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Unit

검색결과 872건 처리시간 0.023초

최근 공동주택 설계경기에 나타난 단위세대 계획개념 및 공간 계획 특성 - 2007년도 이후의 수도권 설계경기 당선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Concept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ulti-housing Units in Design Competition - Focused on the prize-wining works of design competition in Seoul and Kyunggi Area since 2007 -)

  • 김미경;문영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37-14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nning concept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ulti-housing units in prize-wining works of design competition since 2007.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199units over $59m^2$ were analyzed to review the planning concept, spatial composition and lay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The planning concept of these units were divided into three aspects; that is, eco-friendly, rational and sustainable unit plan by means of functional, environmental-friendly and future-oriented aspects. 2)Most unit plans had 3LDK+2bath and 4Bay types including family room as a public space. This results shows that family-room and bathroom has recently become more important than number of rooms in multi-housing units planning. 2)In term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LDK and Master Bed room, LDK area become large, open type and master-zone were showed 'bed room+dress and powder room+bath' type. 3)The entrance has a intermediated space as a balcony or a former space and the privacy of LDK space was protected from the entrance.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oaning on grasping current trend in Korean multi-housing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future direction on housing-unit design.

공간결합기를 이용한 Ka대역 20W급 SSPA 개발 (Development of the Ka-band 20watt SSPA (Solid State Power Amplifier) Using a Spatial Combiner)

  • 최영락;이종우;이수현;안세환;이만희;김홍락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31-23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단위 전력증폭기를 여러 개 결합하여 높은 출력을 얻을 때 결합 손실을 최소화하여 증폭기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파관과 cavity 구조로 되어있는 공간결합기를 이용한 Ka 대역 공간결합증폭기를 제안하였다. 제작된 공간결합증폭기는 Ka 대역 20W급의 SSPA로서 GaN bare die를 이용하여 설계된 5W급의 단위 증폭모듈 8EA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Hybrid Radial 구조의 8-way 공간분배기와 공간결합기를 이용하여 단위증폭모듈을 결합하였다. 제작된 공간결합기의 출력 결합손실은 약 0.334dB이며 약 92.6%의 효율을 얻었다. 본 논문의 공간결합증폭기는 최대포화출력 10W, 전력부가효율 15%이상을 목표로 개발하였으며, 측정결과 최대포화출력 30W와 전력부가효율19%의 결과값을 얻었다.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건강생활지원센터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기존 사례의 공간 근접도 분석을 통한 공간 유닛화와 모듈화 - (Space Planning of the Health Life Support Center using th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 Space Unitification and Modularization through Spatial Proximity Analysis of Case Projects -)

  • 장활제;권나현;안용한;안치원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1호
    • /
    • pp.43-5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use of modular construction method in order to promote the dissemination of the Health Life Support Center of the government, and to suggest the modular unitification and modularization plan for the necessary space data in the initial stage. By analyzing the floor plans of the 50 case projects currently in operation, the 28 required spaces and their spatial proximities are determined. Base on spatial proximities, each space is unitificated into a modular unit and modularized into a modular modules were integrated to modular proposals. As a result of this study, 13 unitificated modular unit floor planes and 3 modularized module floor planes including the staircase unit were proposed. However, future study have needed to study how to apply them to different actual sites and how to reduce cost.

밀도구분도 매핑을 이용한 통계정보 공간 내삽의 유효성 평가 (An Evaluation of Spatial Interpolation of Statistical Information Using Dasymetric Mapping)

  • 이병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3-350
    • /
    • 2006
  • 인구통계와 같이 임의의 공간 단위로 집계되는 통계자료를 위성영상이나, 여타 다른 GIS 도형정보와 통합하여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호간의 공간 단위를 일치시켜야 한다. 밀도구분도 매핑 기법은 집성된 통계자료를 분해하여 세밀한 공간 단위로 나누거나, 행정구역과 같은 객체 단위의 데이터를 연속된 표면 모델로 만드는데 적용 가능한 기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밀도구분도 매핑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1) 연구대상지역의 사업체 정보를 행정동 단위의 통계로 집계하고, 2) 행정동 통계에 밀도구분도 매핑 기법을 적용하여 사업체의 분포를 구하고, 3) 공간 내삽에 의해 구해진 사업체의 분포와 원 정보로부터 구해진 분포를 비교하여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농촌 마을경관을 고려한 지역경관계획 수립 방안 연구 - 완도군 약산권역을 사례로 - (A Study on Rural Landscape Planning Based on Rural Village Landscape - A Case Study on Yacksan at Wando -)

  • 김성학;양병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82-90
    • /
    • 2009
  • 이 연구는 농촌마을의 경관계획을 실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경관기초단위 도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지금까지 다양한 농촌공간의 경관단위 및 경관 요소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지만 실질적인 계획적 측면에서 농촌지역 경관계획을 수립하는데 농촌마을단위의 경관적 정체성을 반영하는데는 그 한계가 있었다.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경관에 관한 계획적 접근은 농업과 주거단위를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농촌경관계획과 주거지를 대상으로 하는 마을경관계획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의 한 부분으로 실행되고 있는 경관계획에 마을경관이 가지고 있는 경관 정체성을 반영하고 이를 통하여 마을경관이 가지고 있는 경관적 정체성을 확보하며, 나아가 농촌 경관계획이 보다 현실적 측면에서 실행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지역인 완도군 약산면을 자연적 특성에 기초하여 1:5000 지형도를 이용한 수계단위별 시각적 한계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마을 경관의 가시영역 경계를 설정하였으며, 가시영역안의 경관이 하나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농촌 어메니티자원 분류에 의한 경관자원요소들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현장조사결과와 가시영역과의 경관적 정체성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마을경관단위를 확정한 후 그 특성을 도출하였다. 현재 여러 지역에서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기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농촌경관의 기초가 되는 마을경관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계획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지역경관계획으로 발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텐세그러티 단위 구조의 형상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ape-Determination for Tensegrity Unit-Structures)

  • 고광웅;권익노;권택진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69-76
    • /
    • 2002
  • The basic systems of spatial structures such as shells, membranes, cable-nets and tensegrity 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to create the large spaces without column. But there are some difficulties concerning structural stability, surface form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ensegrity systems are flexible structures which are reticulated spatial structures composed of compressive members and cables. The rigidification of tensegrity systems is related to selfstress states which can be achieved only when geometrical and mechanical requirements are simultaneously satisfied. In this paper, the force density method allowing form-finding for tensegrity systems is presented. And various modules of unit-structures are investigated and discussed using the force density method. Also, a model of double-layered single curvature arch with quadruplex using supplementary cable is presented.

  • PDF

공간단위 공사비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 공종별 공사비의 공간정보 부재로 인한 한계점 개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st Estimating Method based on Spatial Unit Focused on Improving Limitation Caused by Lack of Spatial Information of the Cost Based on Work Type)

  • 이기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31-139
    • /
    • 2011
  • 본 연구는 공공시설공사에서 VE의 코스트모델과 공사현장의 진도관리, 그리고 공사비 분쟁에서 공간정보의 부재로 인한 공종별 공사비 내역 정보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사비의 인식체계를 공간단위로 전환하는 개선 방안의 하나로 제안하는 건축물 세부공간단위의 공사비 원가계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공간단위의 공사원가 산정 시스템은 공사비를 구성하는 모든 공간 단위에서, 모든 공종, 공종을 구성하는 모든 자재, 노무 및 모든 비용 항목에 대한 정밀하고도 다차원적인 파악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농촌 생활서비스 시설 분포와 인구감소지역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of Rural Living Service Facilities and Depopulation Areas)

  • 최진아;김상범;김수연;조한솔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77-8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ach service facility per unit population(1,000 people) with population decline areas. For this purpose, major concepts such as living infrastructure services, Spatial Distribution of Rural Living Service Facilities, areas of declining population, and regional extinction were reviewed and trends in prior research.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Spatial Distribution of Rural Living Service Facilities' analysis criteria were set, and it was derived by 'the number of facilities per 1,000 population by township' using population data and rural space data. And the trend of each service sector was identifi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with 89 cities and counties in 'depopulation area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derive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In the medical, leisure, and sports infrastructure sectors, 'rural areas with few service facilities per unit population' and 'depopulated areas' tended to coincide.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ural and urban areas differed by sector, which is judged to depend on the inclusion of rural facilities and population density.

국가기초구역기반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전략 (Strategic Plan for Building of Spatial Decision Support Service based on National Basic Districts)

  • 강영옥;강애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85-97
    • /
    • 2013
  •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이용하여 합리적 의사결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축적된 사람, 건물, 토지, 사업체 등에 대한 공간정보가 필요하다. 해외에서는 공간의 최소단위를 정의하고 이 기반으로 정보를 구축하여 공간적 의사결정서비스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국가기초구역이 고시되었지만 국가기초구역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속성정보의 구축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가기초구역단위 공간데이터 축적을 통해 국가기초구역기반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구축하는 전략제안을 목표로 한다. 전략은 정보시스템 구성요소에 맞도록 제도부문, 데이터 및 시스템 부문, 서비스 부문으로 나누어 제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국가의 최소 공간단위로서 국가기초구역의 역할이 더욱 견고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The Integrated Design Optimization Technique for Spatial Structures

  • Lee, Sang-Ji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19-26
    • /
    • 2012
  • The technique of integrated design optimization is proposed to design spatial structures. Various element technologies such as topology optimization, layout editing and size optimization processes are used in an integrated mann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patial structure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present technique, a unit spatial structure is optimized and numerical results are described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