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Open Platform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초

미래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의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Future GeoSpatial Open Platform)

  • 김문기;윤동현;고준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59-68
    • /
    • 2015
  • 1995년 이후 수행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사업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많은 공간정보를 축적하였으며, 국토교통부는 2012년 1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V-World) 서비스를 시작하여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원하는 데이터와 민간의 비즈니스 영역에서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부재, 지자체에서의 활용 및 홍보 부족 그리고 민간협력 미흡 등의 난제로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으로써의 확실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이 서비스 된지 3년이 지난 현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면, 주로 해외진출, 연계, 서비스개선, 활용, 향후전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 해외의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동향과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신기술과 비즈니스 플랫폼의 개념, 서울시 공간정보 플랫폼 등을 종합하여 미래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의 구축을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Implementation of an open platform for 3D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WebGL

  • Lee, Ahyun;Jang, Insung
    • ETRI Journal
    • /
    • 제41권3호
    • /
    • pp.277-288
    • /
    • 2019
  • VWorld is run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f South Korea and provides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uch as aerial images, digital elevation models, and 3D structural models. We propose herein an open platform for 3D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WebGL using spatial information from VWorld. WebGL is a web-based graphics library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mpatible with various web browsers. Our open platform is also compatible with various web browsers. Accordingly, it is easily accessible via the VWorld site and uses the three-dimensional (3D) map program.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proposed platform configuration, and the requests, management, and visualization approaches for VWorld spatial information data. Our aim is to establish an approach that will provide a stable rendering speed even on a low-end personal computer without a graphics processing unit based on a quadtree structure. We expect that users will be able to visualize 3D spatial information through the VWorld open platform, and that the proposed platform will become the basis for various applications.

개방형 LBS 플랫폼 연동 대중교통 모바일 솔루션 개발 (Develop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Mobile Solution Working together Open LBS Platform)

  • 홍상기;김경호;박종현;이종훈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0-113
    • /
    • 2003
  • The development of an open LBS platform makes it easy to us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elecommunication companies which have different platforms and to develop various LBS solutions using position information. This paper proposes a mobile webservice solution providing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to the mobile subscribers working together open LBS platform.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eo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for Geospatial Information Convergence Industry

  • Song, Ki-Sung;Seok, Sang-Muk;Kwon, Hoe-Yun;Hwang, Jung-R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1-38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direction for improving 'Geo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service to support the converged and integrated geospatial information. Since there can be a number of issues relating to the support for geospatial information convergence industry, two qualitative surveys were performed to collect opinions comprehensively and specifically. The responses from 165 experts from 5 areas that use geospatial information were used, and the requirements of demanders were divided into the aspect of policy, aspect of data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and aspect of data utilization support in order to effectively analyze the survey results. As a result, a total of 26 major issues were derived and it was deemed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expand the role of 'Geo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from "Open-API Oriented Passive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to "Platform that Comprehensively Provides Active Convergence Support Information" order to resolve the issues derived.

공간정보 소셜플랫폼의 개념과 플랫포머로서 정부의 역할 (Concept of Spatial Information Social Platform and Role of Government as a Platformer)

  • 최원욱;홍상기;신동빈;안종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37-45
    • /
    • 2012
  • 현재의 공간정보서비스는 스마트 사회의 도래에 따라 정보화 사회에서 축적된 공간정보의 콘텐츠 및 기술적 자산을 기반으로 스마트 사회에 걸맞은 모습으로 새롭게 전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이 보다 경쟁력 있고 지속적인 자생력을 갖추기 위하여 공간정보 소셜플랫폼으로 전환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이 공간정보 소셜플랫폼으로 점진적으로 진화하기 위한 소셜화의 요구조건들을 P. Savalle가 제시한 소셜플랫폼이 갖추어야 할 주요 개념을 기준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사회에 대응한 공간정보 서비스의 구현기반으로서 공간정보 소셜플랫폼의 개념과 플랫포머로서의 정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웹 사용자 로그 분석 기반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서비스 사용현황 연구: 2014.5.20.~2014.6.2. 수집자료 대상 (A Study on the Service Status of the Spatial Open Platform based on the Analysis of Web Server User Log: 2014.5.20.~2014.6.2. Log Data)

  • 이승한;조태현;김민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67-76
    • /
    • 2014
  • 최근 IT,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공간정보는 국민생활과 국가경제의 인프라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SNS 소셜커머스를 비롯한 많은 어플리케이션에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가 공간정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서비스(VWorld)의 등장에 사람들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시스템은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도입되지 않은 상태로 오픈플랫폼의 실시간 부하 및 사용 현황을 파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픈플랫폼 시스템의 웹 사용자로그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량, 네트워크 점유율, 서비스 방문자 수, Hit 건수, 접속 경로, 주요 이용 콘텐츠와 관련된 사용현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가 오픈플랫폼 서비스의 모든 사용 현황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지만, 해마다 변화하는 오픈플랫폼의 사용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또한 오픈플랫폼 시스템 확장에 있어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서비스의 성능 분석 및 자원 재조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and Resource Re-distribution Method of the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Service)

  • 장한솔;고준희;김민수;장인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1-11
    • /
    • 2015
  • 2012년 1월부터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서비스가 시작된 이래로, 서비스가 늘어남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 수와 시스템의 규모가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오픈플랫폼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 자원들이 어느 수준의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자세한 분석 결과는 전혀 알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특정 이슈와 더불어 서비스 이용자가 급증할 때마다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단순히 하드웨어 증설을 통해 일시적으로 서비스 지연 문제를 해결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오픈플랫폼이 보유하고 있는 시스템 성능을 정확히 파악하여 향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NMON을 이용한 하드웨어 성능 분석과 nGrinder를 이용한 웹서비스 부하 테스트를 통해 오픈플랫폼이 현재 가지고 있는 정확한 시스템 성능을 파악하고, 이후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선하기 위한 자원 재조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3차원 건물데이터 포맷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3D Building Data Format for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 김현덕;강지훈;김학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3-70
    • /
    • 2017
  •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에서는 국가공간정보를 공개하여 국민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고품질의 3차원 공간정보와 실내공간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오픈플랫폼은 실내와 실외의 공간정보 데이터가 상이한 형식과 저장구조로 구성되어 매끄럽게 연결된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또한 현재 서비스에 사용되는 3차원 데이터 포맷이 최근 서비스 환경의 변화와 신기술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픈플랫폼 3차원 데이터의 서비스 향상 및 상호운영성 확보를 위하여 서비스에 사용되는 3차원 데이터 포맷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포맷은 기존 포맷과 비교하여 경량화되었고 렌더링 속도가 개선되었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탑재를 위한 한옥의 BIM 기반 3차원 모델링 연구 (3D modeling of Korean Traditional House based on BIM for Uploading to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 김경민;김찬용;최연웅;조기성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2호
    • /
    • pp.91-10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구조인 한옥 구조물을 LOD3 수준의 3차원 객체로 제작하여 국내 외로 대중화된 오픈플랫폼에 탑재함으로써 한옥 구조물의 3차원 모델링을 통한 3차원 지도 제작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BIM 기반을 이용한 한옥의 3차원 모델 제작을 통해 실내 공간정보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한옥 구조물의 3차원 표현기법과 상위 표현방법의 발전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비정형 구조물인 한옥의 LOD4단계 수준의 공간정보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현재 국내 외에서 제공되고 있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허용 데이터 크기의 한계에 의하여 탑재는 불가능함 또한 확인하였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국가별 해외 수출 전략 연구 -캄보디아와 아부다비 에미리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Abroad Export Strategy by Country of Spatial Open Platform -Focused on the Kingdom of Cambodia and the Emirate of Abu Dhabi-)

  • 김걸;정진도;이재용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9-21
    • /
    • 2014
  • 공간정보 환경이 최근 플랫폼 중심으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간정보 인프라를 구축할 경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간정보 인프라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공간정보 오픈플랫폼(V-World)을 구축 운영하고 있으며, 해외 수출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발도상국가인 캄보디아와 신흥선진국인 아부다비 에미리트의 공간정보 인프라 현황을 구성요소별로 비교하여 국가별 해외 수출 전략을 도출하는데 있다. 캄보디아는 해외 원조를 통해 공간정보 사업을 수행하는 개발도상국이며, 아부다비 에미리트는 풍부한 오일머니의 자금력으로 해외 선진기술과 고급 인력의 적극적인 유치를 통해 공간정보 사업을 수행하는 신흥선진국이다. 이 연구에서는 두 개의 국가별 공간정보의 특성을 고려하여 캄보디아 모델과 아부다비 모델이라는 수출 모델을 정립하고, 각각의 모델에 대한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수출 방식과 해외 진출 전략 및 재원조달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