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Sound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3초

음상 확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센터 스피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enter Speaker in Television Receiver with Sound Image Expansion)

  • 이상훈;김동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31-1234
    • /
    • 1998
  • Many signal processing methods of widening the sound image for spatial impression have been studied. Most typical methods of widening the sound image are related to the phase shifting and precedence effect. However, these methods are not effective in center sound image. As listener's position moves from center to outside, the center sound image is shifted to the speaker. That is to say, the directional localization of center sound image is unstable.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levision audio system including center speaker, and analyze the role of center speaker using theory of Makida and precedence effect. In experiments, we confirm the usefulness of the center speaker for the stability of center sound image.

  • PDF

선착효과 및 반사음을 이용한 스테레오 음상확대 (Stereo Sound Irmge Extension Using Preredence Effect and Reflected Sounds)

  • 한찬호;이법기;정원식;고일석;최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24-31
    • /
    • 2001
  • AV시스템에서, 스테레오 스피커간의 거리가 좁기 때문에 실감나는 사운드효과를 내기가 매우 어렵다. 지금까지 공간적으로 음상을 확장시키는 신호처리방법이 많이 연구되었다. 음상을 화장하는 전형적인 방법은 대부분 위상이동과 관련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반사성이 놓은 콘크리트 벽 구조에서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선착효과와 반사음을 이용하여 스테레오 음상을 효과적으로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기존 AV시스템이 스테레오 음상을 확장하는 방법이 실내가 넓을수록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 PDF

자동차 타이어 도로소음 예측 시스템 개발 (System Development for Road Noise Prediction of Automobile Tire)

  • 김병삼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1-90
    • /
    • 1998
  • Noise produced by surface transportation vehicles affects our daily lives, penetrating wherver man lives or works. In this paper, a theoretical model has been studied to describe the sound radiation by the surface vibration of in-service tires and studied about an experiment on sound radiation characteristic due to tire vibration. When a tire is analyzed, it has been modeled as a curved beams with distributed sprongs and dash-pots which represent the radial, tangential stiffnes and damping of tire,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for the sound radiation of a radial tire has been made. Based on the sound intensity and STSF(Spatial Transformation of Sound Field) techniques. the sound pressure and the sound radiation are measured. The comparison of numerically analyzed results with experimental results was made seperately for the tire in rot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a program for the prediction of the tire vibration sound radiation was intended to by developed which enables a designer of a tire to foresee the influence of the various design factors on the tire vibration sound radiation.

  • PDF

음장의 복소 포락과 응용 (Complex envelope of sound field and its application)

  • 박춘수;김양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02-505
    • /
    • 2006
  • Acoustic holography allows us to predict spatial pressure distribution on any surface of interest from measured hologram. It is noteworthy that the data size is so huge that it takes long time to calculate pressure field. Moreover the reconstructed pressure field is frequently too complicated to get what we want to know. One possible candidate is complex envelope. Complex envelope in time domain is well known and widely used in various engineering field. We have attempted to extend this method to space domain, so that we can have rather simple spatial pressure picture that provides information we need, for example, where sound sources are. First we start with the simplest case. We examine the complex envelope of a plane wave on both space and wave number domain. Then we extend to monopole case. Holographic reconstructed sound field on the monopole is processed according to what we propose. We demonstrate how this method provides better picture for analyzing the sound field.

  • PDF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실감 음향 분석 및 구현 (The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Realistic Sound using Doppler Effect)

  • 임용민;임형준;허준석;박준영;도윤형;이강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23-526
    • /
    • 2017
  • 최근 3차원 가상현실에서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실감 음향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가상현실에서 적용되는 실감 음향 생성 장치는 음원의 방위각과 위상에 대한 고려는 적용되어 있지만, 음향이 청자에게 다가오고 멀어질 때 발생하는 도플러 효과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 기술이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에서의 몰입감을 향상하기 위하여 입체음향 채널의 공간 회전축 스피커를 통해 도플러 효과가 더해진 3차원 입체 증감 음향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가상의 3차원 공간상에 위치하는 음원을 사용자가 있는 실제 공간에 대응시키고, 가상 음원의 위치에 따라 각각의 공간 회전축 스피커가 출력하는 출력량, 위상차 그리고 회전 각도를 조절해 3차원 실감 음향을 제공한다. 공간 회전축 스피커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회전음원의 자연적인 도플러 효과와 출력 음원의 주파수 변조를 통한 인위적인 도플러 효과가 더해져 청자에게 음원의 원근감을 더욱 사실적으로 느낄 수 있는 입체 증감 음향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 PDF

UHD TV를 위한 가상 음상의 인지 위치 (Perceptual Localization of a phantom sound image for Ultrahigh-Definition TV)

  • 이영우;김선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5호
    • /
    • pp.9-17
    • /
    • 2010
  • 이 연구는 다양한 라우드 스피커 구성인 2-horizontal, 2-vertical, triplet 라우드 스피커 구성에서 UHD TV를 위한 가상 음상의 인지 위치 결과를 제시한다. 비등간격 라우드 스피커 구성에서 가상 음상을 생성하기 위해 잘 알려진 vector-based amplitude panning 알고리즘을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실제 상황에서의 위치 인지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청취 평가는 일반적인 청취환경에서 TV의 on-axis와 off-axis에서 수행되었다. 인지 각도의 모호함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각도 조정 테스트 방법이 옥타브 밴드 신호의 각도 평가에 이용되었다. 피실험자는 실제 음원과 가상 조정된 음원의 각도가 일치할 때까지 조정각도를 변화하였다. 공간적 블러링은 각 밴드에서 인지된 조정 각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측정되었다. 청취 평가 결과는 triplet panning 방법이 vertical panning 방법보다 on-axis와 off-axis 둘 다, 인지 위치와 공간적 블러링 관점에서 더 나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고정된 공간 축 샘플링 간격을 적용한 뜯는 현악기의 현에 관한 물리적 모델링 (Physical Modeling of Plucked String Based on Fixed Spatial Sampling Interval)

  • 강명수;김규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12
    • /
    • 2001
  • 뜯는 현악기의 물리적 모델에서는 선형 시스템에 의해 현을 따라 이동하는 파동이 모델링 된다. 현재 양질의 악기 음 합성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 모델링 방법은 J.O. Smith가 제안한 디지털 도파관[1] 이론을 기초로 한다. J.O. Smith는 디지털 도파관 모델을 유도하기 위해 파동 방정식의 해를 이용했으며, 시간 변수를 기준으로 한 모델을 유도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이론에 파동 방정식의 공간 변수도 고려해 악기를 모델링 함으로써 기존의 디지털 도파관 모델을 변형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악기 모델에서는 파동의 속도에 관계없이 공간 변수의 샘플링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시간 변수의 변화에 따른 파동의 이동을 묘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새로운 악기 모델은 악기의 물리적인 움직임을 더 정확히 묘사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더 좋은 음질의 뜯는 현악기 음을 합성할 수 있다.

  • PDF

고역 주파수 영역에서 HRTF의 간략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mplification of HRTF within high frequency region)

  • 이채봉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머리전달함수(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 HRTF) 고역 주파수 영역에서의 간략화가 음상정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HRTF를 측정하였으며 측정한 HRTF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음원 반대편(음원에서 멀리 떨어진 귀)의 HRTF 고역 주파수 특성은 회절의 성질을 고려하면 머리에 의해 거의 감쇄가 된다. 이와 같이 감쇄된 주파수 영역에 대해서는 정위에 미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간략화가 가능하다. 간략화는 경계 주파수를 차단 주파수로 하는 지역통과 필터를 삽입하여 고역의 주파수 진폭특성을 평탄하게 함으로서 간략화를 하였다. 간략화를 한 HRTF를 평가하기 위하여 청취실험을 하였다. 청취실험의 결과, 정위오차에 대해서는 HRTF의 주파수 특성을 간략화 하여도 방향 지각에 영향이 없다는 것이 나타났다. 전후 혼란율에 대해서는 HRTF의 8kHz 이상의 주파수 특성을 간략화 하여도 영향이 없음이 나타났다. 최종적으로는 HRTF의 8kHz 이상의 주파수 특성에 본 연구의 간략화를 적용하여도 음상정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나타났다.

진동대를 이용한 모바일 진동 계측 기기의 사운드 트리거 계측과 진폭 트리거 계측 성능 비교 (Comparison Between Performance of a Sound-Triggered Measurement and an Amplitude-Triggered Measurement in Shaking Table Tests)

  • 마푼과나 시부시시웨;이종호;윤성원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17-126
    • /
    • 2019
  •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sensors have been widely used i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due to their convenience and lower costs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sensors. Triggered measurements are relevant in events such as earthquakes because unlike continuous measurements, they only record the structural response once an event happens. This is more cost effective and it makes the data more manageable because only the required measurements from the event are recorded. The most common method of triggering is amplitude triggering. However, lower input amplitudes (less than 0.1g) cannot be triggered by using this method. In this paper, sound triggering was introduced to allow triggered measurements for lower input amplitude values. The performance of the sound triggering and amplitude triggering were compared by a series of shaking-table tests. It was seen that sound-triggering method has a wider frequency (0.5~10Hz) and amplitude (0.01~1.0g) range of measurements. In addition, the sound triggering method performs better than the amplitude triggering method at lower amplitudes. The performance of the amplitude triggering, in terms of the triggering being simultaneous improves at higher input amplitu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