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ech Therapy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19초

한글 파닉스 교육을 위한 초등 1-2학년 교과서 어휘 자소분석 (Textbook vocabulary analysis for Korean phonics program of 1st and 2nd graders)

  • 이다은;김혜지;신가영;설아영;배소영;김미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6년도 제28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26-230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 저학년 읽기부진아동을 위한 한글 파닉스 교육의 기반을 확립하고자 1-2학년 교과서 고빈도 어절 531개를 기반으로 자소 및 음운규칙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소-음소 일치 어절을 기반으로 하였을 때 초성에서 50번 이상 나타난 자소는 /ㄱ/, /ㄹ/, /ㄴ/, /ㅅ/, /ㅎ/, /ㅈ/이다. 중성에서 50번 이상 나타난 자소는 /ㅏ/, /ㅣ/, /ㅗ/, /ㅡ/, /ㅜ/이다. 종성에서 50번 이상 나타난 자소는 /ㄹ/, /ㄴ/, /ㅇ/이다. 자소와 음소가 불일치 된 어절을 기반으로 하였을 때 가장 많이 출현하는 음운규칙은 연음화 규칙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한글 파닉스 교육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아로마 처치가 초등학생의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oma Therapy on Speech Anxiety in Children)

  • 손진훈;이영순;장은혜;이창규;석지아
    • 감성과학
    • /
    • 제7권2호
    • /
    • pp.187-19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아로마 처치를 학교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아동들의 발표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불안이 감소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통제집단(남 20명, 여 15명), 실험집단(남 21명, 여 14명) 총 70명이고, 제시자극은 lavender barreme, lemon, orange sweet, chamomile roman의 향을 가습기를 통하여 분사하고, 자연적으로 냄새를 맡게 하였다. 처치전, 처치 1주 후 및 2주 후에 자기보고식으로 이루어진 발표불안척도(SAS)와 교사의 평가로 이루어진 발표행동평가척도(SBES)를 통하여 발표불안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아로마 처치를 받은 아동들이 그렇지 않은 아동들에 비해 유의하게 발표불안이 감소하였고, 발표행동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말더듬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적 접근 (Therapeutic Use of Music for Stuttering Children)

  • 조정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1호
    • /
    • pp.21-30
    • /
    • 2007
  • 유창성 장애의 대표적인 현상으로 전 세계적으로 학령기 아동에게서 1~4%의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주요한 언어 장애인 말더듬(stuttering)은 조음장애나 음성장애 등 다른 언어장애와는 달리 음악 구조 안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특징을 보인다. 즉, 대부분의 말을 더듬는 사람들은 노래를 부를 때는 어려움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음악 구조 안에서 드러난 유창성이 음악 외적 상황, 즉 일반 언어로 전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그동안 말더듬을 음악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인식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말더듬을 제외한 전반적인 언어 영역에서의 향상을 목표로 실행되고 있는 음악치료의 경우 음악이 언어장애에 있어서 효과적인 치료도구임이 많은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고, 이러한 음악치료의 기본 원리들을 고찰한 결과 이를 말더듬 문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다양한 음악치료 기법 중에서도 특히 멜로디 억양 기법(MIT)은 발화의 시작을 용이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언어 리듬 강화 훈련은 말더듬 아동의 깨어진 언어 형태에 리듬감을 도입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송라이팅 형식을 도입한 즉흥 가창 활동을 통해 말하기에 대한 흥미와 성공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자신감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 아동에게 위와 같은 원리를 기본으로 하는 음악 활동을 제공하여 비유창성을 감소시키되, 음악구조를 단계적으로 소거시켜 비유창성의 감소가 음악 외적 상황에서의 언어로 전이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활동이 말더듬 아동의 소극적인 의사소통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말더듬의 음악치료적 접근의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가능성은 두 가지 차원에서 검토되었다. 첫째, 비유창성의 정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말더듬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개입 전 후로 비유창성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를 측정하였고 또한 이러한 변화가 세션 단계별로 나타난 양상을 파악하였다. 둘째, 의사소통 태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의사소통 태도 검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개입 전 후의 점수를 비교하였고, 부정적인 의사소통 태도가 단적으로 보여지는 병리적인 행동인 회피 행동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이것이 세션 단계별로 나타난 빈도수를 측정하였다. 이외에도, 음악치료 프로그램 안에서 나타난 아동의 구체적인 언어 및 행동의 반응을 질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개입 전 후로 모든 아동에게서 정도의 폭은 다르나 비유창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구체적인 영역별로는 말더듬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세션 단계별로는 비유창성의 정도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변화 경향은 대상 아동마다 개별적이었다. 둘째, 음악치료 개입 전 후로 모든 아동의 의사소통 태도 검사 점수가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입 전 후로 회피 행동이 감소하였으나 세션 단계별로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등, 불규칙적인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 감소와 의사소통 태도 향상에 음악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내며, 말더듬 치료의 음악적 접근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Dynamic Palatogram을 이용한 기능적 구음장애의 언어치료가 음성 지표에 미치는 영향 (Speech Therapy for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Using the Dynamic Palatogram - improvement of lateralized /ㅅ/-)

  • 박혜숙;최홍식;김광문;신미성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9-37
    • /
    • 1994
  • We report the clinical treatment experience of a case with severe lateralization articulation disorder especially in /ㅅ/, who was treated with using a dynamic palatogram. The patient was 16-year-old male patient and he was taken several attempts of traditional speech therapy without improvement The authors tried to treat him with newly designed dynamic palatogram for two period with good results. We are going to review brief clinical experience with the patient and discuss the effectiveness and indications of the dynamic palatogram. In this study, we can summarize the effect of treatment as follows; Lateralization of the /ㅅ/ was improved markedly with using the dynamic palatogram, and we thought the improvement was achieved mainly by visual feedback control.

  • PDF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치료 프로그램이 취학 전 구순.구개열 아동의 과대비성 개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PAP Therapy Program on Hypernasality in Preschool Children with Cleft Lips and Palates)

  • 조성미;정옥란;한기환
    • 음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261-27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on the treatment of hypernasality in patients with cleft lips and palates. 7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hypernasal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Acoustic measurements of nasality were done by using the NasalView (version 1.31). Results showed that the nasalance values were reduced linearly in both vowels according to the treatment period. The sharp treatment effect was observed at the beginning stage. The nasality values of the vowel /i/ showed a sharp decrease at the Evaluation Phase 1 and 2 and a small increase at the Phase 4 followed by a drop in the end. Further studies would be desirable for various patients with different disorder types.

  • PDF

후두전적출환자의 Voice Rehabilitation에 대한보고 (The Report of Voice Rehabilitation after Total Laryngectomy)

  • 최홍식;최성희;김한수;홍진희;남지인;김세헌;김광문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5-163
    • /
    • 2002
  • Background and Objectives : Esophageal voice, Silicone voice Prosthesis with tracheo-esophageal (T-E) puncture have been used as vocal rehabilitation methods for postlaryngectomy. However, long-term follow-up in the voice rehabilitation in the total laryngectomees has not been rep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actice of postlaryngectomy voice rehabilitation and to find the effective voice rehabilitation.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 1992 until June 2002, 75 patients underwent a total laryngectomy at Yongdong Severance Hospital. We retrospectively studied voice rehabilitation methods commonly used, acquisition levels of esophageal speech, patients satisfaction scale (5 rating scale) according to the methods in 33 of them (40 died, 2 unavailable) by using charts review, telephone interview. Results : T-E speech is most commonly used by 14 patients (42.4%) : A tracheo-esophageal procedure (primary or secondary puncture) by 21 : and 8 patients removed Provox. 1 patient had no voice rehabilitation. 7 patients (21.2%) have used esophageal speech : 4 patients of them have used it after removing Provox. Electrolarynx has been used with other voice rehabilitation methods : 4 patients have only used this method and 3 patients with T-E speech, 1 patient with esophageal speech. However, 6 patients (18%) remained without a substitute voice rehabilitation. In the satisfaction with speech and management of voice rehabilitation methods, patients using esophageal speech were most satisfied (4.1), patients with T-E speech were unsatisfied (2.3). Regarding with the acquisition level of esophageal speech in 33 patients, 22 patients (66.6%) failed without functional speech. Conclusion : To increase patients satisfaction and to achieve successful voice rehabilitation after total laryngectomy, preoperative counseling, pretesting, appropriate patient selection of each method and team decision-making and postoperative voice therapy must be considered.

  • PDF

구개인두부전증 환자의 한국어 음성 코퍼스 구축 방안 연구 (Research on Construction of the Korean Speech Corpus in Patient with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 이지은;김욱은;김광현;성명훈;권택균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
    • 제55권8호
    • /
    • pp.498-507
    • /
    • 2012
  • Background and Objectives We aim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VPI) speech corpus system. Subjects and Method After developing a 3-channel simultaneous speech recording device capable of recording nasal/oral and normal compound speech separately, voice data were collected from VPI patients aged more than 10 years with/without the history of operation or prior speech therapy. This was compared to a control group for which VPI was simulated by using a french-3 nelaton tube inserted via both nostril through nasopharynx and pulling the soft palate anteriorly in varying degrees. The study consisted of three transcriptors: a speech therapist transcribed the voice file into text, a second transcriptor graded speech intelligibility and severity and the third tagged the types and onset times of misarticulation. The database were composed of three main tables regarding (1) speaker's demographics, (2) condition of the recording system and (3) transcripts. All of these were interfaced with the Praat voice analysis program, which enables the user to extract exact transcribed phrases for analysis. Results In the simulated VPI group, the higher the severity of VPI, the higher the nasalance score was obtained. In addition, we could verify the vocal energy that characterizes hypernasality and compensation in nasal/oral and compound sounds spoken by VPI patients as opposed to that characgerizes the normal control group. Conclusion With the Korean version of VPI speech corpus system, patients' common difficulties and speech tendencies in articulation can be objectively evaluated. Comparing these data with those of the normal voice, mispronunciation and dysarticulation of patients with VPI can be corrected.

음성-텍스트 변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이 건강한 성인의 작업균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Tele-Monitoring With the Speech-to-Text Application on Occupational Balance in Healthy Adults : Feasibility Study)

  • 나남희;이성아;이영현;이상헌;황도연;박진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3호
    • /
    • pp.93-106
    • /
    • 202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성-텍스트 변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이 건강한 성인의 작업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총 7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자는 실험에 참여 전, 원하는 작업 활동을 선택하였고 이를 스마트폰에 설치한 음성-텍스트 변환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였다. 음성-텍스트 변환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등록된 작업 활동을 시간에 맞춰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알람을 제공하였고 대상자는 음성으로 수행 여부를 등록하였다. 원격 모니터링은 일주일 동안 진행하였고 일주일 뒤, 작업 활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 대상자 모두 일주일 동안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높은 순응도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일주일 뒤, 건강과 관련된 작업 활동의 균형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이 코로나19로 인한 봉쇄 기간 동안 작업 균형을 회복하는 방법으로 사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양방치료를 받고 있는 신경계질환아동에서 한방치료 및 기타 병행치료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Medicine & Other Parallel Treatments for Neurological Disease Children & Adolescents Treated with Western Medicine)

  • 정민정;임정화;황보민;김기봉;윤영주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2-84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valence and the frequency of using Korean medicine,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CAM), and other parallel treatments in children and young adolescence with neurological diseases. Methods From April to July 2011, parents of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patients suffering from neurological disease completed questionnaires. Results 578 par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310 cases (53.5%) were using Parallel Treatments. Types of the Parallel Treatments being used are as follows. Rehabilitation 166 cases (27.4%), Speech Therapy 169 cases (27.9%), Education (Art, Music, Play) 109 cases (18.0%), Health supplement 72 cases (11.9%), Counselling, Cognitive & Behavioral Therapy 45 cases (7.4%), Herbal Medicine 24 cases (4.0%), Acupuncture, Moxibustion 13 cases (2.1%), Neurofeedback Therapy 1 case (0.2%), Etc 7 cases (1.2%). 257 cases (44.5%) have used Parallel Treatment before. Parallel Treatments being used in the past are as follows. Herbal Medicine 146 cases (35.4%), Acupuncture, Moxibustion 64 cases (15.5%), Education (Art, Music, Play) 54 cases (13.1%), Rehabilitation 47 cases (11.4%), Speech Therapy 46 cases (11.1%), Health supplement 30 cases (7.3%), Counselling? Cognitive & Behavioral Therapy 15 cases (3.6%), Neurofeedback Therapy 4 case (1.0%), Chuna, Manual Massage 2 case (0.5%), Etc 5 cases (1.2%). Conclusions Although patients were on both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CAM, and other parallel treatment, the ratio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was not as high as expecte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the model of integrative medicine.

재활치료와 관련된 사람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조사 (Awareness on Occupational Therapy by the People Involved in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 정명진;장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5-117
    • /
    • 2013
  • Purpos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n occupational therapy by the people involved in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Methods : The survey on the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was conducted on 9 organizations and 111 employees associated with rehabilitation, of which the collected data was calculated in percentage using the results Result : 89.2% answered with "I know the subject of occupational therapy," 66.6% with "I know the meaning of it," 81.1% with "I know the purpose of it," being awared that it has been conducted in medical institutions and other places. However those answers might need more precise information for each occasion. In addition, for the distinction between occupational therapy and other kinds(physical therapy, speech therapy, art therapy, play therapy, music therapy), 40.5% answered with "yes in some degree," but 19% with "no." Regarding the eligibility requirement for occupational therapist, 55% answered with "qualified with a licence." Conclusion : Active promotion will be required more focusing on the subjec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meaning of occupation, the purpose and working places of occupational therapy, the difference from other therapies, and the qualific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