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 Educational Technology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6초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육공학 콘텐츠 유형 탐색 (Types of Special Educational Technology Content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권충훈;김훈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207-214
    • /
    • 2007
  • 특수교육공학은 특수교육과 교육공학을 결합한 용어이다.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교수법의 진보 등으로 특수교육현장에 교육공학적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보조 공학적 측면으로, 교수법의 발달은 IEP의 개발 및 운영형태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교육에 적용 가능한 특수교육공학의 콘텐츠 유형을 탐색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교육공학이 일반교육현장과 특수교육현장에 적용될 때 그 주요 형태 및 기대성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특수교육공학의 범주를 찾아 정리해서 특수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특수교육공학을 수업공학 측면 및 보조공학장치 측면에서의 콘텐츠 유형을 제시하는 것 등이다. 한국의 특수교육은 양적, 제도적 측면에서 큰 성과를 가져왔다. 이제는 질적, 개인적 측면에서의 성과를 내야 할 시점이다. 그런 측면에서 특수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현장감 높은 특수교육공학의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특수교육공학 발전을 위한 향후 과제를 제언하였다.

A Research for the Gifted Education in China1

  • Jin Meiyu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71-78
    • /
    • 2006
  • Gifted education has been becoming a focus of every field in Chinese society as a special educational mode, since Special Class for the Gifted Youth in the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 began to enroll students. In this paper we first introduce the developing procedure of the gifted education in China, and then recommend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 successful gifted educational base in China. At length, we probe into the problems that exist in process of carrying on the gifted education in China for reference.

  • PDF

웹기반 원격 수학영재교육 학습자료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the Gifted in Mathematics)

  • 이영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1호
    • /
    • pp.81-95
    • /
    • 2003
  • 국가발전과 영재의 재능계발을 목적으로 한 영재교육의 필요성이 인식되면서 국가적 차원의 뒷받침을 받고 있는 지금 영재교육과 관련된 여러 가지 연구들이 있지만, 정작 영재들을 교육할 학습자료의 개발이 미흡하여 영재지도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인터넷사용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컴퓨터 응용기술의 발전으로 면대면 수업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원격교육시스템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지만 이를 직접 영재교육에 적용한 사례는 흔하지 않다. 이에 웹기반의 원격 수학영재교육용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현재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수학 영재교육을 보충하고 영재교육의 연속성을 확보하며, 나아가 지리적 여건상 집중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에서의 수학영재교육의 내실을 기할 수 있도록 한다.

코로나19 이후 장애학생 교육 격차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 현황과 요구 (Current status and needs for special education to support educational gap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fter COVID-19)

  • 임장현;전혜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33-39
    • /
    • 2023
  • 2023년 코로나19가 4급 감염병으로 전환되며 안정추세에 접어들었지만 특수교육 현장에서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원격 수업 등 비대면 학습상황으로 인해 발생한 장애학생의 학업, 사회적 발달 격차를 지원하는 것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이후 장애학생의 교육 현황과 학업 결손을 파악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17개시도 특수교사 2,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로 인해 장애학생들은 학업, 정서, 행동 측면에서 발달지연과 교육격차가 심화되었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력지원, 심리상담, 정서행동에 대한 의료적 지원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결과를 제안하였다.

The Future Learning Environment as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 KIM, Insu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2권2호
    • /
    • pp.135-151
    • /
    • 2011
  • Recently, a wide variety of studies on future learning have appeared owing to rapid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increased discussion about core competencies in twenty-first-century learning. These studies, though insufficient in number, cover various fields such as architecture (design of the learning space), education (learning model), and technology (adaptation of mobile devices). However, these studies focus on mainstream students and do not discuss the future situation of inclusive education with regard to both mainstream and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ence, in order to fill this gap,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s and ideas held by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on the future learning space with regard to school design and peer-to-peer feedback. For this purpose, these preservice teachers' design proposals about future schoo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conclusion,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perceive the future learning space as an inclusive environment in which smart technology is incorporated. Future learning environment were categorized in terms of flexible, ubiquitous technology, physical and mental health, safety, and spaces with facilitie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Principles of the Organization of Distance Learning of Primary School-Aged Children with Cognitive Development Disorder

  • Yuliia Sosnich;Kristina Torop;Tetiana Dehtiarenko;Oleksandr Kolyshkin;Yurii Kosenko;Iryna Omelchenk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8호
    • /
    • pp.184-190
    • /
    • 2024
  • The research involved children and parents of primary school-aged children with cognitive development disorder, as well as scientific and pedagogical workers who organized the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principles for organizing distance learni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lies in establishing how effectively children, parents and their teachers cope with online distance learning during the pandemic, as well as investigating the extent to which such educational technology affects the emotional and behavioural state of the child.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on complexity. In the course of the research, the method of pedagogical experiment was used;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 methods were also introduced; the descriptive method, analysis and synthesis were used to review the theoretical material. The hypothesis lies in the fact that distance online education increases academic difficulties, changes the behavioural and emotional picture of a child with cognitive development disorder; consequently, the behaviour and emotional background will be limited by certain parameters, and this requires the active involvement of parents and teachers in the distance work proces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ave revealed that distance education causes a number of restrictions for children with cognitive development disorder, namely: concentration of attention has decreased, anxiety has increased, and sleep has worsened. Behavioural changes predicted increased restlessness and aggression. Parents and teachers have had methodological, academic and everyday difficulties; all participants in the educational process have been more limited in the conditions of online distance learning. difficulties and improving the behaviour and emotional states of all participants in the educational process.

장애학생 원격교육 및 교육지원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분석 (Analysis of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for Distance Education and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구정아;손지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47-457
    • /
    • 2022
  • 본 연구는 장애학생에게 실시된 원격수업에 대한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을 파악하고, 교육지원에 대한 요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령기 장애 자녀가 있는 전국의 학부모 총 2,3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문항은 크게 교육격차 방지를 위한 학습지원, 행동 및 심리적 어려움을 위한 지원, 교육복지 보장을 위한 돌봄지원의 영역에 관한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취합된 자료는 기술통계를 통해 분석되었으며, 중복응답을 한 문항의 경우에는 다중응답 빈도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원격수업 시 장애학생의 교육격차 방지를 위해 지원해야 할 학습지원의 중요도로 학교 내 대면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수교육지원센터와 연계한 학습지원과 관련해서는 장애특성에 맞는 원격학습 방법 및 전략에 대한 상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장애학생 원격수업을 위한 학습지원의 방안으로 예비특수교사를 통한 개별학습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보조기기 및 보조공학기기 관련해서는 필요할 때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기기의 확보를 요구하였다. 이 밖에도 장애학생이 행동 및 심리적 어려움을 위한 심리상담 및 교육지원이 요구되었으며, 장애특성에 적합한 돌봄 프로그램 개발 및 전담 인력 추가 배치 등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이 원격수업으로 인한 겪게 되는 학습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 및 구체적인 교육지원 방안에 관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Need for and Relevance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 Engineering Colleges

  • Nancy, D'Costa nee Vaz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3권2호
    • /
    • pp.140-153
    • /
    • 2014
  • Modern educ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higher education (HE), is far taken out of the traditional meaning of education. A number of business features have infiltrated these institutions of HE where students assume the place of a customer. In the present business scenario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technology assumes an important role in managing customers. Therefore a relevant question would be to know whe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implement this technology to manage their constituent relationships.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evaluate studies on commercial features of a modern educational system and then present the findings of a study conducted to know the relevance of CRM Technology in HE. An evaluation is also made to know the awareness of the concept of CRM among the educators. The findings show that the educators' awareness of CRM strategies is good, of CRM concepts is poor and of practice is average. Further, an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respondents felt that CRM is relevant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present scenario.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증강현실 과학교육 콘텐츠구현 및 적용 가능성 탐색 (Designing and Exploring the Possibility Science Contents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김정수;이태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20-733
    • /
    • 2016
  • 장애학생의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매체를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최근 특수교육 현장에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기술 중에 하나는 증강현실 기법이다. 이에 모바일 기반의 자연스러운 마커 방식으로 기본 교육과정 5~6학년 나권의 4단원 '날씨와 생활'과 관련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개발하고, 지적 장애 학생의 과학과 교육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을 위해 특수교사 5명과 개발자 2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지적장애 학생의 학습 특성에 적합한 콘텐츠 설계 및 개발 지침을 마련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증강현실 콘텐츠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특수교사 23명과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 5점 만점에 특수교사 4.73점, 지적장애 학생 4.75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지적장애 학생의 과학교육을 위해 증강현실 콘텐츠의 적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ultimedia Educational Material and Remote Laboratory for Sliding Mode Control Measurements

  • Takarics, Bela;Sziebig, Gabor;Solvang, Bjorn;Koro, Peter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0권6호
    • /
    • pp.635-642
    • /
    • 2010
  • The paper presents a multimedia educational program of DC servo drives for distant learning with a special emphasis on sliding mode control. The program contains of three parts: animation, simulation and internet based measurement. The animation program explains the operation of DC motors, gives its time- and frequency-domain equations, transfer functions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necessary for controller design for DC servo motors. The simulation model of the DC servo motor and the controller can be designed by the students based on the animation program. The students can also test their controllers through the internet based measuremen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from engineering point of view. After the measurements are executed, the students can download the measured data and compare them to the simulation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