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 Library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31초

KSLA 소개

  • 한국전문도서관협의회
    • KSLA Bulletin
    • /
    • 통권4호
    • /
    • pp.113-117
    • /
    • 2012
  • PDF

KSLA 소개

  • 한국전문도서관협의회
    • KSLA Bulletin
    • /
    • 통권2호
    • /
    • pp.70-73
    • /
    • 2010
  • PDF

KSLA 소개

  • 한국전문도서관협의회
    • KSLA Bulletin
    • /
    • 통권8호
    • /
    • pp.92-111
    • /
    • 2017
  • PDF

KSLA 소개

  • 한국전문도서관협의회
    • KSLA Bulletin
    • /
    • 통권7호
    • /
    • pp.92-107
    • /
    • 2015
  • PDF

도서관장애인서비스 담당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inuing Education & Training Program for the Disabled Users Service Special Librarian)

  • 김혜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3-197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양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에서 수행한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계속교육 강좌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역량강화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제안되는 프로그램 모형은 Track 1, 2로 나누었으며, 교육 형태는 사이버형 교육, 집합형 교육, 그리고 혼합형 교육으로 편성하였다.

비도서자료의 목록규칙에 관한 고찰 -AACR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taloging Codes of Nonbook Material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Anglo-American Cataloging Rules-)

  • 강미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1권
    • /
    • pp.117-146
    • /
    • 1984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all forth a special attention to nonbook materials as part of library materials and to improve its bibliographic study of the Korean library communit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will concern the cataloging codes of nonbook materials in Anglo-American tradition for discussion, analyses and comparison. Furthermore, an emphasis was made on the general historical development of nonbook cataloging codes mainly used in U. S. and its impact on Anglo-American Cataloging Rules (AACR). In addition, in the part III of AACR1, several controversial issues will be argued for further revision in provision. As shown in the revised Chapter 12 of AACR 1, this thesis will try to identify common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the standard cataloging codes. It will require a comparison of various subjects with three other leading international cataloging codes, served as the principal sources of information for the revision. And my final discussion will be argued for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AACR 1 and AACR 2 with exemples.

  • PDF

사서교사의 직무적응 저해요인과 극복방안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대구$\cdot$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Process of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in Korea - With Special Reference to Daegu and Gyeongsangbukdo -)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37-268
    • /
    • 2005
  • 이 연구는 사서교사들이 직무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만나는 어려움의 내용과 그 원인을 규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대구와 경북지역의 사서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하고 일상의 기록을 통해 사서교사들이 생활하는 학교사회의 문화적 구조와 특성을 재구성하여 사서교사가 효과적으로 직무에 적응해 들어가는 데 방해가 되는 조건들에 대해 탐구하였다. 사서교사들이 학교 현장에 잘 적응하여 효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직 문화의 개선과 더불어 사서교사 양성 과정의 개선이 요망된다고 할 수 있다.

  • PDF

국내 도서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실태조사 (A Study on the Using of Social Network Services of Libraries in Korea)

  • 변회균;조현양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55-275
    • /
    • 2013
  • 이 연구는 국내 도서관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적용하고 있는 사례를 조사하여, 관종별 도서관에 사용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종류 및 도입현황을 살펴보고, 관종별 사용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특징과 차이점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의 4개 관종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도서관 평가에서 우수 도서관 목록을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32개의 대학도서관과 41개의 공공도서관, 40개의 학교도서관, 9개의 전문도서관의 홈페이지 및 기관 사이트를 조사하였다. 셋째,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활용에 대한 기본 데이터를 분석하고, 관종별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사용된 특성 및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넷째, 그 결과를 기초로 관종별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적용할 부분과 향후 발전방향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