로 나타났다. 2. 수불사업에 대해 인지하고 경우는 35.7%, 인지하고 있지않은 경우가 42.0%로 인지하고 있는 경우의 35.7%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22.4%로 나타났다. 3. 수불사업 목적 인지율은 충치예방이 42.0%로 가장 높았으며, 수돗물 소독이 32.2%, 수돗물 정화가 15.0% 순으로 나타났다. 4. 수불사업 시행 시 찬성여부 및 요인으로는 찬성의 경우가 78.0%로 찬성하는 이유로 51.0%가 충치예방 때문이라고 답했으며, 반대하는 경우는 22.0%로 그 이유를 38.6%가 불소가 인체에 해로워서로 나타났다. 5. 식품과 음료, 물, 공기에 불소가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인지여부에서는 인지하고 있는 경우는 21.3%로 낮게 나타났고, 인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78.7% 였으며, 연령에서는 10대의 93.5%가 식품과 음료, 물, 공기의 불소함유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6. 수불사업에 대한 안전성 인지율에서는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39.3%였고, 잘 모르겠다는 경우가 55.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불사업의 인지획득 경로별 응답률은 언론보도가 28.3%로 가장 높았다.

  • PDF

한방재활치료를 받은 뇌졸중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기능회복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Functional Recovery in Cerebrovascular Accident Patients with Rehabilitation Treatment of Oriental Medicine)

  • 김광주;이향련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권1호
    • /
    • pp.22-36
    • /
    • 1997
  • Functional recovery of cerebrovascular accident (CVA) patients were studied by examining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to evaluate the functional state of the patients at admission to and at discharge from the hospital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support.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29 CVA patients, who were admitted and received rehabilitation treatment at K Medical Center of Oriental Medicine from August 3 to December 18, 199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otal FIM score was $72.37{\pm}25.16$ at admission and $101.67{\pm}22.13$ at discharge. The difference of average score was 29.30,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paired t-test. 2) The largest difference between FIM scores at admission and at clischarge was observed in items of walking and wheel-chair riding, and the smallest clifference in items of social interaction. 3) The recovery was faster with motor function than with cognitive function, because the difference of FIM scores at admission and at discharge was much larger with motor function. 4) Recovery was better in groups under age 49 than in groups above age 70. Functional recorvery was prominent especially in groups with normal sensory state and speech functions, and groups without urinary incontinence. Recovery was less significantly in patients with paraplegic patients hospitalized longer than 2 months, patients with family all the time, and patients with CVA over 11 days. 5) We could not find any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recovery and family support. FIM scores were lower in groups of old age(r=-0.325), long stayed in hospital (r=-0.426), and long period of time after the onset of disease(r= -0.339) with a reciprocal correlation between FIM scores and these parameters. 6)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evaluate factors to affect the recovery from CVA. FIM score at admission could explain 51.2 % of the functional recovery. Important factors were periods of hospitalization, state of sensory function, age, and education (listed in decreasing order of importance). In total, they could explain 64.89% of the functional recove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unctional recovery of CVA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oriental medicine hospital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could be estimated by measuring FIM scores. Recovery was significantly better at discharge from the hospital than at admission and motor function recovery rate was much faster than that of cognitive function. 2. Recommend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recommend following further studies. 1) Comparative study of recovery of motor function and of sensory function would be necessary by measuring FIM scores once a week to evaluate the recovery of CVA patients. 2) It would be interesting to se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of functional recovery between patients treated with either western medicine or oriental medicine. 3)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recovery of CVA patients need to be studied.

  • PDF

실내공간의 부분적 개방에 따른 음향특성변화 II -확산음장과 자유음장의 수직적 결합을 중심으로-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ound Field in Partially Opened Rooms -Emphasis on Vertical Coupling of Diffuse and Free Field-)

  • 정대업;최영지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75-82
    • /
    • 2007
  • 본 연구는 지붕개폐형 구조물에서 지붕을 개폐함으로써 나타나는 음장의 특성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1/20스케일의 축소모형을 제작하고 이를 대상으로 개폐율을 조절하면서 음장변화를 측정 분석하였다. 공간의 음향설계 시 사용되는 기존의 설계 및 평가파라메타들을 검토한 결과, 잔향음의 감쇠과정이 비선형적이며 기존의 잔향감 평가파라메타인 잔향시간에 의해서 적절한 설계 및 성능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비선형적 감쇠구간에 대한 선형적 curve-fitting에 의해 실제 청감과는 거리가 먼 매우 긴 잔향시간이 도출되어 실질적인 효용성이 의심된다. 따라서 잔향시간(T30)을 음향설계 및 평가과정에서 중요설계변수로 활용 시 완공 후 얻게 되는 음장특성과 상이한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EDT의 경우 전체적으로 초기감쇠시간은 개폐율이 증가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주파수별로 저주파수대역에서의 감쇠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주파수 대역으로 갈수록 감쇠율은 둔화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명료도 관련 파라메타인 D50 또한 개폐에 따른 음장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객석부위별로는 지붕개폐면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객석에서 개폐율 증가에 따라 선형적인 감쇠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나, 직접 노출되는 객석의 경우에는 40%이상의 개폐율에서는 명료도와 잔향감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