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 Library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3초

곱셈기가 없는 효율적인 가변탭 FIR 필터 칩 설계 (Design of an efficient multiplierless FIR filter chip with variable length taps)

  • 윤성현;선우명훈
    • 전자공학회논문지C
    • /
    • 제34C권6호
    • /
    • pp.22-27
    • /
    • 1997
  • This paper propose a novel VLSI architecture for a multiplierless FIR filter chip providing variable-length taps. To change the number of taps, we propose two special features called a data-reuse structure and a recurrent-coefficient scheme. These features consist of several MUXs and registers and reduce the number of gates over 20% compared with existing chips using an address generation unit and a modulo unit. Since multipliers occupy large VLSI area, a multiplierless filter chip meeting real-time requirement can save large area. We propose a modified bit-serial multiplication algorithm to compute two partial products in parallel, and thus, the proposed filter is twice faster and has smaller hardware than previous multiplierless filters. We developed VHDL models and performed logic synthesis using the 0.8.mu.m SOG (sea-of-gate) cell library. The chip has only 9,507 gates, was fabricated, and is running at 77MHz.

  • PDF

The skew-t censored regression model: parameter estimation via an EM-type algorithm

  • Lachos, Victor H.;Bazan, Jorge L.;Castro, Luis M.;Park, Jiwo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9권3호
    • /
    • pp.333-351
    • /
    • 2022
  • The skew-t distribution is an attractive family of asymmetrical heavy-tailed densities that includes the normal, skew-normal and Student's-t distributions as special cases. In this work, we propose an EM-type algorithm for computing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es for skew-t linear regression models with censored response. In contrast with previous proposals, this algorithm uses analytical expressions at the E-step, as opposed to Monte Carlo simulations. These expressions rely on formulas for the mean and variance of a truncated skew-t distribution, and can be computed using the R library MomTrunc. The standard errors, the prediction of unobserved values of the response and the log-likelihood function are obtained as a by-product. The proposed methodology is illustrated through the analyses of simulated and a real data application on Letter-Name Fluency test in Peruvian students.

우리나라 정부간행물의 유통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distribution system of government publications in Korea)

  • 사공복희;문승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6권
    • /
    • pp.93-130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atch hold of the problem occurring in the process in which librarians have obtained government publications and to show the method that can construct the rational distribution system of government publications. For this study, total 56 librarians who work for 44 institutes sponsored by central government and 12 institutes sponsored by local government were chosen as the objects of research and questionnaire survey to know how to obtain government publications. How to construct the rational distribution system of government publications is as follows. (1) The exclusive organization to manage overall service for government publications should be established newly or previous similar organization should be reorganized. (2) As reinforcing the law concerning deposit copy, government publications should be distributed obligatorily to all of the depository agency, and the depository library system of government publications should be introduced and managed newly. Especially the management of deposit copy and the depository library system of government publications should be undertaken by the exclusive agency of government publications. (3) Free-government publications should be converted to pay-government publications as much as possible so that everyone can purchase government publications easily. And free-government publications which are difficult to convert to pay-government publications should be distributed according to rational standard by the exclusive agency of government publications. (4) Pay-government publications should be sold by private distribution organization under exclusive agency of government publications. Also printing, editing and pricing of pay-government publications should be done by private distribution organization to compete with general books. (5) In order to promote the sales of pay-government publications, the sales centers of government publications must be established even in city and county. Also special government publications which have much demand should be sold even in general book stores. Especially the management of the sales centers should be undertaken by private distribution organization. (6) It is necessary to abolish or improve unreasonable regulations or system related to government publications and to make legislative, institutional devices for government publications. (7) The public relations for government publications should be enforced much through TV or radio etc. , and the various bibliographic tools of government publications should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for the sake of much utilization of government publications. (8) By using new technology like CD-ROMs or communication networks, electronic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government publications should be push ahead positively. And electronic information distribution center to su n.0, pport it should be established by government agency.

  • PDF

원자력분야 학술정보 통합정보관리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and Estimation of an Integrated System for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Field of Nuclear Science and Engineering)

  • 천영춘
    • 정보관리연구
    • /
    • 제34권4호
    • /
    • pp.63-84
    • /
    • 2003
  • 본 연구는 정부의 원자력 분야 정보 인프라 구축사업의 지원으로 이루어진 연구로서 한국원자력연구소가 국가 원자력 정보센터로서의 기능을 적극 수행하기 위하여 원자력분야 학술정보통합정보관리시스템인 NUCLIS21(Nuclear Information System21)을 구축한 프로젝트이다. 본 시스템은 웹기반의 이용자 중심 단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국가 원자력 분야 정보기반구축은 물론 기존 정보센터의 정보관리시스템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구축된 시스템은 원자력 분야 학술정보 통합정보관리시스템으로서 크게 두 가지로 먼저 경영정보시스템(MIS)과의 연계모듈과 6개의 하위시스템으로 즉, OPAC과 연동되는 통합검색 시스템, My Library 시스템, 정보수집 시스템, 편목 시스템, 정보제공 시스템, 연속간행물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그 특징은 경영정보시스템(MIS)과 연계하여 연구 프로젝트 등 연구관련 정보를 반입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연구 주제별 맞춤정보, 상호작용, 후속 서비스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구축결과 시스템의 평가는 만족도를 조사하였는데 이용자 만족도는 정보제공의 충실성은 75.7% (200명), 신속성은 62.1% (164명), 편리성은 78.4% (207명)가 대부분 만족한다고 응답하여 전체적인 시스템 만족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서울.경기 소재 대학도서관의 장애학생 지원 실태 조사 (A Study on Supportive State for Disabled Students of University Libraries in Seoul and Kyonggi)

  • 박현영;남태우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1호
    • /
    • pp.83-108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장애학생 지원 실태를 조사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사립대학들 중에서 2008년도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을 시행한 30개 대학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그 대학의 장애학생들은 도서관을 어느 정도 이용하는지, 장애학생을 위한 시설 및 기자재, 자료, 그리고 전담 직원이 현재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그리고 실제로 설치 유무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대학도서관에 장애 학생을 위한 전반적인 운영 수준은 "보통" 이하(평균2.38)로 조사되었으며, 이용률은 "별로 이용하지 않는다"(60.0%)로 응답한 대학이 가장 많았다. 대학도서관의 시설 및 서비스 등의 응답률에서는 "매우 미흡"을 응답한 대학이 99건(32.27%)으로 가장 많았고, "매우 우수"를 응답한 대학이 28건(7.0%)으로 가장 적은 응답수를 나타냈다. 한편, 부문별로 분석했을 때, 건물의 시설은 모든 항목에서 "보통" 이상(평균3.26)의 수준을 갖추고 있으나, 자료구비수준(평균1.8점)과 장애 학생에 대한 원활한 지원을 위한 직원교육과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도서관 이용교육(평균1.87)은 "미흡" 이하의 수준이었다. 특히, 서비스 부문은 "미흡"(평균2.48)의 수준으로, 표준편차는 1.4이상으로 인력배치와 자료배달 서비스는 대학 간의 편차가 가장 큰 부문이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은 시설 등의 접근성은 상당 수준 개선되었으나, 자료, 인력 및 이용교육과 같은 도서관 고유의 정책은 일반적으로 미흡한 수준에 있다고 조사되었다.

지니계수를 활용한 대학도서관 학술정보자원 격차 연구 (A Study on the Gap Between University Academic Information Resource Using Gini Coefficient)

  • 조재인;이지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47
    • /
    • 2020
  • 본 연구는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를 활용해 대학도서관 간에 나타나는 학술정보자원의 불평등을 지수화함으로써 격차가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는 부분을 확인하고 이러한 격차가 지난 10년간 어떠한 변화를 보였는지 파악하였다. 더불어 수도권대학, 지방국립대와 사립대, 전문대 등 대학의 지역/유형별로 동종 대학간에 나타나고 있는 격차의 정도와 특성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대학도서관 학술정보 인프라는 전반적으로 심각한 불균등 수준(g = 0.6-0.9)을 보이고 있으며, 연속간행물, 전자자원, 참고봉사서비스 측면에서 격차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학생수를 고려해 재계산한 지니계수도 연속간행물 등에 있어서는 여전히 g = 0.4 이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지난 10년간의 지니계수 추이를 살펴보면 전자정보자원과 직원의 재교육 시간에서 지니계수가 평등한 쪽으로 하향하는 추이를 보였으나 다른 항목에 있어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세 번째, 특수대학과 수도권 대학간에는 큰 격차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방 국립대학간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격차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공도서관 청소년 서비스의 현황과 과제 - 부산·울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Tasks for Young Adult in Public Libraries-with a special reference to Busan·Ulsan·Gyeongnam)

  • 이진화;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5-122
    • /
    • 2022
  • 이 연구는 부산·울산·경남지역 내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청소년서비스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다음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2021년 기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과 부산광역시 도서관포털에 등록된 부산·울산·경남지역 공공도서관 93개관을 대상으로 청소년서비스 현황과 청소년서비스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부산·울산·경남 지역 공공도서관에 청소년 공간이 있는 곳이 24%이며, 공간이 있는 경우 공간 내부에 청소년 서가가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은 76%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대상의 연령대는 만13~18세로 설정하고 있었다. 청소년들의 저조한 이용과 소극적인 참여, 전용 공간의 부족,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인력 부족, 예산 부족 등 문제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서비스 제공이 쉽지 않은 상황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사서들이 청소년 전용 공간과 청소년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공공도서관 청소년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과제로 공간조성과 서비스 기획/운영 단계에서 청소년의 참여 확대, 청소년 전용 공간 조성, 청소년 봉사활동 내용의 다양화, 담당사서의 전문성 확보와 지역인적자원 활용, 서비스에 대한 홍보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간호협회지를 통해 본 보수교육의 역사적 경향 1962년 ~ 1995년 (A Study of Trends in Continuing Education Published in the Korean Nurse)

  • 신성례;김경선;이숙
    • 대한간호
    • /
    • 제35권2호
    • /
    • pp.52-70
    • /
    • 1996
  • This historical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and categorize the titles which were presented in the journal, The Korean Nurse, from August 1962 to October 1995. Titles which were published with the purpose of educating graduate nurses and to update 0 their nursing knowledge to improve professional practice were included. There were 348 articles published from the beginning of publication in August, 1962 to October, 1995. All of the journals were reviewed except nine missing journals which were not available in any libr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s in the periodical, the articles we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In each of the three peroids there were five categories: Subject, Clinical Practice, Fundamentals of Nursing Science, Nursing Administration, Others. These categories were adopted from Kim's(1994) division system which was developed to analyze nurse's insurance education program. The special feature peroid was from August, 1962 to December, 1974. In this period the articles were presented in an unorganized manner in the area of special feature or main issue. The largest area was the subject category(44%). The second largest area wes the fundamental of nursing science category(31%). From May, 1975 to December, 1977, the articles with the educational purposes were published in a designated area called continuing education. This period was labelled as the continuing education period. Among the published articles in this period, 45% focused on the subject category and 45% on the fundamentals of nursing science category. In this period the articles were focusing on nurses 'work in specific areas such as industry, nurses' aid schools, and nursing administration, articles on physical assessment first started to appear. The written continuing education period was from January 1978 to October, 1995. All the educational articles published in this area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five areas as for the other periods. 48% of the articles focused on the subject category. In the mid-eighties, the term nurse specialist first.appeared and ten years later in 1990, the titles were subdivided into more specific titles, such as, home nursing, industrial nursing, emergency nursing, 23% were in the fundamental nursing science category and they dealt with nursing process, nursing theories, theory development. For the content analysis, three articles, one from each period, dealing with cardiovscular diseases were selected for comparsion. First, the special feature period, the title of the article was on diet therapy for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but instead the content was about rest, hygiene, medication, observation. They recommended rings to prevent bed sores, which is now considered as a cause for bed sores. In the continuing education period, the content was more focused on rehabilitation rather than general nursing .care. It became more specific, systematic, and organized compared with the special feature period. In the written continuing education period, the focus was on rehabilitation, not broadly, but very specifically on exercise. The further research on the content analysis is recommended along with a comparison of the trends in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 PDF

중국의 고문헌 관리 법제화의 조사 분석 (Research and Analysis of Enactment of China's Old and Rare Books Management)

  • 한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93-214
    • /
    • 2018
  • 이 연구는 중국의 고문헌 관리 법제화에 대한 조사 분석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우선 중국의 법체계와 고문헌 관리 정책을 살피고, 4종의 법률과 6종의 행정법규, 4종의 부문규장 및 13종의 행정규범성문건을 조사하였다. 그중 고문헌 관리 내용을 다루고 있는 1) 2013년의 법률 '중국문물보호법', 2) 1981년의 행정법규 '중국고문헌정리지시', 3) 1986년의 부문규장 '중의고문헌 연구정리출판 관리세칙', 4) 2001년의 부문규장 '문물소장품 등급결정 표준', 5) 2003년의 부문규장 '문물경매관리 임시규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 고문헌 관리 정책의 중요성, 2) 국가 차원의 고문헌 관리, 3) 교육 확대와 인적자원의 양성, 4) 고문헌 관리 전문기구의 설치, 5) 중의고문헌 부문의 특별 관리 등의 중국 고문헌 관리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서지기술에 있어 판사항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dition Statement in Bibliographic Description)

  • 김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49-166
    • /
    • 2004
  • 이 연구는 한국목록규칙 제4판을 중심으로 일본목록규칙, 영미목록규칙, 국제표준서지기술법의 판사항에 대한 규정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규칙들간에 미묘한 차이는 있지만 판사항에 대한 특징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서지기술에 있어 판과 쇄의 개념을 구별하면서 판의 개념을 매우 포괄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즉, 대체로 내용의 변화가 있거나. 내용의 변화는 없더라도 크기나 활자를 달리하면 새로운 판으로 표시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새로이 발행하더라도 쇄로 표시한다. (2) 판사항의 기술요소는 크게 판표시, 특정 판의 책임표시 부차적 판표시, 그리고 부차적 판의 책임표시와 같이 4개요소로 규정하고 있으며, 대등 판표시는 대개 임의규정으로 되어 있다. (3) 전자자료의 경우, 전자자료의 내용과 기능에 대한 특정 버전을 나타내는 표시는 판으로 표시하는 반면 전자자료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환경은 판으로 표시하지 않는다. (4) 판에 대한 대등책임표시, 부차적 대등판표시 및 책임표시는 임의규정으로 하거나 판사항에 표시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