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trum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2,146건 처리시간 0.03초

Feasibility study on a stabilization method based on full spectrum reallocation for spectra having non-identical momentum features

  • Kilyoung Ko ;Wonku Kim ;Hyunwoong Choi;Gyuseong Ch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7호
    • /
    • pp.2432-2437
    • /
    • 2023
  • Methodology for suppressing or recovering the distorted spectra, which may occur due to mutual non-uniformity and nonlinear response when a multi-detector is simultaneously operated for gamma spectroscopy, is presented with respect to its applicability to stabilization of spectra having the non-identical feature using modified full spectrum reallocation method. The modified full-spectrum reallocation method is extended to provide multiple coefficients that describe the gain drift for multi-division of the spectrum and they were incorporated into an optimization process utilizing a random sampling algorithm.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s were observed with the use of multiple coefficients for solving partial peak dislocation. In this study, our achievements to confirm the stabilization of spectrum having differences in moments and modify the full spectrum reallocation method provide the feasibility of the method and ways to minimize the implication of the non-linear responses normally associated with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or system. We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not only simplify the calibration process by using an identical response curve but will also contribute to simplifying data pre-processing for various studies as all spectra can be stabilized with identical channel widths and numbers.

이종 인지 라디오 네트워크에서 협력 스펙트럼 센싱 및 동적 스펙트럼 결정 방법 (A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and Dynamic Spectrum Decision Methods for Heterogeneous Cognitive Radio Network)

  • 김남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7A호
    • /
    • pp.560-568
    • /
    • 2012
  • 인지 라디오가 무선통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가장 좋은 주파수 대역을 얻기 위해 수행해야 할 중요한 기능은 스펙트럼을 검출하고 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은 서로 다른 요구조건을 갖는 사용자들이나 서로 다른 특성들을 갖는 채널들이 존재하는 이종 네트워크에서 더욱 나빠진다.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이종 인지 무선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스펙트럼 결정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분석한다. 이것을 위해, 우선 인지 사용자들을 그들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QoS)에 따라 서로 다른 트래픽 클래스들로 분류한다. 중앙 집중형 제어 형태로 동작하는 그룹단위의 협력 스펙트럼 검출은 하나의 트래픽 클래스내의 사용자들에 의해서 검출과정이 수행되며, 이 센싱 결과들은 나머지 트래픽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형태이다. 다음은 사용자 요구조건들과 검출된 스펙트럼 채널 특성들에 따라 최적의 사용 가능한 대역을 선택하기 위해 계층 분석법(AHP)을 사용한다. 또한 스펙트럼 결정 알고리즘으로 효용함수를 사용한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로서, 제안된 시스템은 가장 좋은 이용 가능한 스펙트럼 채널들을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시스템 구성의 복잡성을 감소시켜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국내외 판내부 지진기록을 사용한 국내 지반의 지반운동 증폭특성 규명 및 토사지반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의 제안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Overseas Intraplate Earthquake Ground Motions in Korean Soil and Standard Horizontal Design Spectrum for Soil Sites)

  • 이진호;김정한;김재관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7호
    • /
    • pp.391-399
    • /
    • 2018
  • The site coefficients in the common requirements for seismic design codes, which were promulgated in 2017, were reevaluated and the standard design spectrum for soil sites were newly proposed in order to ensure the consistency of the standard design spectra for rock and soil sites specified in the common requirements. Using the 55 ground motions from domestic and overseas intraplate earthquakes, which were used to derive the standard design spectrum for rock sites, as rock outcropping motions, site response analyses of Korean soil were performed and its ground-motion-amplification was characterized. Then, the site coefficients for soil sites were reevaluated. Compared with the existing site coefficients, the newly proposed short-period site coefficient $F_a$ increased and the long-period site coefficient $F_v$ decreased overall. A new standard design spectrum for soil sites was proposed using the reevaluated site coefficients. When compared with the existing design spectrum, it could be seen that the proposed site coefficients and the standard design spectrum for soil sites were reasonably derived. They reflected the short-period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 and soil in Korea.

브랜드 네임 스펙트럼(Brand name spectrum) 측면에서 바라본 병원명의 특성: 수도권 병원을 중심으로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 Names based on the Types of Brand Name Spectrum)

  • 이광수;홍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402-412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병원이 사용하고 있는 브랜드 네임을 브랜드 네임 스펙트럼 모형에 따라 분류한 후 병원 브랜드 네임이 가지고 있는 언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병원 네임은 의미 있는 단어(명칭)로 분류한 후, 분류된 단어를 대상으로 스펙트럼 분류를 하였고, 병원 네임에 담긴 스펙트럼 유형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브랜드 스펙트럼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연구대상 병원의 명칭은 임의적, 암시적, 서술적, 그리고 조어적 명칭의 순으로 분류되었다. 임의적 스펙트럼 중에는 지역명칭이나 의료기관 개설자 본인의 이름을 활용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우리나라 병원의 브랜드 네이밍 발전단계가 초보적 수준에 있으며, 많은 의료기관들이 브랜드 네이밍의 가치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브랜드 개발시에 소비자들에게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인식과 회상을 높일 수 있는 브랜드 네임의 형성과 더불어, 브랜드의 독자성을 확보할 수 있는 브랜드 네이밍이 이루어지는 것이 앞으로 병원 산업계에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말뚝식 계류시설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해석법 적용성 연구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Standard Design Response Spectrum Analysis Method for Pile-type Mooring Facilities)

  • 오정근;정영석;권민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27-36
    • /
    • 2020
  • 이 논문의 목적은 말뚝식 계류시설에 대해 현행 실무에서 주로 적용하고 있는 응답스펙트럼 해석법에서 표준설계응답스펙럼의 적용성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지층조건을 고려한 Proshake 1차원 부지응답을 수행하여 현행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과 비교하고, Abaqus를 활용한 지반-말뚝 모델링으로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여 지반-말뚝 동적거동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잔교시설이 설치되는 경사지반에 대해 Abaqus를 활용한 2차원 부지응답해석을 수행하여 응답스펙트럼의 기준면 선정방안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말뚝식 계류시설의 지반-말뚝 동적거동 특성과 경사지반의 특성을 고려할 경우 현행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의 적용성에 문제가 있으며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오손에 따른 고분자애자의 표면방전 스펙트럼 분석 (Spectrum Analysis of Surface Discharge for Polymer Insulator According to Various Contamination)

  • 박재준
    • 정보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13-118
    • /
    • 2005
  • Investigation of surfac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surface leakage on polluted EPDM insulator have been performed. This work was performed utilizing High Frequency Current Trans former to monitor surface discharg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surface discharge waveform frequency spectrum, depending both on the surface discharge magnitude and more importantly on the duration of surface discharge activity.

  • PDF

Near field 지진기록 분류에 따른 특성 비교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election Procedure of Near Field EQGMS)

  • 배미혜;한상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27-532
    • /
    • 2002
  • Near field ground motions contain distinct and large amplitude pulses in both velocity and displacement. This paper investigates characteristics of near field earthquakes and their effects on seismic demands. 20 EQGMs were selected for this purpose that satisfied 5 conditions for Near field motion. Among them ten EQGMs have one distinct peak velocity pulse in the velocity time history. In this study the responsed are Linear Elastic Response Spectrum(LERS), Response Modification Factor(R) and Inelastic Response Spectrum(IRS). The effect of the selection of Near field EQGMs on these response parameters are investigated.

  • PDF

Near Field 지진의 특징과 구조응답에 대한 영향 (Characteristics of Near Field Earthquakes and its effect on Seismic demands)

  • 배미혜;권오성;한상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8-213
    • /
    • 2002
  • Near field ground motions contain distinct, large amplitude pulses in both velocity and displacement.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near filed earthquakes and their effects on seismic demands. For this purpose 20 sets of near field ground motion and 20 sets of far filed ground motion are compared with respect to Linear Elastic Response Spectrum(LERS), Response Modification Factor(R), Inelastic Response Spectrum(IRS), and performance point of Capacity Spectum Method(CSM).

  • PDF

비탄성 응답스펙트럼 분석을 통한 근거리 지진의 평가 (Evaluation of Near-Fault Ground Motions by Inelastic Response Spectrum Analysis)

  • 김형규;최인길;전영선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69-76
    • /
    • 2003
  • Near-field ground motions exhibit special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erent from ordinary far-field ground motions. This paper first briefl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near-field ground motions associated with fault directivity and fling-step effects. Then evaluation of near-field ground motions by inelatstic response spectrum analysis is performed and analyzed. As a result, ductility demand in near-field ground motions is larger in hanging wall than in foot wall in long period regions. Also in long period regions ductility demand in soil site is larger than that in rock site.

  • PDF

Impulse 함수 기반 목표응답스펙트럼 맞춤형 지진파 보정 알고리즘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Impulse function-based Algorithm for Modification of Ground Motion to Match Target Response Spectrum)

  • 김현관;박두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53-63
    • /
    • 2011
  • 동적 지진해석 수행 시 적절한 입력지진파를 선정 생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국외에서 계측된 강진 기록이나 인공지진파가 입력지진파로 사용된다. 계측지진기록은 지진파의 고유성질인 시간에 따라서 주파수 특성이 변이하는 비정상(Non-Stationary)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설계 응답스펙트럼과는 일치하지 않으며 주파수영역에서 생성된 인공지진파는 설계 응답스펙트럼과는 일치하지만 정상(Stationary) 특성을 가지고 있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측기록의 Non-stationary 특성을 보존하되 동시에 설계 응답스펙트럼에 상응하는 지진파를 생성하였다. 적용된 기법은 Impulse 함수를 이용하여 시간영역에서 지진기록을 목표 스펙트럼에 상응하도록 보정하는 알고리즘이다. 적용 결과, 시간영역 변화 알고리즘은 성공적으로 계측 지진기록을 설계 응답스펙트럼와 일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원 지진기록의 Non-stationary 특성을 보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계측 지진기록과 보정된 지진기록을 적용한 비선형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한 결과, 보정된 지진파를 이용한 결과가 보다 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변환된 지진기록은 기존 기록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진보된 입력지진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지진해석 시 이를 준용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