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peaker Verification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Improvement of Confidence Measure Performance in Keyword Spotting using Background Model Set Algorithm (BMS 알고리즘을 이용한 핵심어 검출기 거절기능 성능 향상 실험)

  • Kim Byoung-Don;Kim Jin-Young;Choi Seung-Ho
    • MALSORI
    • /
    • no.46
    • /
    • pp.103-115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d Background Model Set algorithm used in the speaker verification to improve calculating confidence measure(CM) in speech recognition. CM is to display relative likelihood between recognized models and antiphone models. In previous method calculating of CM, we calculated probability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all phonemes in composition of antiphone models. At this process, antiphone CM brought bad recognition result. Also, recognition time increas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studied about method to reconstitut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BMS algorithm in CM calculation.

  • PDF

An Implementation of Telephone-based Speaker Verification System using Dialog/4 Board (Dialog/4 보드를 이용한 전화음성 기반의 화자 인증 시스템의 구현)

  • Lee Soon-Reyo;Park Yil-Koo;Choi Hong-Sub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89-92
    • /
    • 2004
  • 전화 음성용 화자인증 시스템 전화기에서 의뢰인의 ID와 음성을 입력받은 후 인증관련 처리론 PC에서 수행하여 그 인증 결과를 의뢰인의 전화로 알려주는 시스템으로 본 논문에서는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기술이 적용된 Dialog/4 보드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Dialog/4 보드를 통하여 시스템에 입력된 ID와 음성에 대하여 신호처리와 특징 추출을 거친후 ID에 해당하는 화자모델과 배경화자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계산하여 의뢰인에 대한 인증 또는 거절의 결과를 알려준다. 실제의 전화음성을 이용한 화자인증 시스템이 성능평가에서 전화음성으로 실험을 할 경우 $99.6\%$의 인증률을 보여주었다.

  • PDF

Observation Probability Weighting Method for Text-Dependent Speaker Verification (문장종속형 화자확인에서의 관측확률 가중기법)

  • Kim Se-Hyun;Jang Gil-Jin;Oh Yung-Hwa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8-31
    • /
    • 1999
  • 기존의 문장종속형 화자인식 방법들은 대부분 음성인식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기 때문에, 화자의 개인성 정보보다 음운정보에 더 민감한 단점이 있다. 화자인식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해서는 음운정보보다는 화자의 개인성 정보가 잘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HMM(hidden Maxkov model)을 기반으로 한 문장종속형 화자확인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한 관측확률 가중 반법을 제안한다. 먼저 주어진 학습자료에서 화자의 개인성이 잘 반영된 프레임들을 예측한다. 임의의 입력음성에 대한 인식점수는 화자의 특징이 잘 반영된 프레임의 관측확률에 가중치를 주어 구한다.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결과 기존의 우도비(likelihood ratio) 정규화 점수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동일오류율(EER, equal error rate)을 $2\~3\%$정도 줄여 인식율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Text-dependent Speaker Verification System in SVAPI 1.0 Environment (SVAPI 1.0 환경에서의 어구 종속 화자 확인 시스템)

  • 김유진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401-405
    • /
    • 1998
  • SVAPI 1.0 환경에서의 어구 종속 화자 확인 시스템에 대해 기술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궁극적으로 공중 전화망 응용이 가능한 실용 시스템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이를 위해 SVAPI 위원회에 의해 제안된 SVAPI 1.0을 개발 환경으로 사용하였다. SVAPI는 객체 지향 구조, 클라이언트-서버 및 telephony 환경의 지원등이 특징이며 어플리케이션과 엔진을 독립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구현된 데모 시스템은 펜티엄 프로세서와 Windows95/NT 4.0 운영체제 그리고 Win16/Win32 API를 통해 제어 가능하며 음성 입력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장착한 IBM 호환 PC이다. 화자의 성문 등록은 화자가 동일한 어구를 3회 발성하여 이뤄지며 등록과 확인의 응답속도는 모두 1초 이내이다.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크게 어플리케이션과 어구 종속 화자 확인 엔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엔진은 끝점 검출 알고리즘, 음성 특징 추출 알고리즘 그리고 연속 HMM 기반의 화자 성문 모델 등록 및 유사도 계산 등을 포함한 확인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자의 성문은이름과 같은 약 3음절 이상의 단어로 등록되고 테스트되었다. 엔진의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전화선을 통해 남자 6명, 여자 3명의 화자로부터 자신의 이름을 각각 40회 발성하여 구축된 음성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 남자는 2.85%, 여자는 2.44%의 EER을 각각 얻었다.

  • PDF

New Postprocessing Methods for Rejectin Out-of-Vocabulary Words

  • Song, Myung-Gyu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3E
    • /
    • pp.19-23
    • /
    • 1997
  • The goal of postprocessing i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is to improve recognition performance by utterance verification at the output of recognition stage. It is focused on the effective rejection of out-of vocabulary words based on the confidence score of hypothesized candidate word. We present two methods for computing confidence scores. Both methods ar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each observation vector and the representative code vector, which is defined by the most likely code vector at each state. While the first method employs simple time normalization, the second one uses a normalization technique based on the concept of on-line garbage mode[1]. According to the speaker independent isolated words recognition experiment with discrete density HMM, the second method outperforms both the first one and conventional likelihood ratio scoring method[2].

  • PDF

Development of Directional Digital Hearing Aid Performance Testing System (지향성 보청기 성능 검사 장치 개발)

  • Jang, Soon-Suck;Kwon, You-Jung;Lee, Je-Hye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16 no.1 s.106
    • /
    • pp.81-88
    • /
    • 2006
  • The most recent trend on digital hearing aid is to increase the ratio of signal to noise by directivity or to develop noise reduction algorithm inside DSP IC chip. This paper designed, fabricated and tested a digital hearing aid directivity testing device in which a micro-mouse-like the stepping motor with a speaker rotates around an examinant. Both ears of the examinant were fixed with ITE hearing aids in order to respond to receiving sound.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boundary element method program for verification. The diameter of the directivity testing device was 2 m and the micro-mouse was precisely controlled by PICBASIC micro processor.

Speaker Verification for Spoken Digit Sequence by Probabilistic Neural Network (확률신경망에 의한 숫자음성열로부터의 화자확인)

  • Um, Ig-Tae;Kang, Kwon-Il;Kim, Moon-Hy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178-183
    • /
    • 1999
  • 화자확인은 기본적으로 각 입력 음성에 대해 하나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수락과 거부의 두 가지 결정을 내리나, 본 논문은 네 자리의 비밀번호를 음성으로 입력하였을 때 각 숫자음성에 대한 지역적인 결정을 두 개의 임계치를 이용하여 수락, 거부, 결정유보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 비밀번호 전체에 대한 판단 규칙을 제안하였다. 지역적 결정에 필요한 화자에 대한 신뢰척도의 측정치는 확률신경망을 통해 구하였다. 다섯 명의 화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실험에서 하나의 임계치를 이용한 기존의 방식은 5.3%의 오류를 나타냈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은 2.1%의 오류를 보였다.

  • PDF

A GSM User Authentication Model using Speaker Verification (화자인증을 이용한 GSM 사용자 인증모델)

  • Park, Mi-Og;Kim, Eun-Hwan;Jun, Moon-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887-890
    • /
    • 2002
  •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표준은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사용하는 안전한 모바일 폰 시스템을 위해서 디자인되었다. 하지만, GSM이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 그래서, 본 고에서는 GSM 이동통신상의 전자상거래 이용자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 본 고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GSM의 사용자 인증을 개선하기 위해서 화자인증을 결합한 더 안전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 인증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인증 서비스를 어디에서 제공해 주느냐에 따른 모델에 대한 분석을 제시한다.

  • PDF

Improvement of Confidence Measure Performance using Background Model Set Algorithm (BMS 알고리즘을 이용한 거절기능 성능 향상)

  • Kim ByoungDon;Lee KyongRok;Kim JinYoung;Choi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2003.05a
    • /
    • pp.79-82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d Backgorund Model Set algorithm for the speaker verification to improve the shortcoming of calculating process in conventional confidence measure(CM). CM is to display relative likelihood between recognized models and unrecognized models. Unrecognized models is known as antiphone models. Calculate probability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all phonemes at process that compose antiphone model. At this process, antiphone CM brought bad result. Also, recognition time increases. In order problem, we studied about method to reconstitut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aking BMS algorithm using antiphoneme that near phoneme of CM calculation.

  • PDF

Development of Directional Digital Hearing Aid Performance Testing System (지향성 보청기 성능 검사 장치 개발)

  • Jarng, Soon-Suck;Kwon, You-Jung;Lee, J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5.11a
    • /
    • pp.469-474
    • /
    • 2005
  • The most recent trend on digital hearing aid is to increase the ratio of signal to noise by directivity or to develop noise reduction algorithm inside DSP IC chip. This paper designed, fabricated and tested a digital hearing aid directivity testing device in which a micro-mouse-1ike the stepping motor with a speaker rotates around an examinant. Both ears of the examinant were fixed with ITE hearing aids in order to response to receiving sound.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a boundary element method program for verification. The diameter of the directivity testing device was 2 [m] and the micro-mouse was precisely controlled by PICBASIC micro process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