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Data Infrastructure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3초

유통체계를 고려한 공간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축방안 연구 (Building up Spatial Data Warehouses into the Spatial Data Infrastructure)

  • 진희채;정승렬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89-9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Clearinghouse 중심의 공간유통정보체계에 대하여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를 적용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유통체계에 따라서 설치 가능한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유형 및 특성을 검토하여 3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또한 조직의 특성 등에 따라 수평적 체계 및 수직적 체계에서의 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 및 확산 전략을 제시하고, 이런 요소들이 전체적인 구성을 이룰 경우 총괄적인 모습으로 나타나는 국가 공간데이터웨어하우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of U.S.A

  • Koh, June-Hwa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6_1호
    • /
    • pp.485-497
    • /
    • 2007
  • By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Geo-spatial Technology (GT) and the increased usage of spatial data for planning and infrastructure management,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GIS) for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develop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Korea since 1995. NGIS is the base of Spatial Data Infrastructure (SDI). SDI is developed as one of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s (NII). Among the hierarchy of SDI,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SDI) has very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SDI development. Many research articles show that the USA's NSDI initiatives, development strategy have been strongly influenced all over the world. In these viewpoints,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s of Korean NGIS, the development of NSDI strategy of USA is reviewed by literature through published book and internet resourc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 are needed for integrated data sharing and standardization. 2) the creative and evolutionary vision and strategy has to be suggested. 3) the training program and lecture material has to be developed and diffused to the users and providers of spatial data. 4) governance system has to be built for NSDI evaluation. 5) the formation of geo-spatial forum to discuss the spatial-related problems and make research agenda, etc.

Adopting Cloud Service in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 Youn, Junhee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676-677
    • /
    • 2015
  • In Korea, NSDI(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was implemented for integrating and sharing the nationally generated spatial data. One of the main roles of implementing NSDI is providing spatial data to public agencies. And now, the establishment plan for NSDI with the technical advancement should be needed. This paper deals with the technical aspects of adopting cloud service in the NSDI. First, we propose the concept for target system, which shows the current and future NSDI. In the future NSDI model, GIS cloud and governance systems are included. Service functions for cloud system and infrastructure implementation design directions are derived. Finally, governance system implementation plan is described.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NSDI cloud service system.

  • PDF

효율적 공원행정업무 지원을 위한 공간정보통합체계기반 KIMS(P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구축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Constructing PKIMS based on SDI(Spatial Data Infrastructure) Supporting Efficient Park Administrative Servic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ty-)

  • 조윤원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7-4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공원이라는 공간 활용에 대한 주민들의 다양한 정보제공 욕구를 만족시키면서 광역적인 공원관리 계획에 대한 행정담당관들의 일관성 있는 업무 추진과 타 업무부서와의 유기적인 정보공유를 위하여 기 구축된 공간정보통합체계를 기반으로 공원정보체계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특히 PKIMS는 공원에 관련된 모든 공간데이터 생성, DB 구축, 활용, 공유에 이르는 전 과정을 대구광역시 공간정보통합체계와 연계하여 운영되도록 개발함으로서 업무의 효율성과 정보의 상호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국가적 차원의 NSDI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를 구축을 추진하고 있는 현 시점에 공간정보통합체계기반의 성공적인 응용시스템 인프라 구축은 유비쿼터스 지리정보 구현에 있어 좋은 사례가 되리라 사료된다.

  • PDF

한국-아부다비 공간정보 격차분석을 통한 아부다비 공간정보인프라의 발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Data Infrastructure Development Methods in Abu Dhabi through Gap Analyses on Spatial Information between the Emirate of Abu Dhabi and the Republic of Korea)

  • 김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101-111
    • /
    • 2015
  • 아부다비 에미리트는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이슬람 문화권 중에서 급속한 경제적 번영을 이룩하여 신흥선진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아부다비는 석유경제에서 비석유경제로의 전환과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사회 환경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급속한 경제성장과 사회 환경변화로 인해 도출되는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아부다비는 공간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간정보의 구축을 촉진하고 있다. 이처럼 공간정보는 아부다비에서 블루오션 시장으로 그 영역을 넓혀 가고 있으며, 도시건설의 기본인프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아부다비는 공간정보인프라의 기반이 한국에 비해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공간정보인프라의 주요 요소인 조직체계와 법률 제정이 미흡하고 공간정보 산업의 해외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특징을 가진다. 세계의 다국적 기업이 장악한 아부다비의 공간정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는 아부다비 공간정보인프라의 현황에 대한 장단점을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고려한 틈새시장 진출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아부다비 공간정보인프라의 구성요소에 대한 현황분석을 한국의 경험에 기반하여 고찰한다. 공간정보인프라 구성요소별로 한국과 아부다비 간의 공간정보 격차를 분석하고 아부다비의 단기 장기 공간정보인프라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중동의 신흥선진국인 아부다비 에미리트와 한국 간 공간정보인프라에 대한 격차분석은 우리 공간정보 기업의 중동진출에 큰 디딤돌이 될 것이다.

소방방재 GIS를 위한 국가 기본공간정보의 현황 분석 (Analysis on the Present Condition of National Framework Data for the Disaster GIS)

  • 박홍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59-666
    • /
    • 2011
  • 현재의 정확한 지형공간정보가 없으면 복잡하고 복합적인 재해를 다스리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우리나라는 소방방재 공간정보기반(DSDI)을 구축하려고 하고 있으며, 그 핵심에는 국가 기본공간정보가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방방재 공간정보의 특성을 조사하고 기본공간정보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GIS활용체계를 위한 기본공간정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를 통해 다양한 활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체 국가공간정보기반 데이터의 품질에 대한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관리하기 위해 책임관리기관이 정립되어야 한다. 또한 기본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서로 연계된 국가공간정보기반 데이터들의 단계별 갱신방안이 구축되어야 하며, 국가공간정보기반 데이터들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공통분모인 기초정보에 대한 정립이 요구된다.

3차원 공간 모형 데이터의 구축과 활용 (3D Spatial Data Model Design and Application)

  • 이준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9-116
    • /
    • 2005
  • 3차원 공간 모형, 즉 3차원 CG 도시 모델은 건물이나 도로, 강 등의 사회 환경을 가상공간으로 표현하고 GIS(지리 정보 시스템)등의 정보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축적${\cdot}$관리하여 광범위한 분야에서 다양한 활용이 기대되는 중요한 정보기반이다. 현재는 이러한 3차원 CG 도시 모델 구축을 위한 데이터 취득이나 모델 작성에는 많은 수작업이 필요하고 막대한 시간과 노력이 걸린다. 본 논문에서는 $\lceil$3차원 공간 데이터 기반$\rfloor$을 GIS와 CG로 통합화하고 자동 생성한 정보 시스템에 관하여 소개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GIS가 관리${\cdot}$축적한 수치지도상의 건물 경계선 다각형에 대하여 필터링, 다각형분할, 윤곽선의 생성 등의 처리를 하고 CG 시스템이 이것의 데이터를 받아서 지형의 도형 정보와 속성 정보를 설계하여 건물이나 도로 등의 3차원 CG 모델을 자동 생성한다.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품질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BPR 수립 (The Establishment of BPR for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Quality Management System)

  • 윤준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1-89
    • /
    • 2014
  • 우리나라는 공공기관과 지방 자치단체에서 생산된 국가 공간정보를 통합관리하고 공동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를 구축하였다. 다른 기관에서 구축된 정보가 국가 차원에서 통합 관리됨에 따라 통합된 국가공간정보의 체계적인 품질관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의 품질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무 프로세스 재설계(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수립을 다룬다. 품질관리 업무를 품질관리 대상정의, 품질측정, 평가 및 분석, 품질개선 프로세스로 정의하고, 각 프로세스 별 활동(Activity)을 설계한다. 품질관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오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업무적 규칙(BR: Business Rule)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공간정보 중 법정동, 철도경계, 철도중심, 도로경계, 도로중심, 그리고 건물 등 6개에 대하여 BR을 도출한다. 다른 공간정보에 대한 BR은 본 논문에서 제시된 도출 방법을 사용하여 만들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 수립된 BPR과 도출된 BR을 기반으로 향후 국가공간정보체계 품질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개발도상국을 위한 NSDI 추진전략 - 대한민국 SDI 구축사례를 기반으로 (A Study on the South Korean SDI Good Practice for Developing Countries)

  • 김은형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9-263
    • /
    • 2010
  • 본 논문은 개발도상국을 위한 국가공간정보기반(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이하 NSDI) 추진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1995년부터 그동안 국가GIS 3단계에 걸친 우리나라 공간정보기반(Spatial Data Infrastructure: 이하 SDI)구축 성과에 대한 평가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런 우리나라 SDI성과에 대한 분석과 평가는 기존의 문헌조사 및 전문가 20인의 델파이조사를 토대로 하였다. 아울러 개발도상국 SDI의 SWOT분석을 수행하였고, 이와 함께 우리나라 SDI사례를 바탕으로 한 개발도상국을 위한 NSDI 추진전략을 모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