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Data Structure

검색결과 818건 처리시간 0.029초

농촌 생활권 기초생활서비스 항목 설정 및 공간데이터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Deriving Basic Living Service Items and Establishing Spatial Data in Rural Areas)

  • 김수연;김상범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9-46
    • /
    • 2022
  • This study aims to derive basic living service facility items in rural areas and construct related spatial data. To do this, a literature review on the laws and systems related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ervices in rural areas, rural spatial planning, and the 'Rural Convention' strategic plan reports for the Jeolla and Gyeongsang Region in 2021 was conducted. Primary data collection and review on the list of basic living service items in rural areas derived from the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 data collection, 12 sectors and 44 types of rural basic living service items were derived; the data selec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clarity of the subject of data management, whether it was established nationwide, whether it was disclosed and provided, whether it was periodically updated, and whether it was an underlying law. Afterwards, data on the derived rural basic living service items were constructed. Afterwards, spatial data on the derived rural basic living service items were constructed. Because open data provided through various institutions were employed, data structure unification such as data attribute values and code names was needed, and abnormal data such as address errors and omissions were refined. After that, the data provided in text form was converted into spatial data through geocoding, and through comparative review of the distribution status of the converted data and the provided address, spatial data related to rural basic living services were finally constructed for about 540,000 cases. Finally, implications for data construction for diagnosing rural living areas were derived through the data collection and construction process. The derived implications include data unification, data update system establishment, the establishment of attribute values necessary for rural living area diagnosis and spatial planning, data establishment plan for facilities that provide various services, rural living area analysis method, and diagnostic index develop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data-based rural area diagnosis and rural planning, by selecting the basic rural living service items, and constructing spatial data on the selected items.

도시 열환경 분석을 위한 공간정보 빅데이터 구축 (Constr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Big Data for Urban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 이준호;윤성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5호
    • /
    • pp.53-5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database of Spatial information Bigdata of cities using satellite images and spatial information, and to examine the correlations with the surface temperature. Using architectural structure and usage in building information, DEM and Slope topographical information for constructed with 300 × 300 mesh grids for Busan. The satellite image is used to prepare the Normalized Difference Built-up Index (NDB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Bare Soil Index (BI),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In addition, the building area in the grid was calculated and the building ratio was constructed to build the urban environment DB. In architectural structure,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masonry and concrete structures. On the terrain,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DEM and slope. NDBI and BI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NDVI was negatively correlated. The higher the Building ratio, the higher the surface temperature. It was found that the urban environment DB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for urban environment analysis, and it was possible to quantitatively grasp the impact on the architecture and urban environment by adding local meteorological factors.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urban environment planning and disaster prevention data construction.

The Effects of Spatial Patterns in Low Resolution Thematic Maps on Geostatistical Downscaling

  • Park, No-Woo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25-635
    • /
    • 2011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patial autocorrelation structures in low resolution data on downscaling without ground measurements or secondary data, as well as the potential of geostatistical downscaling. An advanced geostatistical downscaling scheme applied in this paper consists of two analytical steps: the estimation of the point-support spatial autocorrelation structure by variogram deconvolution and the application of area-to-point kriging. Point kriging of block data without variogram deconvolution is also applied for a comparison purpose. Experiments using two low resolution thematic maps derived from remote sensing data showing very different spatial patterns are carried out to discuss the objectives. From the experiment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advanced geostatistical downscaling scheme can generate the downscaling results that well preserve overall patterns of original low resolution data and also satisfy the coherence property, regardless of spatial patterns in input low resolution data. Point kriging of block data can produce the downscaling result compatible to that by area-to-point kriging when the spatial continuity in block data is strong. If heterogeneous local variations are dominant in input block data, the treatment of the low resolution data as point data cannot generate the reliable downscaling result, and this simplification should not be applied to donwscaling.

서울시 공간데이터웨어하우스의 내용설계 및 GIS데이터 연동에 관한 연구 (Designing Database Contents of Spatial Data Warehouse and its Data Synchronization with Distribu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김학열;김윤종;김준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19-130
    • /
    • 2003
  • 서울시는 1995년 이후에 추진된 부서별 GIS 구축으로 인하여 발생된 공간정보 공유 및 활용에 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엔터프라이즈 GIS로 발전하기 위하여 공간데이터웨어하우스(SDW)를 구축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SDW의 기본 구조를 바탕으로 첫째, 서울시 각 부서, 자치구, 사업소 및 유관기관의 GIS데이터 수요에 대응하며 서울시 GIS 데이터의 기준이 되는 SDW 내부의 GIS 데이터베이스 내용을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둘째 GIS 데이터 생성부서와 이용부서간의 데이터 일치방안을 마련하여 공간 데이터의 효과적인 공유 및 활용과 SDW의 원활한 운영에 기여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서 향후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엔터프라이즈 GIS 구축에 있어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Structure of Particle Clusters Formed in Gas-Solid flows

  • Tanaka, Toshitsugu;Ito, Akihito;Tsuji, Takuya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대회논문집
    • /
    • pp.26-27
    • /
    • 2006
  •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of particle clusters are investigated by using the flow field data obtained from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s. Eulerian/Lagrangian approach with two-way coupling is applied and individual particle-particle collisions are taken into account by using the hard-sphere model. More than 16 million particles are traced in the maximum case. The results show that the cluster is consisted from the multiple-spatial scale components while the low wave-number, hence the large-scale structure, is dominant. Three-dimensional structure reconstructed from the low-pass filtered data enables us to investigate the essential dynamics of particle clusters in detail.

  • PDF

도시균형발전을 위한 도시공간구조 변화 진단 (Analysis of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for Balanced Urban Development)

  • 김호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0-5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 가능한 도시성장 관리를 위한 일환으로 도시균형발전을 위해 공간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도시공간 구조 진단하는 것이다. 도시공간구조는 다양한 활동의 상호작용이므로 공간구조 요소들의 패턴 변화 분석과 함께 요소들의 분석 결과를 연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구, 교통 분야에 대하여 접근하였으며, 대상지의 관련 법령에 따라 정의된 다양한 생활권별 공간구조를 분석하였다. 인구는 시계열별 변화 데이터를 공간통계기법인 Getis-Ord Gi* 기법에 적용함으로써 인구 집중지역에 대한 군집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교통은 출퇴근 교통 O-D 데이터를 Social Network Analysis 기법에 적용함으로써 중심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지 전체적으로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었으며, 중심성의 변화가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른 공간요인과 연계하여 해석함으로써 생활권별 도시공간구조를 전망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 도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도시정책뿐만 아니라, 전 세계 많은 도시에서도 급속한 도시발전과 통제할 수 없는 개발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입하고 있는 다양한 도시 성장 관리 정책의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지리정보시스템과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도시공간구조의 파악 -대구광역권 사례연구- (Identifying Urban Spatial Structure through GIS and Remote Sensing Data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Area-)

  • 김재익;권진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4-51
    • /
    • 2009
  •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과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하여 도시공간구조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거대도시와 중소도시의 중간규모인 대도시의 공간구조를 대구광역시와 그 주변지역을 단위로 하는 대구광역권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도시구조는 인구 및 직업밀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위하여 1995, 2000, 2005년도의 Landsat TM 5 위성영상자료를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피복분석을 통하여 활용되었다. 공간구조는 인구밀도와 직업밀도의 거리조락함수를 추정함으로써 파악되었다. 분석결과 대구광역권의 차원에서는 단핵도시구조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단핵도시모형의 설명력이 점차 감소하는 점, 부도심의 형성 및 성장 등의 추세를 감안하면 분석범위를 대구광역시에 한정할 경우 다핵심도시구조로 이행하고 있다.

  • PDF

공간·지리적 자료의 공간자기상관성을 최소화하는 공간샘플링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Sampling Method to Minimize Spatial Autocorrelation of Spatial and Geographical Data)

  • 이연수;이만출;나경범;강준모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317-132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또는 지리적 데이터인 도시구조특성 요소의 공간자기상관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공간샘플링 기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요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적 또는 지리적 자료가 지니고 있는 공간자기상관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공간샘플링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서울시 전체 행정구역별 대중교통 분담률에 관한 공간자기상관성을 측정한 결과 간 의존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적정한 거리(400m)이상을 이격 시켜 공간샘플링을 실시한 후 공간자기상관성이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공간샘플링을 실시하지 않으면, 공간적 자료의 왜곡으로 인한 잘못된 결과가 도출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간샘플링을 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과정이 필수불가결 하다는 점이다. 둘째, 공간샘플링 전후의 대중교통 분담률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공간구조 특성 요인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는 공간적 자료에 존재하는 공간자기상관성을 통제하지 못한 왜곡된 결과이다.

제약 기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Spatial Database Modeling based on Constraint)

  • 우성구;류근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1-95
    • /
    • 2009
  • 지리정보시스템(GIS)과 같은 대용량 공간 데이터 처리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바로 제약 데이터베이스(CDB) 모델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관련연구를 통하여 스키마 구성 및 질의처리의 한계점을 찾아내고 보다 효율적인 처리방식의 제약 데이터 모델을 제안한다. 제약 데이터 모델의 개념, 표현방법, 질의처리의 예를 제시했으며, 특히 평면자료에 높이를 표시하는 불규칙 삼각망(TIN)을 제약 데이터 모델로 표현하고, 기존 공간 데이터 모델과 비교 평가했다. 우리는 제약 데이터모델링을 통하여 단순하고 우아하게 형식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저장 및 색인 구조의 설계 및 성능평가 (Design & Performance Evaluation of Storage and Index Structures for Spatial Network Databases)

  • 엄정호;장재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3D권3호
    • /
    • pp.325-336
    • /
    • 2006
  • 최근 LBS(location-based service)를 지원하기 위해, 공간 네트워크를 고려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우수한 질의처리 성능을 위해, 공간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공간 네트워크 자체의 데이터, POI(point of interest), 이동객체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인 저장 및 색인 구조를 설계한다. 이를 위해 첫째, 노드와 에지로 구성된 공간 네트워크 자체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공간 네트워크 파일 구조를 설계한다. 둘째, 식당, 호텔, 주유소와 같은 POI에 대한 효율적인 접근을 위해 POI 저장 및 색인 구조를 설계한다. 셋째 이동객체의 과거, 현재, 미래 궤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시그니쳐 기반 저장 및 색인 구조를 설계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설계한 저장 및 색인 구조가 기존의 공간 네트워크를 위한 저장구조 및 이동객체를 위한 궤적 색인구조 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