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Environment Management Plan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초

생태환경 보전을 위한 공간환경계획 수립방안 - 경기도 일원에의 사례 적용 -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for Ecological Environment Conservation - Centering on an Area in the Gyeonggi Province -)

  • 최희선;박주현;김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2-34
    • /
    • 2011
  • 최근 국가적으로 환경정보들을 DB화하고, 체계화하며 통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있다. 이러한 노력은 특히 도시 및 지역차원에서 수립하는 법정계획인 환경보전계획의 공간계획화를 더욱 용이하게 하며, 이는 공간의 관리방향을 보다 명확하게 함으로써 토지의 보전은 물론 이용과 관련된 각종 계획들 간의 상충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도록 합의하는데 용이한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보전계획의 공간계획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특히 환경요소 중 가장 민감한 자원으로 인식되는 생태환경을 중심으로 한 공간환경계획 수립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간환경 계획 수립방안은 계획과정을 고려해 크게 1)기본방향, 2)공간정보의 수집, 3)공간환경현황 작성, 4)공간환경 관리계획 수립으로 구분하였으며, 특히 현황파악 및 계획수립 시 필요한 공간정보는 기존에 구축된 공간정보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나 지자체 차원에서 구축된 공간정보들을 목록화 하였다. 계획수립 시 고려되는 현황도는 토지이용(토지피복)과 자연생태 우수자원/지역 현황 작성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광역생태축 계획과 보전, 복원지역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생태환경을 고려한 환경보전계획의 공간화를 모색하였다. 기존연구 및 사례들을 통해 마련한 현황 및 계획방안은 경기도 지역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활용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계획은 관련 공간개발계획 수립 시 생태적 가치와 중요도를 고려한 계획안 마련에 기여함은 물론, 지역 내 개발사업 추진 시 계획의 적정성과 입지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기초자료와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농촌 생활권 기초생활서비스 항목 설정 및 공간데이터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Deriving Basic Living Service Items and Establishing Spatial Data in Rural Areas)

  • 김수연;김상범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9-46
    • /
    • 2022
  • This study aims to derive basic living service facility items in rural areas and construct related spatial data. To do this, a literature review on the laws and systems related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ervices in rural areas, rural spatial planning, and the 'Rural Convention' strategic plan reports for the Jeolla and Gyeongsang Region in 2021 was conducted. Primary data collection and review on the list of basic living service items in rural areas derived from the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 data collection, 12 sectors and 44 types of rural basic living service items were derived; the data selec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clarity of the subject of data management, whether it was established nationwide, whether it was disclosed and provided, whether it was periodically updated, and whether it was an underlying law. Afterwards, data on the derived rural basic living service items were constructed. Afterwards, spatial data on the derived rural basic living service items were constructed. Because open data provided through various institutions were employed, data structure unification such as data attribute values and code names was needed, and abnormal data such as address errors and omissions were refined. After that, the data provided in text form was converted into spatial data through geocoding, and through comparative review of the distribution status of the converted data and the provided address, spatial data related to rural basic living services were finally constructed for about 540,000 cases. Finally, implications for data construction for diagnosing rural living areas were derived through the data collection and construction process. The derived implications include data unification, data update system establishment, the establishment of attribute values necessary for rural living area diagnosis and spatial planning, data establishment plan for facilities that provide various services, rural living area analysis method, and diagnostic index develop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data-based rural area diagnosis and rural planning, by selecting the basic rural living service items, and constructing spatial data on the selected items.

토지관리정보체계 개발전략과 구현사례 (Strategy and Implementation of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 최병남;김대종;홍성학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65-183
    • /
    • 2002
  • 토지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은 1997년에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1998년에 대구광역시 남구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2001년 현재가지 12개 지역에서 구축사업을 완료하고 실제 업무에 활용하거나 시험운영을 하고 있으며 88개 지역에서 수행 중에 있다. 향후 2004년까지 전축 16개 광역시도와 232개 시 군·구에 토지관리정보체계를 설치 완료할 계획이며, 아울러 토지관리정보체계를 유지 관리하는 토지정보센터를 설치할 계획이다. 토지관리행정업무를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써 정보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토지관리정보체계 구축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아나로그 환경 속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디지털 기술환경에 적합하도록 전환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는 간단한 일이 아니며, 특히 아나로그 환경 속에 있는 주체를 기본적으로 디지털 세계로 끌어들이는 것이 가장 어렵고 중요하다 따라서 아나로그 토지행정을 디지털 기술환경으로 어떻게 합리적으로 전환시키느냐가 토지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에서 앞으로 추진해야할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 PDF

복원된 양재천에서 복원 효과 평가 및 평가 결과에 기초한 개선방안 (An Evaluation on Restoration Effect in the Restored Yangjae Stream and the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Result)

  • 김아름;김동욱;임봉순;설재원;이창석
    • 생태와환경
    • /
    • 제53권4호
    • /
    • pp.390-407
    • /
    • 202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restoration effect in the restored Yangjae stream and to draw up an adaptive management plan based on the results. As the result of evaluation on the restoration effect, the restored Yangjae stream was evaluated with low naturalness in both terms of the morphology of the stream and the composi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The diverse functional groups were introduced in the vegetation restoration, but the flooding regime, which is significant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iparian vegetation, were not correctly reflected. Exotic species or species that were not ecologically suitable for the location were introduced on the embankment and thus a measure to improve those problems is required. As the ecological principle was not reflected in the restoration plan, the stream was constructed as the double terrace structure. Therefore, the width of the waterway was narrowed further, and the waterfront was not designed to accommodate changes from flooding disturbance, making the micro-topography of the stream simpler and the naturalness lower. The adaptive management plan was prepared to improve those problems, and a plan for creating an ecological network was recommended to enhance the restoration effect.

재난현장조사 공간정보 웹 가시화를 위한 3차원 맵핑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3D Mapping System for Web Visualiz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Disaster Field Investigation)

  • 김성삼;노현주;신동윤;이준우;김현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4호
    • /
    • pp.1195-1207
    • /
    • 2020
  • GeoWeb 기술이 발전하면서 재난관리 분야에서도 웹을 통한 2D/3D 공간정보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재난사고 현장에서 수집된 다양한 공간정보를 웹 환경에서 시각화하기 위한 3D 공간정보 맵핑 플랫폼 구축에 관한 연구로서, 웹 개발 표준기술인 HTML5/WebGL과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재난사고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된 2D/3D 공간 데이터와 대용량의 LiDAR 점군 데이터에 대한 웹기반의 공간정보 맵핑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오픈소스인 GeoServer의 WMS 서비스와 PostGIS를 이용하여 수집된 재난현장 조사 2D 데이터를 공간 DB로 구축한 후 웹 환경에서 렌더링하였다. 둘째, 웹 환경에서 대용량 3D 점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렌더링하기 위하여 다중 해상도의 옥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점군 데이터를 2D 타일로 단순화하는 Potree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OpenLayers3를 기반으로 3차원 지도를 제어 및 측정하기 위한 기본·응용 기능을 Graphic User Interface(GUI)로 구현하여 2D/3D 공간정보의 웹 시각화를 위한 3D 웹 맵핑 파일럿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향후, 재난현장의 각종 2D 조사 데이터 및 다양한 공간영상정보를 구축된 웹기반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에 중첩·표출함으로써 재난사고 과학조사 및 분석 업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Environmental Monitoring Data

  • Yoshioka, Takahito;Sekino, Tatsuki
    • 생태와환경
    • /
    • 제38권spc호
    • /
    • pp.76-83
    • /
    • 2005
  • The marked increase in the number of environmental problems, combined with the increase in their intensity and spatial extent, has resulted in an ever-increasing need for constant monitoring. This is complicated by the occurrence of new and complicated environmental issues that often prevent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entire monitoring framework. In the present study, a diagrammatic method was developed to present the entire framework of a monitoring plan. The diagram was separated into three sections- "Problem Section", "Research Process and Data Section" and "Entities Section" - to clearly present the disparate relationships between monitoring objectives and the monitoring procedure. Notation of the diagrams was undertaken using Unified Modeling Language (UML). A hypothetical monitoring plan for an environmental problem was designed to assess usefulness of the diagrammatic method. The diagram was capable of reviewing and revising the monitoring plan and could be used to select a monitor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monitoring objectives of the pla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is diagrammatic method was effective for designing an appropriate monitoring plan for a given monitoring objective.

지속가능한 자연환경보전계획 수립방향 연구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n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변병설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71-81
    • /
    • 2004
  • 최근 국토의 난개발이 발생하면서 자연생태계가 훼손되고 있어, 환경부는 기존의 사후관리와 통제중심의 환경정책에서 사전예방과 자율적 환경관리 정책으로 환경정책기조를 전환하고 있다. 자연환경 보전계획은 생태계와 야생동 식물을 보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어 국토 전체의 자연환경을 체계적으로 보전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연환경보전계획의 공간화와 국토 도시계획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자연환경보전계획의 수립실태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러한 자연환경 보전계획이 국토 도시계획과 유기적인 연계를 확보하기 위해 어떠한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하는지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자연환경보전계획의 체계를 개편하는 것이 필요하고, 계획을 매체중심에서 공간환경 중심으로 개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도시지역에서는 비오톱지도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오톱의 조사내용, 조사방법, 도면화 방법 및 기준이 필요하다. 이와 아울러,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합리적인 역할분담 방안을 강구하고, 자연환경보전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 추진하기 위한 민관협력체제의 구축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인천만 조력에너지 개발을 위한 GIS 데이터모델링 (GIS Data Modeling Plan for Tidal Power Energy Development in Incheon Bay of Korea)

  • 오정희;최현우;박진순;이광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66.2-166.2
    • /
    • 2011
  • Incheon Bay of Korea is one of the most famous regions for high tidal rang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MLTM) has implemented preliminary investigation for tidal power energy development in this area since 2006. Through field observations, various kinds of marine data consisting of depth and geography, marine weather, tidal currents, wave, seawater characteristics, geology, marine ecosystem and marine environment were gathered. To use these data efficiently for the determining of feasibility of developing and appropriateness of project scale, spatial data management and application system is essentia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cept, methodology and procedure of spatial data modeling are defined for tidal energy development. Spatial data modeling consists of essential model relating to tidal energy directly and optional model including environmental factors. Essential model is composed with fundamental elements like as depth, geography, and several numerical modeling results(tide, tidal current, wave).

  • PDF

다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시설물관리 (Facilities Management Using Multi-Dimension Spatial Information)

  • 최석근;조의환;이병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46
    • /
    • 2010
  • 최신 다차원 공간정보기술은 대학 내의 수많은 시설들에 대한 효율적 시설물관리 지원업무, 사업비 예산편성 및 관리 등의 예산편성 의사결정지원업무, 그리고 입시홍보 등을 수행하는 자료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시설물관리를 위한 다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여 신규 건축예정인 건물에 대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를 선정하였으며, 대학 상징물 이전에 따른 적지분석, 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경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설물 계획.관리의 합리화로 인한 대학의 쾌적한 공간조성 및 체계적 종합발전과 예산편성 또는 집행 시의 의사결정지원 등으로 중복투자방지와 예산절감 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적 하천구역관리를 위한 고해상 영상의 활용 방안 연구 (Utilization Plan Research of High Resolution Images for Efficient River Zone Management)

  • 박현철;김형섭;조윤원;조명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5-211
    • /
    • 2008
  • 현재까지 우리나라 하천관리는 기존의 도면관리 및 현장조사를 통한 정보관리에서 벗어나 WAMIS, RIMGIS와 같은 물 관련 하천기본지리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기 구축된 시스템들은 선(線) 중심의 9차원 하천 공간자료로 관리되어 실무자 중심의 친환경적 하천관리업무 지원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면(面) 중심의 입체적인 3차원 하천공간정보 구현과 체계적인 하천관리업무가 가능하도록 항공사진(아날로그, 디지털) 및 다양한 위성영상에 대한 해상도 비교와 시설물 판독 분석을 통한 하천 적용여부 분석을 수행하였다. 하천 적용성 분석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판단되는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하천관리 및 활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효율적인 하천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