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Information

검색결과 10,676건 처리시간 0.041초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공간 분석을 위한 공간 집계연산 (Spatial Aggregations for Spatial Analysis in a Spatial Data Warehouse)

  • 유병섭;김경배;이순조;배해영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16
    • /
    • 2007
  •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공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공간 데이터 큐브를 이용한다. 공간 데이터 큐브에는 분석의 기준이 되는 공간 차원테이블과 분석의 대상이 되는 공간 사실테이블들로 구성되는데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서는 공간 차원테이블의 개념계층 지원과 공간 사실테이블의 요약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공간 개념계층에 대해서만 연구하였을 뿐 공간 요약정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공간 공간 요약정보를 위한 공간 집계연산에 대하여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집계연산을 숫자화 집계연산과 객체화 집계연산으로 나누어 제안한다. 숫자화 집계연산은 공간 분석의 결과로 숫자 형태의 데이터를 반환하며, 객체화 집계연산은 공간 객체 형태로 결과를 반환한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된 공간 데이터 자료구조를 제공하여 공간 집계연산의 효율성을 높인다.

  • PDF

개방형 LBS 플랫폼 연동 대중교통 모바일 솔루션 개발 (Develop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Mobile Solution Working together Open LBS Platform)

  • 홍상기;김경호;박종현;이종훈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0-113
    • /
    • 2003
  • The development of an open LBS platform makes it easy to us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elecommunication companies which have different platforms and to develop various LBS solutions using position information. This paper proposes a mobile webservice solution providing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to the mobile subscribers working together open LBS platform.

  • PDF

개방형 BIM 기반 IFC 모델을 이용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도구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Visualization Tool Using the Open BIM based IFC Model)

  • 류정림;문선기;추승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5호
    • /
    • pp.41-52
    • /
    • 2015
  • 2013년 국토교통부는 부가가치와 활용도가 높은 실내공간정보를 국가 핵심 공간정보로 구축 관리하기 위하여 '기본공간정보'로 추가 지정하였으며, 이에 전국의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법률적 근거와 계기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측량/촬영 및 레이저스캐닝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할 경우 실내공간의 매핑으로 시각적 서비스차원의 활용은 유리하지만 시간적, 인적, 물적 자원의 소비가 크고 속성정보의 입력을 위해 추가적인 정보가공을 필요로 하는 등 유지관리 측면과 국내 AEC/FM 분야 정보의 활용이 제한적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BIM 기반의 IFC 모델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 시각화 기술과 연계하여 이해와 표현이 쉬운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실내공간정보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시각화 도구는 Autodesk사의 Revit 내부 프로그램인 IFC Exporter의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였으며 실내공간정보의 시각화를 위해서는 Direct3D Library를 사용하였다. 생성된 실내공간정보 객체는 XML 포맷과 상호호환이 가능하며 시설물 유지관리 분야의 COBie 연계, 항공촬영 혹은 UAV를 활용한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대규모 군사작전 시뮬레이션, 재해/재난 발생 시 대규모 피난 시뮬레이션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은 국가의 공간정보정책방향에 부합하고 기존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생성함으로써 정보생산의 단계가 간편하다. 또한, IFC 기반의 실내공간정보 객체로써 상호운용성이 높고 정보의 편집이 용이하며 데이터의 경량성 측면에서 우수하다.

공간정보 기기 품질인증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Device)

  • 김재명;최윤수;서재필;장은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33-43
    • /
    • 2011
  • 세계 여러나라들은 자국의 업체와 소비자 보호를 목적으로 다양한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상대국으로 하여금 무역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KS, KCC등 품질인증 관련 제도가 공간정보 분야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품질 인증제도와 사례분석을 통하여 공간정보 기기 품질인증(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공간정보 기기 품질인증에 필요한 기본개념을 정립하였고 둘째, 공간정보 기기의 품질인증 범위와 내용 및 절차를 세부항목으로 분류하여 설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국내외 유사인증제도의 특성과 비교하여 실증적인 품질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모바일 공간정보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연구 (A Study on Strategy for Activation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 김태훈;황정래;이상훈;나준엽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9-46
    • /
    • 2012
  • 최근에 공간정보의 활용 분야가 도시계획, 시설물 관리, 교통서비스 등의 활용 서비스에서 환경오염, 자원확보, u-City 등의 새로운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공간정보 활용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공간정보기반 구축 및 관련 정책 개발의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있는 모바일 공간정보분야에 대한 현황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으로서 공공부문의 역할과,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 개발, 모바일 공간정보기반 구축방안 및 활성화를 위한 단계적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Spatial XML 생성기를 위한 알고리즘 (Algorithm for Spatial XML Generator)

  • 서현호;최영운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6-469
    • /
    • 2004
  • XML은 개발자들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조작하기 위해 구조화된 데이터를 표현하고 전달하고 교환할수 있는 텍스트 기반 포맷을 말한다. 이러한 XML에 Spatial 정보를 포함한 Spatial XML이 등장하면서 이에대한 이용에 많은 관심이 있으며 실제로 Spatial XML을 RDBMS에 저장하여 지리정보 검색에 대한 유용한 자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Spatial XML을 질의 하기 위한 Spatial XQuery를 이용하여 RDBMS에 저장된 자료에 대한 검색하고 또한 Spatial XML Generator를 통해서 XML형태로 RDBMS에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Spatial XML Generator 알고리즘을 구현하고자 한다.

  • PDF

중복된 칼라 히스토그램과 공간 정보를 이용한 내용 기반 화상 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L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the duplicated color histogram and spatial information)

  • 김철원;최기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889-898
    • /
    • 1997
  • Most general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techniques use color and texture as retrieval indices. Spatial information is not used to color histogram and color pair based on color retrieval techniques. This paper proposes the selection of a set of representative in the duplicated color histogram, the analysis of spati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lors and the image retrieval process based on the duplicated color histogram and spatial information. Two color historgrams for background and object are used in order to decide on color selection in the duplicated color histogram. Spatial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aximum entropy discretization. A retrieval process applies to duplicated color histogram and spatial to retrieve input images and relevant images. As the result of experiment of the image retrieval, improved color his togram and spatial information method hs increased the retrieval effectiveness more the color histogram method and color pair method.

  • PDF

Implementation of an open platform for 3D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WebGL

  • Lee, Ahyun;Jang, Insung
    • ETRI Journal
    • /
    • 제41권3호
    • /
    • pp.277-288
    • /
    • 2019
  • VWorld is run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f South Korea and provides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uch as aerial images, digital elevation models, and 3D structural models. We propose herein an open platform for 3D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WebGL using spatial information from VWorld. WebGL is a web-based graphics library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mpatible with various web browsers. Our open platform is also compatible with various web browsers. Accordingly, it is easily accessible via the VWorld site and uses the three-dimensional (3D) map program.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proposed platform configuration, and the requests, management, and visualization approaches for VWorld spatial information data. Our aim is to establish an approach that will provide a stable rendering speed even on a low-end personal computer without a graphics processing unit based on a quadtree structure. We expect that users will be able to visualize 3D spatial information through the VWorld open platform, and that the proposed platform will become the basis for various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