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otemporal

검색결과 603건 처리시간 0.032초

일본의 시정촌 통합과 행정구역 재편의 공간정치 (The Politics of Space in the Municipal Mergers of Japan)

  • 조아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9-143
    • /
    • 2010
  • 지난 10년간 일본에서는 대대적인 행정구역 개편이 진행되어, 시정촌 수가 약 40% 감소하는 지각변동을 경험하였다. 이 연구는 월경지 형성에 주목하여, 일본의 시정촌 통합의 과정을 공간정치적 관점에서 밝혀보고자 하였다. 일본에서 시정촌 통합이 추진되어 온 배경과 경과는 행정구역 개편이 '지방분권' 보다는 국가의 재정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구조조정'의 성격을 띠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그 결과 일본의 시정촌 통합은 시 공간적으로 불균등하게 진행되었다. 연구지역의 시정촌 통합은 재정속성, 인구속성, 입지성, 영역성, 장소성, 의사결정의 정치성의 다각적인 공간정치로 분석된다. 행정구역은 기본적으로 공간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행정구역의 재편은 지역의 특수성과 일반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섬진강 하구를 통한 용존무기영양염 유출량 변동 (Variations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 Flux through the Seomjin River Estuary)

  • 박미옥;이재성;김성수;김성길;이석모;이용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049-1060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along a saline gradient to estimate nutrient fluxe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during dry (March 2005, March 2006, March 2007, and March 2008) and rainy seasons (August 2005, July 2006, July 2007, and July 2008).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concentrations were similar in the endmembers of freshwater for the rainy and dry seasons. In contrast, the concentrations of dissolved inorganic phosphate and silicate in the rainy season were approximately 2-3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dry season. River discharge was approximately 10 times higher in the rainy season ($212m^3sec^{-1}$) than in the dry season ($21m^3sec^{-1}$). The fluxes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phosphate, and silicate were 2.91, 0.004, and 2.51 tons $day^{-1}$ in the dry season and 7.45, 0.421, and 30.5 tons $day^{-1}$ in the rainy season, respectively. Although the range of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similar to previous results from investigation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the nutrient fluxes were differed according to river discharge for different survey period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성을 위한 클러스터 기반의 연속 객체 예측 기법 (Cluster-based Continuous Object Prediction Algorithm for Energy Efficienc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이완섭;홍형섭;김상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8C호
    • /
    • pp.489-496
    • /
    • 2011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넓은 지역의 현상 및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하기 위해 에너지 효율성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망에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센서노드들에 대한 선택적 활성화 기법은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택적 활성화 기법을 적용한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침입자, 탱크와 같은 개별객체에 대해서만 고려했기 때문에 산불, 유독가스와 같은 연속객체에 대해서는 기존 기법을 적용하기 어렵다. 이는 연속객체들은 주변 환경의 영향에 상당히 민감하기 때문에 매우 유동적이고 불안정하여 이동할 다음 위치를 단순히 시공간 기법만을 가지고 예상할 수 없지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망의 센서노드들이 충분히 밀집한 경우 보다 정밀한 예측을 위해 객체가 퍼지거나 수축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의 센서들을 클러스터 단위로 활성화 시키는 클러스터 기반의 선택적 활성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방안은 예측을 위한 계산이 동시에 수행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예측을 함에 있어 비동기식 기법을 적용한다.

레이더와 지상관측소 강우자료를 이용한 시공간 강우 조정 모형 (A spatiotemporal adjustment of precipitation using radar data and AWS data)

  • 신태성;이규원;김용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1호
    • /
    • pp.39-47
    • /
    • 2017
  • 현재 국내에는 무인 관측소인 AWS를 포함하여 많은 지상 강우 관측소를 통해 강우 데이터를 생성하고 있으며, 최근 국토해양부에서는 국내 최초로 대구 비슬산에 이중편파 강우레이더를 설치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전국적으로 강우강도와 강우의 분포를 추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AWS의 경우 실제 지면에 내린 강우량을 직접 측정하므로 실제 강우량과 근사한 값을 갖지만 AWS의 개수가 적어 강우의 공간분포를 확인하기에는 불충분하다. 반면에 레이더의 경우 광범위하게 측정할 수 있으나 강우 강도와 반사율의 관계식을 통해 강우량을 측정하기 때문에 실제 지면에 내린 강우량과 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적 공간적 강우강도 및 분포를 확인하는데 이점이 있는 레이더 강우 자료와 실제 강우량과 근접한 지상 관측소에서 측정한 강우자료를 사용하여 두 자료에 대한 선형모형을 적용하고, 이 선형모형으로 설명되지 않는 오차에 대해서 공간구조를 가정하여 AWS의 강우자료가 없는 지역의 지상강우량을 추정하여 지상 강우 필드를 생성하였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한반도 미래 풍력자원 지도 생산 (Production of Future Wind Resource Map under Climate Change over Korea)

  • 김진영;김도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앙상블 중규모기후모델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WRF)를 이용하여 2045년부터 2054년까지 21세기 중반의 기후변화에 대한 우리나라 미래 풍력자원 지도를 제작하였고 월별, 시간대별 자원변화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한반도상에서 강한 몬순 순환으로 인해 뚜렷한 월별 시공간 변동성이 해륙풍에 의한 시간대별 변동성보다 컸다. 풍력자원이 큰 강풍지역은 월마다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즉 겨울철 북서계절풍(여름철 남서계절풍)이 주풍일 때 각각 강원산간과 해상 그리고 남서해안에서 자원이 많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최대풍과 최소풍은 1월, 9월에 각각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었고, 시간대별로 내륙과 산간은 일중편차가 컸지만 연안지역은 편차가 작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는 현재기후에 대한 기존분석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이 연구에서 생산된 미래 풍력자원 지도는 향후 기후 변화 가능성이 큰 지역의 시공간적 풍황을 감안하여 풍력단지 입지 선정 및 풍력운영을 위한 장기계획 마련에 있어서 유용한 자료가 되리라 기대된다.

아급성 기저핵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보행양상의 변화 : 후향적 연구 (Changes in the Gait Pattern of Hemiparetic Patients with Subacute Basal Ganglia Stroke: a Retrospective Study)

  • 홍해진;김철현;성강경;이상관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90-997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observed changes in gait pattern according to the motor grade of the paretic lower limb in patients with basal ganglia stroke who are in the subacute phase. Methods: We used the Manual Muscle Test (MMT) to evaluate the motor grade of the paretic lower limb of 21 patients with subacute basal ganglia stroke and then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MMT results. Stroke patients with a motor grade above Gr. III were put in group I (15 people) and those with a grade less than Gr. III in group II (6 people). We also estimated spatiotemporal factors using treadmill gait analysis equipment. The values were gait velocity, step length, step time, double support phase, and cadence. The first measure was conduct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admission and the second was between four and five weeks after admission. Results: In Group I, the gait velocity and step length of both leg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II, the step length and step time of the paretic side and the gait velocity tended to decrease, but not significantly. The step length of the paretic side in Group II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in Group I at the first measure. The step time of the paretic side in Group I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in Group II and gait velocity and cadence in Group I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Group II at the second measure. Conclusions: The gait parameters of all stroke patients improved in terms of time. In addition, the changes in gait patter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otor grade of the paretic lower limb.

The Effect of Hinged Ankle-Foot Orthosis on Walking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A Cross-Sectional Pilot Study

  • Kang, Jeong-Hyeon;Kim, Chang-Yong;Ohn, Jin-Moo;Kim, Hyeong-Dong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7권1호
    • /
    • pp.43-49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inged ankle-foot orthosis (HAFO) on walking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CP). Methods: Thirty-two children (mean age: $6.79{\pm}0.35years$, age range: 5-7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subject typically walked through 10 meters of a gait platform with markers on the subject's proper body segments and underwent 3-D motion analysis system with and without hinged ankle-foot orthosis. The HAFOs were all custom-made for individual CP children and had plantarflexion stop at $0^{\circ}C$ with no dorsiflexion stop. The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over three trials in each group, an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each subject by one examiner in three trials. 3-D motion analysis system was used to measure gait parameters such as walking velocity, cadence, step-length, step-width, stride-length, and double support period in two conditions. Results: The walking velocity, cadence, step-length, and stride-length were significantly greater for the HAFO condition as compared to the no HAFO condition (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ep-width and double support period was observed between two condition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sing the HAFO during walking would suggest positive evidence for improving the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gait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지도에서 위치 기반의 센싱 데이터 가시화 방안 연구 (A Study of Visualization Scheme of Sensing Data Based Location on Maps)

  • 최익준;김용우;이창영;김도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57-63
    • /
    • 2008
  • 최근 센서 네트워크에서 수집된 다양한 상황 정보를 웹을 통해 지도상에 도시하는 SWE(Sensor Web Enablement) 연구가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OGC SWE WG(Working Group)에서는 실시간으로 시공간에서 발생하는 영상 및 센싱 데이터 등에 대한 인코딩과 웹 서비스를 지원하는 표준을 정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물체에서 획득한 실시간 센싱 데이터를 도시하기 위해 지도 상의 이동 노느에 GPS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를 맵핑하여 2 차원 지도에서 위치 기반의 센성 데이터 가시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2 차원 지도에서 위치 기반의 센싱 데이터 가시화하기 위해 위치 정보를 지도의 좌표로 변환하는 알고리즘과 처리 절차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동 노드의 GPS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2 차원 지도 상에서 도시하는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를 통하여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실시간 동영상이나 센싱 데이터 정보를 웹 기반의 지도 상에서 효과적으로 가시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도시와 농촌 거주 노령인구의 시간활동양상 차이와 초미세먼지 (PM2.5) 노출 (Time-activity Patterns and PM2.5 Exposure of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 임채윤;곽수영;이기영;홍윤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9
    • /
    • 2016
  • Objectives: Personal exposure to air pollution is affected by contact over time and by lo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exposure to $PM_{2.5}$ and the time-activity patterns of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Methods: A total of 44 elderl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a 24-hour $PM_{2.5}$ personal exposure measurement. Twenty-four were from Seoul (urban area) and 20 were from Asan (rural area). Energy expenditure and spatiotemporal positioning were monitored through $PM_{2.5}$ measurement.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M_{2.5}$ and time-activity pattern. Results: Daily average $PM_{2.5}$ personal exposures were $19.1{\pm}9.7{\mu}g/m^3$ in Seoul and $29.1{\pm}16.9{\mu}g/m^3$ in Asan. Although outdoor exposure was higher in Seoul than in Asan, residential indoor exposure was higher in Asan than in Seoul. Higher $PM_{2.5}$ personal exposure in Asan could be explained by longer time in residential indoor environments and higher indoor $PM_{2.5}$ concentrations. Seoul elderly had higher energy expenditure, which may be due to the use of mass transportation. Conclusion: Personal exposure to $PM_{2.5}$ was higher among Asan elderly than Seoul elderly because of high residential indoor concentrations and longer residential time. Lack of energy spent and higher personal exposure to $PM_{2.5}$ might have led to higher risk among the Asan elderly.

Neuron-specific expression of p48 Ebp1 during murine brain development and its contribution to CNS axon regeneration

  • Ko, Hyo Rim;Hwang, Inwoo;Ahn, So Yoon;Chang, Yun Sil;Park, Won Soon;Ahn, Jee-Yin
    • BMB Reports
    • /
    • 제50권3호
    • /
    • pp.126-131
    • /
    • 2017
  • P48 Ebp1 is expressed in rapidly proliferating cells such as cancer cells and accelerates cell growth and survival. However, its expression pattern and role in central nervous system development have not been studied. Here, we demonstrated the spatiotemporal expression pattern of p48 Ebp1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and the postnatal period.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p48 Ebp1 was highly expressed in the brain. Expression gradually decreased after birth but was still more abundant than p42 expression after birth. Strikingly, we found that p48 Ebp1 was expressed in a cell type specific manner in neurons but not astrocytes. Moreover, p48 Ebp1 physically interacted with beta tubulin but not alpha tubulin. This fits with its accumulation in distal microtubule growth cone regions. Furthermore, in injured hippocampal slices, p48 Ebp1 introduction promoted axon regeneration. Thus, we speculate that p48 Ebp1 might contribute to microtubule dynamics acting as an MAP and promotes CNS axon regen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