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object

검색결과 1,248건 처리시간 0.028초

스티븐 홀의 건축공간에서 나타나는 현상적 빛의 표현방법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ethods of Phenomenal Light In Steven Holl's Architecture)

  • 장현주;박찬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43-15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o make use of the light and expression methods to embody phenomenal space by considering the representat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a variety of 'Phenomenal light' in his works focused on the Steven Holl's views that thought the light as object of creating space. The process is summarized as follows: (1)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 and color, Classify concept and type of phenomenal light by phenomenal color (2)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ethods of the phenomenal light in the Steven Holl's architecture (3) Finally, organize the concepts and representation techniques of phenomenal light, and then present method to embody phenomenal space by light. According to th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erceptual color by the light of the sense forms a variety of perception and texture of light and shadow according to the contrast of shades and the change of materiality, thus embodying multisensory space with the light as the medium approach that helps to experience formal and tactile senses. (2) Spatial color by the light of volume distinguishes the flow and movement of sight, and embody inducing space with the light as Atypical activity that forms atmosphere of space through concentrated or overlapped mass of light and darkness. (3) Existential color by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visualizes the existence of the uncertain light, and embody the receptive space with the light as emotional communication that forms symbolic and psychological meaning through metaphorical phenomena of colored light.

교통영향평가를 위한 GIS의 적용기법 (The Technique of GIS Application for Transportation Impact Assessment)

  • 양인태;김동문;김연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1-98
    • /
    • 1996
  • 교통영향평가는 일정규모 이상의 사업시행으로 교통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사업에 대하여 교통의 영향을 분석, 그 결과에 따라 사업계획을 조정 또는 교통시설을 확충하여 교통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하는 제도로, 교통계획에서 뿐 만 아니라 교통관리체계에서도 중요한 과정이다. 그래서 교통영향평가는 그 대상지역을 광범위하고 상세하게 막대한 양의 자료를 수집, 편집,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수집된 대단위 자료의 처리가 가능해야만 한다. 교통영향평가에 있어서 GIS는 평가에서 요구되어지는 위와 같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상당히 만족할 만한 경과를 얻게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그래픽과 통계적 수치, 그리고 속성자료를 결합하여 주변지역 토지이용 및 개발계획 현황, 교통시설 이용현황, 교통개발 공공계획, 교통수요 등을 종합적이며 유기적으로 취급 가능하게 하며, 또한 수집된 자료를 통한 조사분석, 예측, 문제점 제시 등에서 여러 가지의 통합적 분석을 통한 종합적인 문제점을 제시하여 교통영향평가에 있어서 GIS가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유비쿼터스 기반의 도시시설물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ing Management System for Urban Facilities Based on Ubiquitous)

  • 최병길;이철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통권39호
    • /
    • pp.61-66
    • /
    • 2007
  •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반으로 도시의 각종 시설물들을 관리할 수 있는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도시시설물을 대상으로 하여 관리대상별 항목, 유형, 코드 등의 데이터 포맷을 정의하고, 논리모델 수립 및 데이터 모델링 과정을 거쳐 도시시설물의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데이터베이스를 각 도시시설물들의 RFID Tag에 입력하고, RFID Reader와 PDA를 이용하여 도시시설물의 기본속성 정보 및 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구축된 유비쿼터스 기반의 도시시설물 종합관리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한 결과 대상 시설물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수정입력이 가능하였다. 또한 RFID Tag와 GPS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위환경 및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하드웨어 조합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온라인 분산게임 서버의 충돌처리 설계 (The Collision Processing Design of an Online Distributed Game Server)

  • 이승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72-79
    • /
    • 2006
  • 최근의 MMORPG 게임은 심리스 월드로 분할하는 분산 서버를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산서버 간의 공유영역에 해당되는 지역에 대한 충돌처리를 다룬다. 분산 서버간의 공유 영역에 대한 경계영역을 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DLS을 사용하고, 광선과 단말 노드 간의 충돌 위치 관계를 통하여 이웃 노드를 빠르게 탐색한다. 이렇게 구해진 노드의 값을 통하여 객체 간의 충돌처리를 판별한다. 이것은 각 서버가 공유 영역에 대한 정보를 계속 보유할 필요가 없고, 서버간의 경계 영역을 포인터를 이용하여 빠르게 탐색할 수 있게 한다. 충돌은 계층적 경계상자를 이용하여 인접한 개체의 값들을 그룹으로 이진트리로 구축한다. 이러한 처리 방법은 처리량을 이분화 시켜 효과적으로 처리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시간적으로 발생되는 개체 정보의 변경 시 공유영역에 대한 복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처리량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 PDF

H.264 / MPEG-4 AVC에서의 B 픽쳐를 위한 시간적 다이렉트 모드 (Temporal Directmode for B Picture in H.264 / MPEG-4 AVC)

  • 전병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300-309
    • /
    • 2002
  • 본 논문은 H.264 / MPEG-4 AVC 비디오 코덱에서 쌍예측 픽쳐의 시간적 다이렉트 모드의 모션벡터를 유포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우선, 다이렉트 모드의 list 1 레퍼런스 픽쳐에 있는 동일 위치 블록에서의 시간적 다이렉트 모드의 모션벡터 유포를 위해 사용될 모션벡터 결정 방법과 상기 결정된 모션벡터가 가리키는 레퍼런스 픽쳐를 다이렉트 모드의 list 0 레퍼런스 픽쳐로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동일 위치의 매크로블록이 인트라 모드를 예측모드로 가지고 있을 때, 코딩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써 레퍼런스 픽쳐 인덱스 및 다이렉트 모드의 모션벡터를 공간적으로 예측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쌍예측 픽쳐 매크로블록과 다이렉트 모드의 list 1 레퍼런스 픽쳐에 있는 동일 위치 블록은 프레임 모드 또는 피일드 모드로 코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4가지 경우에 대한 다이렉트 모드의 모션벡터 연산 방법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한 공간적 다이렉트 모드와의 성능평가 결과를 보임으로써, 본 논문이 제시한 기법이 H.264 / MPEG-4 AVC의 시간적 다이렉트 모드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MASF 적용을 위한 계층적 움직임 추정 기법 (Hierarchical Motion Estimation Method for MASF)

  • 김상연;김성대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7-13
    • /
    • 1996
  • MASF는 영상신호의 잡음제거나 시간축 주파수대역 제한의 목적에 이용을 위하여 제안된 일종의 시간필터이다. 영상신호는 2차원 공간과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3차원 신호로서 MASF는 영상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영상신호의 시간에 따른 변화 정보를 공간 영역에서 필터링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부정확한 움직임이 MASF에 이용될 경우 필터링 결과는 왜곡된 값을 갖는다. 현재, MASF에 이용하고 있는 움직임 추정 방법은 블록 정합 알고리듬으로 블록단위의 움직임을 추정한 후에 2차 선형보간으로 각 화소단위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영상 시퀀스 내에 있는 물체의 움직임이 탐색범위를 넘어서거나 영상내에 많은 잡음이 있을 경우에 잘못된 움직임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부정확한 움직임이 MASF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계층적 움직임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모의실험 결과를 보면 제안된 방식을 MASF에 이용하므로서 탐색 범위를 벗어나는 큰 움직임이 있을 경우나 많은 잡음이 포함된 상황에서도 신뢰할 만한 필터링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항공영상과 라이다데이터의 기하학적 정합을 위한 외부표정요소의 조정 (Adjustment of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Geometric Registration of Aerial Images and LIDAR Data)

  • 홍주석;이임평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85-597
    • /
    • 2009
  • 본 연구는 항공다중센서시스템으로부터 동시에 취득되는 항공영상과 라이다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기하학적 불일치를 제거하는 정합 방법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제안된 방법은 크게 정합요소의 추출, 정합요소간의 상호일치성 수립, 영상외부표정요소의 조정계산으로 구성된다. 정합요소로써 라이다데이터로부터 평면패치와 교면에지를 항공영상으로부터 객체점과 연결에지를 추출한다. 추출된 정합요소를 수평 및 수직요소로 구분하여 상호일치성을 수립한다. 이를 광속조정번에 확률제약조건으로 적용하며 외부표정요소를 정밀하게 조정한다. 제안된 방법을 실측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에 따르면 외부표정요소 중에 자세변수에 대한 의미 있는 조정이 이루어졌으며, 조정에 사용된 대상객체에 존재하던 최대 2m 정도의 기하학적 불일치가 조정 후에 약 2cm 정도로 크게 감소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히 도시지역의 고품질의 3차원 공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융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건물 에지 버퍼를 이용한 Quickbird 영상의 도심지 그림자 추출 (Shadow Extraction of Urban Area using Building Edge Buffer in Quickbird Image)

  • 염준호;장안진;김용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3-171
    • /
    • 2012
  •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높은 공간해상도의 이점으로 도심지역의 건물 및 도로망 분석, 경관 분석, 생태 환경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심지역의 건물, 교량, 기타 구조물 등 높이 변화를 갖는 개체들은 영상 전체에 걸쳐 그림자 문제를 필연적으로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토지 이용 요소를 포함하는 넓은 영역의 도심지에 그림자 추출 기법을 적용하고, 수동으로 추출된 참조 그림자 지도와 비교하여 정량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Canny 연산자와 팽창 필터를 이용하여 건물 영역의 인접 정보에 대한 버퍼 영역을 생성하고, Gram-Schmitt 융합 영상에 객체분할기법을 적용하여 생성된 객체들의 분광, 공간 인자들을 계산하였다. 이후 계산된 분광 및 공간 인자 특성과 건물 버퍼 영역과의 중첩여부를 바탕으로 도심지역의 그림자 추출에 가장 적합한 인자와 임계 규칙을 생성하였으며 추출된 그림자 지역 중 이상 객체를 추가적으로 제거하였다. 다양한 정량적 평가지수를 통해 제안된 그림자 추출 기법을 평가한 결과80%~90%의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2 단계 결정트리 학습을 이용한 뇌 자기공명영상 분류 (Classification of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es using 2 Level Decision Tree Learning)

  • 김형일;김용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1호
    • /
    • pp.18-2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뇌 자기공명영상을 분류하기 위하여 결정트리 알고리즘을 2 단계로 적용하는 영상 분류 시스템을 제안한다. 영상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크기, 색상, 질감, 윤곽선 등 영상으로부터 직접 얻을 수 있는 하위레벨 특징들이고, 다른 하나는 특정 객체의 존재 유무, 여러 부위 사이의 공간적 관계 등 분할된 영상들에 대한 해석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상위레벨 특징들이다. 의미에 따라 영상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상위레벨 특징들을 기반으로 학습 및 분류가 수행되어야 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결정트리 학습을 각각의 레벨에 개별적으로 적용하며, 하위레벨 분류 결과를 이용하여 상위레벨의 특징을 추출한다. 종양이 있는 뇌 자기공명영상 집합에 대하여 분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몇 가지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스마트폰 카메라의 기하학적 검정과 정확도 평가 (Geometric Calibration and Accuracy Evaluation of Smartphone Camera)

  • 김진수;진청길;이성규;이선구;최철웅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5-125
    • /
    • 2011
  • 최근 이슈가 되어온 스마트폰에는 고해상도 카메라, Assisted GPS,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그리고 자기 계측 센서와 같이 측량에 직접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이 탑재되어 있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검정하고 그 정확도를 평가함으로써, 사진측량에 스마트폰 영상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먼저, 스마트폰 카메라의 정확도 평가에 앞서 각 카메라의 렌즈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카메라 검정이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광속조정에 의해 계산된 영상 좌표 및 대상물 좌표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3차원 위치 결정에 있어 렌즈 왜곡 계수의 고려 유무에 따른 결과 분석이 이루어졌고, 최종적으로 측량용 카메라에 대한 스마트폰 카메라의 상대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카메라의 왜곡 보정에 있어 고차항의 방사 왜곡 계수도 고려되어야 하며, 측량용 카메라에 의한 결과와 미소한 차이를 나타내어 사진측량에 스마트폰 영상의 활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