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distribution map

검색결과 403건 처리시간 0.023초

VR 기반 2D/3D Map Navigation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2D/3D Map Navigation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 권오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928-933
    • /
    • 2006
  • 이 논문은 사용자가 2D/3D 공간 데이터를 안전하게 하면서 속성 정보를 공급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2D/3D 맵 네비게이션 체계를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검색하는 위치를 2D 또는 3D 방식으로 다양하게 전의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준다. 또한 이 시스템은 고해상도의 조형물 전의가 가능하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기존의 2D/3D에 비해 명칭, 전화 번호, 기타 관련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지원해주는 2D/3D 공간 데이터 베이스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통합된 2D/3D 공간데이터 베이스 구조를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인터페이스의 개발 적용과 더불어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도시생태계 내 조류 종풍부도 증진을 위한 인간영향 및 교란가능성의 반영 (Consideration of human disturbance to enhance avian species richness in urban ecosystem)

  • 김윤정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5-34
    • /
    • 2021
  • Increase in avian species richness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of urban biodiversity policies, since it can promote diverse ecosystem services such as seed dispersal, education, and pollination. However, though human disturbance can significantly affect avian species richness, there are limited studies on the way to reflect the dynamics of floating popul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avian species richness, floating population, and vegetation cover using telecommunications information to identify the areas that requiring targeted monitoring and restoration action. Bivariate Local Moran's I was applied to identify LISA cluster map that showing representative biotopes, which reflect significant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richness and population distribution. Edge density and distribution of ndvi were identified for evaluating relative adequacy of selected biotopes to strengthen the robust biodiversity network. This study offers insight to consider human disturbance in spatial context using innovative big data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urban biodiversity measures.

격자기반의 토양수분 추적에 의한 지하수함양량 추정기법 개발 (Groundwater Recharge Assessment via Grid-based Soil Moisture Route Modeling)

  • 김성준;채효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61-72
    • /
    • 2000
  •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격자기반의 일변 토양수분 추적기법을 모델링하였다. 본 모델은 GRASS-GIS를 이용하여 모델에 필요한 자료들을 준비하고, 모델은 이들을 ASCII 형태로 받아들여 일별 수행결과(유역출구에서의 유출량, 지표유출 분포도, 토양수분 분포도 등)들을 GRASS상에서 도시하여 주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보청천유역의 일부인 이평교 유역($75.6\;\textrm{km}^2$)을 대상으로 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95년 및 '96년도의 IHP유역 연구보고서 자료를 이용하여 실측 일유출자료와 모의 일유출자료를 비교하였다. 일단위 및 월단위의 유역 토양수분의 변화양상을 공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기법을 이용하여 1995년도 보청천의 이평교유역에 대한 지하수 함양량을 계산하였다.

  • PDF

GIS 자료를 이용한 초과소음지도 작성과 소음 평가 (Excess Noise Map for Environmental Standard and Assessment of Noise with Using GIS Data)

  • 고준희;이병찬;임재석;박수진;장서일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10호
    • /
    • pp.1075-1082
    • /
    • 2009
  • Using GIS data of C-si as basic data when making noise map of road traffic, we estimated exactly the noise excess areas and consequently suggested the population and the area exposed to road traffic noise accurately. We made 3D noise map to assess regional distribution of noise quantitatively. The noise map consists of noise prediction model based on data base such as traffic volume and speed changes for estimating quantitatively the noise and 3D urban space model which includes locations of noise sources, 3D buildings, topography and roads. We made noise standard map according to land use conditions and compared this map to road traffic noise map, and consequently made excess noise map. Using excess noise map, we assessed areas which exceed environmental noise level standards and noise guidelines quantitatively and effectively through GIS spatial analysis, and consequently more accurate noise exposed area and noise exposed population could be estimated. To show buildings' outer walls noise exposure, we analyzed 3D urban noise distributions using 3D-analysis of GIS.

아토피 피부염 환자 발병률의 지역적 특성 분석 - 모란지수 방법을 활용하여 - (An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the Atopic Dermatitis Patients : With an Application of the Moran Indices)

  • 임동표;정환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83-592
    • /
    • 2015
  • 산업화 이후 환경성 질환의 증가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들의 지역적 차이와 특성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하여 환경성 질환의 지역분포와 지역적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성 질환 중 아토피 피부염을 대상으로 국지모란지수를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지역별 군집성 정도와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분포는 지역적으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일반적 예상과 달리 서울시가 비교적 청정한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수도권 지역 중 인천 서구 등 42곳은 아토피 피부염의 핫스팟 지역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방 중 단양군 등 39곳은 아토피 피부염의 콜드스팟이 도출되었고, 환경과의 연관성을 추론할 근거가 나타났다. 넷째,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독특하게 아토피 핫스팟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지역분포 특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차후 보건지리학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서울시 토지이용과 교통량에 따른 미세먼지의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particulate matters in comparison with land-use and traffic volume in Seoul, Republic of Korea)

  • 정종철;이상훈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123-138
    • /
    • 2018
  • 서울시의 대기오염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그동안 환경부는 운영하고 있는 대기오염 측정망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왔다. 측정되는 대기오염 물질 중 미세먼지는 인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데, 우리나라의 오염도는 OECD 국가 중에서도 두 번째로 높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의 미세먼지 분포도를 PM10과 PM2.5에 대해 작성하고, 미세먼지 농도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공간적인 요인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반경 500m의 원을 포함하는 헥사곤을 기준단위로 하여 서울 전역을 구획화하고 보간법 중 거리반비례기법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농도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출, 퇴근 시간대의 미세먼지 농도분포를 지역별로 분석하고, 토지이용도 및 교통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M10과 PM2.5의 농도분포는 지역별, 시간대별로 각기 다른 패턴을 나타내었고, 토지이용형태 측면에서는 상업지역 및 교통지역의 면적이 미세먼지 농도분포와 높은 관련성을 보였으며, 녹지의 유무도 농도의 분포 변화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후 세부적인 토지이용도 및 녹지분포도 등을 통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면 미세먼지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에서의 공간요소를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반도 서남부 암설사면지형의 분포가능성 예측 및 검증 (Prediction and Verification of Distribution Potential of the Debris Landforms in the Southwest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 이성호;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7
    • /
    • 2020
  • This study evaluated a debris landform distribution potential area map in the southwest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GIS spatial integration technique and logistic regression method were used to produce a distribution potential area map. Seven topographic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considered for analysis and 28 different data set were combined and used to get most effective results. Moreover, in an accuracy assessment, the extracted results of the Distribution Potential area were evaluated by conducting a cross-validation module. Block stream showed the highest accuracy in the combination No. 6, and that DEM (digital elevation model) and TWI (topographic wetness index) have relatively high influences on the production of the Block stream Distribution Potential area map. Talus showed the highest accuracy in the combination No. 13. We also found that slope, TWI and geology have relatively high influences on the production of the Talus Distribution Potential area map. In addition, fieldwork confirmed the accuracy of the input data that were used in this study, and the slope and geology were also similar. It was also determined that these input data were relatively accurate. In the case of angularity, the block stream was composed of sub-rounded and sub-angular systems and Talu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rrain formation. Although the results of the rebound strain measurement using a Schmidt's hammer did not shown any difference in topographic conditions, it is determined that the rebound strain results reflected the underlying geological setting.

신 패러다임 맵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 설계 (Design of Framework for Implementation of the New Paradigm Map)

  • 김선우;양광호;박기식;박주영;나인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2-3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첨단 ICT기반의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미래형 지도에 대해 제안한다. 미래형 지도는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사실과 현상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통하여 다양한 형식으로 결과를 표현하고 사용자 참여형의 새로운 모습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향후 지도는 경제, 산업,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의 수집, 처리, 활용, 분석, 배포 및 공유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지향하는 지도 형태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관점으로 본 논문에서는 지도, 데이터베이스, 공간분석의 개념을 기반으로 현실공간의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실시간 개인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시계열 데이터의 표현을 특징으로 하여 사회, 경제, 문화 등 모든 분야의 거시 현상을 분석 및 예측하여, 미래창조경제를 선도할 수 있는 '신 패러다임 맵'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그에 따른 핵심 기술들을 기술한다.

GIS를 활용한 행정동별 천식환자 분포특성의 시각화: 대구시의 사례 연구 (Visualization of Asthmatic Distribution Patterns in accordance with Administrative Dong Using GIS: a Case Study of Daegu)

  • 신기동;엄정섭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3호
    • /
    • pp.179-191
    • /
    • 2006
  • The authors argue that the current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 for asthmatics appears to be non-user friendly due to lack of the cartographic representation for the text based statistical data. Acknowledging these constraints, an operational, user-friendly map for asthmatic prevalence has been generated by combining existing statistical data with the administrative Dong boundary map under GIS environment. The Geographical User Interface, in particular, were ideally suited to deriving the major distribution patterns that more asthmatic prevalence tends to be occurred on conventional commercial district and industrial complex. A visual map using spatial modelling technology were generated to show the fact that some degree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rends of asthmatic prevalence already exists in the experimental sites. It could be used as an evidence to restrict initiation of development activities causing negative influence to asthma such as road constru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play a crucial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environmental health information service if it is operationally introduced into the Government since the highly user-friendly interface provides a completely new means for disseminating information for asthmatics in a visual and interactive manner to the general public.

Vegetation Management Units and Its Landscape Structures of Mt. Cheolma, in Incheon City, Korea

  • Cho, Hyun-Je;Cho, Je-Hyung
    • 한국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태학회 2002년도 VIII 세계생태학대회
    • /
    • pp.71-77
    • /
    • 2002
  • For landscape ecological management of the isolated forestlands in Incheon city located in the western tip of South Korea, the forest vegetation of Mt. Cheolma was classified phytosciologically and mapped out its spatial distribution at a scale of 1:5,000. Characteristics of forest landscape structur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number and size of patches obtained by analyzing vegetation map. Units to manage the forest vegetation were categorized into eighteen communities, seventeen groups, and sixteen subgroups. Landscape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secondary vegetation, introduced vegetation for forestry (IVF), introduced vegetation for agriculture (IVA), and other elements. Two hundred and ninety-three forest landscape patches covers 443.3ha of which IVF accounted for 316.8ha(71.5%), the largest portion, secondary vegetation for f01.2ha(22.8%), IVA for 6.2ha(1.4%), and others for 19.1ha(4.3%). The ratio of natural forest elements of 31.9% showed that this area was mainly comprised of artificially introduced vegetation, such as Robinia pseudoacacia plantation and Pinus rigida plantation. Forest landscape patches have a mean area of 4.5ha, a density of 66.1/100ha, and a diversity index of 0.87. It was estimated that differentiation of patches recognized in community level would be related to human interference and those in subordinate level to natural proces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