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Drop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5초

격자 기반의 디지털 사진 시각화와 계층적인 클러스터링 방법 (A Grid-based Digital Photo Visualization and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 류동성;정우근;조환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5호
    • /
    • pp.616-620
    • /
    • 2010
  •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많은 수의 디지털 사진을 관리하기 위해서, 이벤트 혹은 날짜에 따라 각 사진들을 폴더별로 분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관리해야할 사진의 개수가 수백에서 수천 장으로 증가함에 따라, 사진 관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본 논문에서는 촬영 시각과 사진의 색상 차이를 이용하여, 유사한 사진들을 서로 가깝게 배치하는 2D 격자 공간 기반의 사진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2차원 격자 공간에 배치된 각 사진들을 계층적으로 클러스터링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세부 단계별 분류 기능을 지원한다.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배치된 사진들에 대한 시간 일관성과 사용 공간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로켓엔진 분사면의 냉각성능 향상 (Cooling Performance Enhancement of a Rocket Engine Injector Face Plate)

  • 조원국;설우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92-100
    • /
    • 2005
  • 로켓엔진 연소기의 분사면 냉각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연료 매니폴드의 최적형상을 제시하였다. 매니폴드의 형상은 분사균일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분사면 중심의 냉각성능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7가지 후보 형상에 대하여 냉각성능을 비교한 결과 분사기 2-3열과 9-10열 사이에 분리판이 설치된 형상이 최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사균일성은 설계원형과 유사한 수준이며 분사면의 최고온도는 27$\%$ 감소하였다. 또한 매니폴드의 형상 변화에 의한 추가적인 압력강하는 거의 없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LIDAR 포인트 cloud로부터 분리된 포인트 군집간 인접관계 인식과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cting Neighboring Relation Among Point Segments of LIDAR Point Cloud and its Application)

  • 한수희;이정호;유기윤;김용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통권39호
    • /
    • pp.17-2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스캔라인을 이용한 LIDAR 포인트 cloud의 분리과정 중 분리된 포인트 군집간인접 관계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분리된 건물요소를 인식하고 재결합하였다. 아울러 군집간 인접 특성을 활용하여 지면 포인트 군집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포인트 cloud 분리 과정에 군집간 인접 관계 인식 기능을 추가하더라도 처리 성능이 저하되지 않았으며 후처리를 통하여 건물 요소를 결합하여 온전한 형태의 건물 포인트 군집을 형성함과 더불어 지면 포인트 군집도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국민주택 규모의 공동주택 리모델링 계획안의 평가 (The Evaluation of the Proposal for Condominium Housing Remodeling in National Housing Scale($85m^2$))

  • 최정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19-129
    • /
    • 2007
  • This study illustrates a prototype proposal and its evaluation for the development of floor plans in the condominium housing remodeling. For this I evaluated the survey of the residents of the 'K' town in Joonge-dong, Nowon-gu, Seoul, against the proposal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ident's pre-survey. The result includes that the residents' preference for community actions such as the removal of fences which are reviewed as negative, whereas the introduction of a fitness center and community facilities in the library are reviewed as positive. The residents preferred the open space by the piloti structure, although which is the wall column structure, where they anticipated a rest area, sports facilities, and bicycle drop-off spots. The sidewall proposal in the main building and the full use of the roof floor were underestimated in terms of design concept. The research also illustrated the residents' desired space planning options, those tending to use of space 'B type', personalization 'C type' and spatial size 'A type'. Resi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introduction of the 'Alpha' space in which two households share one space that could be used for multiple purposes such as a rest area, an environment-friendly garden, and hobby room, etc, and also there is another possibility it plays an important role to the sociality in community.

PLIF 기법을 이용한 액체로켓용 충돌분사 인젝터의 분무분포 특성 해석 (Analysis of the Spray Distribution Characterization of Impinging Jet Injectors for Liquid Rockets Using PLIF Technique)

  • 정기훈;윤영빈;황상순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6-45
    • /
    • 2000
  • 지금까지의 충돌분무에 대한 연구는 제트의 충돌시 형성되는 액막의 분열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모델링하는데 초점을 두어왔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연소 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연료의 공간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ke-doublet 충돌분사 노즐을 사용하여 연료 유량 플럭스의 단면분포 특성을 연구하였다. PDPA(Phase Doppler Particle Analyzer)를 통해 액적의 크기를 측정한 기존의 방법은 연료의 평면적인 분포특성을 이해하는데 상당히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평면 레이저 유도형광기법(PLE : Planar Laser Induced Fluorescence)을 이용하여 분무의 단면 분포를 측정하였고, 직접사진을 통하여 액적의 크기도 측정하여 PLIF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Proper motion and physical parameters of the two open clusters NGC 1907 and NGC 1912

  • Lee, Sang Hyun
    • 천문학회보
    • /
    • 제43권2호
    • /
    • pp.59.4-60
    • /
    • 2018
  • Ultra-diffuse galaxies (UDGs) are an unusual galaxy population. They are ghostlike galaxies with fainter surface brightness than normal dwarf galaxies, but they are as large as MW-like galaxies. The key question on UDGs is whether they are 'failed' giant galaxies or 'extended' dwarf galaxies. To answer this question, we study UDGs in massive galaxy clusters. We find an amount of UDGs in deep HST images of three Hubble Frontier Fields clusters, Abell 2744 (z=0.308), Abell S1063 (z=0.347), and Abell 370 (z=0.374). These clusters are the farthest and most massive galaxy clusters in which UDGs have been discovered until now. The color-magnitude relations show that most UDGs have old stellar population with red colors, while a few of them show bluer colors implying the existence of young stars. The stellar masses of UDGs show that they have less massive stellar components than the bright red sequence galaxies. The radial number density profiles of UDGs exhibit a drop in the central region of clusters, suggesting some of them were disrupted by strong gravitational potential. Their spatial distributions are not homogeneous, which implies UDGs are not virialized enough in the clusters. With virial masses of UDGs estimated from the fundamental manifold, most UDGs have M_200 = 10^10 - 10^11 M_Sun indicating that they are dwarf galaxies. However, a few of UDGs more massive than 10^11 M_Sun indicate that they are close to failed giant galaxies.

  • PDF

데이터 스트림에서 공간의 이용도를 이용한 차등적 부하제한 기법 (Different Load Shedding using utilization of Spatial over Data Stream)

  • 김호;백성하;이동욱;신숭선;배해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40-343
    • /
    • 2009
  • u-GIS 환경에서 GeoSensor로부터 수집되는 시공간 데이터는 데이터 스트림의 특징을 포함한다. 데이터 스트림은 다양한 입력 속도로 끊임없이 입력되고, 데이터의 크기 또한 가변적이다. 이런 이유로 한정적인 메모리와 처리능력의 시스템은 과부하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과되는 데이터를 버려 메모리 초과를 방지하는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공간질의는 공간과 위치 값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연산으로 공간질의 정확도는 공간과 위치 정보를 통해 보장된다. 그러나 기존 기법인 랜덤부하제한 기법과 의미적부하제한 기법은 공간질의가 요구하는 공간과 위치 값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삭제하기 때문에 공간질의에 대한 정확도가 감소하는 문제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의 이용도를 이용하여 차등적 비율을 적용한 부하제한 기법은 연구하였다. 이 기법은 등록된 공간질의의 영역 겹침 정도에 따라 중요 레벨을 증가시키고, 이를 토대로 시공간 데이터의 중요도를 파악하여 중요도마다 주어진 비율에 의하여 차등적으로 삭제한다. 결과적으로 기존 기법보다 다소 높은 Drop rate를 통해 질의 처리 속도를 빠르게 회복시켰으며, 중요 데이터를 최대한 유지하여 Error rate를 감소시켰다.

대규모 신 주거단지 개발에 의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춘천시 동내면 신 주거단지 개발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hange of Urban Spatial Configuration by Large Scale New Residential Area Development -Focused on the New Residential Area Development of Dongnae Township, Chuncheon City-)

  • 이석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791-1798
    • /
    • 2010
  • 본 연구는 Space syntax를 이용한 도시공간구조의 객관적,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신 주거단지 개발에 따른 공간구조의 변화와 특성을 예측하고, 이를 도시현황통계자료와 정성적인 분석을 연계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재의 계획대로 대규모의 동내면 신 주거단지를 개발하였을 경우 신 주거단지로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신 주거 단지 개발로 인한 외부의 공간적 파급효과 또한 미약할 것으로 예측되어 구조적으로 도시를 통합시키는 역할을 하지 못하고 도시구조를 단절시키는 구조적인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예측된다. 2) 2004년 춘천시 도시계획총괄도에 의해 계획된 기존도심과 주 간선도로 사이의 도시계획도로가 같이 개발하였을 경우 춘천시 전체공간과 신 주거단지로의 접근이 용이하게 되어, 신 주거단지가 춘천시 도시공간 전체에 대한 부분으로 전체에 적절히 통합되어, 결과적으로 춘천시 중앙부와 주변의 주거지의 용도상 구분이 명확해지는 것으로 예측된다.

CE-QUAL-W2 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탁수의 시공간분포 모의 (Simulations of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Rainfall-Induced Turbidity Flow in a Reservoir Using CE-QUAL-W2)

  • 정세웅;오정국;고익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8호
    • /
    • pp.655-664
    • /
    • 2005
  • 저수지를 통한 수자윈의 지속적 확보와 이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탁수의 장기발생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고자 실시간 탁수 감시와 예측시스템(RTMMS)을 구축 중이며, 2004년 홍수기 동안 대청호를 대상으로 유입하는 탁수의 수리 및 수질특성을 조사하고 2차원 횡방향 평균 수리 및 수질모형인 CE-QUAL-W2(W2)를 적용하여 탁수의 밀도류 거동과 시${\cdot}$공간적 분포를 예측하고 실측값과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강우사상 동안 하천 수온은 $5{\sim}10^{\circ}C$ 정도 하강하였으며 탁수가 저수지내에서 밀도류를 형성하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적용된 W2모형은 수온의 성층구조 변화와 탁수의 침강점, 도달시간, 중층밀도류 두께 등 탁수의 거동특성을 비교적 잘 모의하였다. 그러나 국부적으로 탁수가 위치한 중층과 탁수 유입 전에 형성되었던 전이층에서 수온과 탁도의 모의값과 실측값이 유의할 만한 오차를 보였다. 펜티엄급 PC(CPU 2.0GHz)로 홍수기 전체기간 모의에 소요된 시간은 약 4분으로써 모형은 계산의 효율성 측면에서 실시간 모의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다.

심야시간 대 택시 서비스 취약예상지역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Weak Areas of Taxi Service during Late Night Time)

  • 송재인;강민희;조윤지;황기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63-179
    • /
    • 2020
  • 플랫폼 기반의 택시서비스의 확대로 이용자의 이동성 및 편의성이 개선되고 있으나, 수익성의 문제로 공급 취약지역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이 종료되는 심야시간을 중심으로 수요 공급의 불균형에 따른 택시 서비스의 공간적 취약성을 분석하였다. Hot-spot 분석결과 승차대비 공차량 및 승차대비 하차량의 경우 도시 외곽지역 및 주거밀집 지역에서 높게 도출되었고, 반대로 도심 및 부도심에서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심성 분석 결과 또한 Hot-spot 분석결과와 유사한 패턴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운전자의 관점에서 내향 대비 외향중심성이 낮은 지역은 다음 영업에 한계로 간접승차 거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승객의 입장에서는 대기시간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향후 수요공급의 불일치에 의한 공간적 취약성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