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 of Urban Spatial Configuration by Large Scale New Residential Area Development -Focused on the New Residential Area Development of Dongnae Township, Chuncheon City-

대규모 신 주거단지 개발에 의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춘천시 동내면 신 주거단지 개발을 대상으로-

  • 이석권 (강원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학)
  • Received : 2010.04.19
  • Accepted : 2010.05.13
  • Published : 2010.05.31

Abstract

This research predicted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structure by new residential area development through objec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urban spatial configuration using space syntax and associated the prediction with the city status statistics data and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f large scale new residential area of Dongnae township proceeds to be developed according to present plan, accessibility to the new residential area will drop, and also as the outside space ripple effects by new residential area development also are anticipated small, the new residential area apprehensibly will not succeed to play the role of integrating the entire city structurally, but will cause structural problem, severing the city structure. (2) If the city planned road between existing urban center planned based on 2004 Chuncheon city plan overall drawing and main road which is the entrance road of the planned new residential area is developed together, the accessibility to the entire space of Chuncheon city and the new residential area will be easy, allowing the new residential area properly integrated into the entire space of Chuncheon city, consequently giving a prediction that classification of land use between the central part of Chuncheon city and surrounding residential area would become conspicuous.

본 연구는 Space syntax를 이용한 도시공간구조의 객관적,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신 주거단지 개발에 따른 공간구조의 변화와 특성을 예측하고, 이를 도시현황통계자료와 정성적인 분석을 연계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재의 계획대로 대규모의 동내면 신 주거단지를 개발하였을 경우 신 주거단지로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신 주거 단지 개발로 인한 외부의 공간적 파급효과 또한 미약할 것으로 예측되어 구조적으로 도시를 통합시키는 역할을 하지 못하고 도시구조를 단절시키는 구조적인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예측된다. 2) 2004년 춘천시 도시계획총괄도에 의해 계획된 기존도심과 주 간선도로 사이의 도시계획도로가 같이 개발하였을 경우 춘천시 전체공간과 신 주거단지로의 접근이 용이하게 되어, 신 주거단지가 춘천시 도시공간 전체에 대한 부분으로 전체에 적절히 통합되어, 결과적으로 춘천시 중앙부와 주변의 주거지의 용도상 구분이 명확해지는 것으로 예측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illier, B. and Hanson, J.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2. Hillier, B. Space in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3. 김승재, Space Syntax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7권6호, 1988.6.
  4. 김진균, 권영상, "신도시 개발에 의한 도시공간의 구조적 이분화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제18권, 제9호, p.70, 2002.
  5. 남영우, 도시공간구조론, 법문사, p.112, 2007.
  6. 박인수, "대규모 택지개발로 인한 도시공간구조 변화가 상업시설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7-8, 2004.
  7. 강성돈, 춘천도시공간구조의 변용,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41-61, 1990.
  8. 춘천시, 통계연보, 1995.
  9. 이건희.김영욱.신행우, "공동주택 개발에 따른 도시공간구조의 단절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08 춘계학술발표대회 눈문집, p.414, 2008.
  10. 이석권, 이낙운, "신도시개발후의 춘천시 도시공간구조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눈문집, 제24권, 제12호, p.267, 2008.
  11. 이석권, 이낙운, "춘천시 도시공간구조 변화와 특성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 눈문집, 제24권, 제9호, p.250,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