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 Growth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5초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양식시 살포시기와 환경 특성의 영향 (The Effects of the Spat Planting Tim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Culture)

  • 김정배;이상용;정춘구;정창수;손상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1-40
    • /
    • 2007
  • 가막만, 여자만과 사량도에서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치패의 살포시기와 양식장 환경에 따른 피조개의 성장과 생존율 감소 요인을 파악하였다. 피조개는 여자만과 가막만에서는 2004년 11월에 인공산 치패를 바닥식으로 살포하였으며, 사량도에서는 2005년 3월초에 중국산과 국내산 치패를 바닥식으로 살포하였다. 살포된 피조개의 치패는 2005년 3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성장과 생존율을 측정하였으며, 양식장의 수질(수온, 염분, DO, 영양염, Chl. a)과 퇴적물(산소투과 깊이, 미세산소 분포, 강열감량과 COD) 환경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피조개의 누적 생존비는 가막만에서 가장 높았으며, 여자만에서는 대부분 폐사하였다. 피조개 개체의 성장은 여자만과 가막만에서 5월에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량도에서는 국내산이 중국산보다 빠른 성장을 보였다. 여자만에서 피조개의 높은 폐사(>65%)는 하계의 수온 상승, 저염분 수괴의 유입과 퇴적물의 낮은 DO 농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가막만과 사량도에서 피조개의 생존비는 영양염과 퇴적물의 COD 농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조개의 성장과 폐사는 양식장 환경과 살포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유생과 초기치패의 영양강화제에 따른 성장 및 생존 (Growth and Survival on Enrichment of Larvae and Early Spat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 김병학;조기채;지영주;변순규;김민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3-358
    • /
    • 2011
  • 본 연구는 백합 인공종묘생산 시 유생 및 치패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미세조류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에 $B_{12}$, 키토산, PSB 및 다당류 등으로 영양 강화한 먹이생물을 공급하여 유생과 치패의 성장 및 생존율 등을 조사한 결과이다. 실험에 사용한 어미는 2010년 7월 23일 전남 영광군 백수면 하사리에서 채집된 어미를 수송하여 채란한 D형 유생 (각장 $89.7{\pm}6.4{\mu}m$) 과 착저 치패 (각장 $198{\pm}12{\mu}m$) 를 사용하였으며, 시험기간은 2010년 7월 25일부터 10월 4일까지 70일간 시험하였다. 미세조류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 ) 에 $B_{12}$ 0.1 ppm, 키토산 0.2 ppm, PSB 3 ppm 및 다당류 1 ppm 으로 영양 강화하여 유생사육 시 매일 $3{\times}10^3-15{\times}10^3Cells/mL$를 공급하여 성장 및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생의 성장은 PSB 실험구 $199{\pm}0.59{\mu}m$, $B_{12}$ 실험구 $198{\pm}0.64{\mu}m$, 키토산 $197{\pm}0.52{\mu}m$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생존율은 PSB 실험구가 99.3%로 가장 높았고, $B_{12}$ 95.9%, 키토산 94.5%로 나타났다. 초기치패의 성장은 PSB 실험구가 $2.74{\pm}0.58mm$ 로 가장 높았고, 다당류 $2.67{\pm}0.55mm$, $B_{12}$ $2.54{\pm}0.48mm$, 키토산 $2.49{\pm}0.51mm$ 순이었고, 생존율은 PSB 실험구가 32.1%로 가장 높았고, $B_{12}$ 31.6%, 키토산 28.5%, 다당류 21.4% 순이었음. 이러한 결과 PSB의 경우 백합 초기치패 사육 시 저질 개선 효과가 있어 매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고, 특히 바닥식 초기치패 사육의 경우 원생동물과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차후에 다른 약품들과 다양한 부분에서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키조개 채묘의 개발연구 -부유유생의 출현과 부착치패의 초기성장- (Improvement of the Seed Production Method of the Pen Shell -The Occurrence of Larvae and the Early Growth of the Spat-)

  • 유성규;임현식;류호영;강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06-216
    • /
    • 1988
  • 키조개, Atrina(Servatrina)pectinata의 효율적인 종묘생산기술개발을 목적으로 1986년 6월 8일부터 10월 16일까지 진해만내의 칠천도 연구리 앞바다에서 부유유생의 출현시기와 각 유생단계별 생존율을 조사하고, 1987년 7월 6일부터 11월 23일까지는 연구리 앞바다에서, 1987년 7월 9일부터 1988년 2월 15일까지는 여자만에서 각각 수직식 및 수평식 채묘실험을 하였다. 부유유생 조사기간중 크기가 약 $135\times144um$인 D형유생은 8월 1일, 8월 12일, 8월 25일에 각각 출현 peak가 있었으며, $300\times317um$인 umbo형유생은 8월 9일, 8월 22일, 9월 4일에, $468\~450um$의 성숙 유생은 8월 22일, 9월 3일, 9월 16일에 각각 peak가 있었다. D형유생에서 umbo형유생으로 되는데는 약 $9\~10$일 걸렸으며, 순간생존율(survival rate/day)은 0.94, 전생존율은 $54\%$였다. umbo형유생에서 성숙유생으로 되는데는 약 $12\~14$ 일 걸렸으며 순간생존율은 0.08, 전생존율은 약 $19\%$였다. D형유생은 발생에서 채묘의 대상이 되는 성숙유생으로 되는데는 약 $22\~23$일 걸렸으며 이 기간 중 전생존율은 약 $10\%$였다. 치패의 부착밀도는 연구리 앞바다의 수직식 채묘기에서 0.16개체/$m^2$이었으며, 여자만 수역의 수평식 채묘기에서 0.48개체/$m^2$이었다. 부착치패의 평균갑장은 1987년 9월 27일 $0.51({\pm}0.15)\;mm$, 11월 21일, $38.52({\pm}6.98)\;mm$, 1988년 2월 15일에는 $49.00({\pm}10.77)\;mm$였다. 각장(SL)에 대한 각고(SH)의 관계식은, SH=0.4749 SL-0.5893 (r=0.9651) 각장(SL)에 대한 전중(TW)의 관계식은, $$TW=0.0700\;SL^{2.6772}\times10^{-3}(r=0.9780)$$. 전중(TW)에 대한 육중(MW)의 관계식은, MW=0.4913 TW-0.1228 (r=0.9809)이었다.

  • PDF

폐쇄식 순환사육수조에서 오분자기, Sulculus aquatilis 치패의 체중별 성장 및 생존율 (Growth and Survival Rate of Abalone, Sulculus aquatilis in a Closed Recirculating Sea Water System)

  • 강경호;김재우;김용만;김병학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6권1_2호
    • /
    • pp.31-34
    • /
    • 2000
  • 우리나라 연안역에서 가장 중요한 양식대상종인 진복류에 속하는 오분자기(Sulculus aquatilis)의 양성기술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폐쇄식 순환여과 사육수조를 이용한 오분자기의 사육환경 및 성장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였다. 실험기간중의 사육수조 내 수온, pH 및 DO의 일간변화를 보면, 수온의 경우, 전 실험기간을 통해 16.0-24.2$^{\circ}C$, pH는 7.8-8.2 그리고 DO는 6.13-7.21 ml/l의 범위였다. 또한 용존무기태질소 중 NH$_4$$^{+}$-N은 0.68-3.72 $\mu$M, NO$_2$$^{-}$-N은 0.17-7.79 $\mu$M의 범위를 나타낸 반면 NO$_3$$^{-}$-N은 0.4-11.52 $\mu$M의 범위를 보였다. 오분자기 치패의 체중별 각장 성장은 실험개시시, 소형 치패군의 평균각장이 10.24$\pm$O.85 mm, 대형치패군의 평균각장, 24.92$\pm$1.07 mm를 보이던 것이 실험종료시인 90일 후에는 소형치패군이 17.98f2.61 mm로. 대형치패군이 30.8$\pm$3.14 mm로 성장하였다. 또한 전중성장은 실험개시시 소형치패군의 평균전중 0.36$\pm$0.1 g, 대형치패군의 평균 전중 2.07$\pm$0.5 g이던 것이 실험종료시에는 각각 0.79$\pm$0.2 g, 3.20$\pm$0.8 g으로 성장하였다. 실험종료시 소형치패군과 대형치패군의 생존율은 각각 90.0% 와 96.0%로 높게 나타났다.

  • PDF

실험실 사육에 의한 고막, Anadara granosa bisenensis 치패의 적정 환경요인 및 성장 (Growth and Optimal Environment Factors of Cockle Shell, Anadara granosa bisenensis, Spat in Laboratory Culture)

  • 강경호;박형욱;김재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6권1_2호
    • /
    • pp.25-29
    • /
    • 2000
  • 우리나라 연안역에서 중요한 어업자원의 하나인 고막, Anadara granosa bisenensis의 성장에 관여하는 환경 요인 중 가장 중요한 수온과 염분에 대한 생존범위를 파악하고, 성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막의 서식 수온범위를 3$^{\circ}C$에서 36$^{\circ}C$까지 3$^{\circ}C$간격으로 12개의 실험구에서 24시간동안 조사한 결과, 3-33$^{\circ}C$ 범위 내에서 100%의 생존율을 보인 반면, 36$^{\circ}C$ 실험구에서는 수용 30분 이내에 전량 폐사하였다. 고막의 염분 내성을 염분도 0-100$\textperthousand$까지 10$\textperthousand$ 간격으로 10개의 실험구에서 70시간동안 조사한 결과, 0-50$\textperthousand$ 범위 내에서는 해수로 전환시 100%의 생존율을 보였고, 60-90$\textperthousand$ 범위에서는 5시간 침적 후 해수로 전환시 100% 생존하였으나, 100$\textperthousand$ 구에서는 80%만이 생존하였다. 고막의 월별성장도 조사를 위한 사육수는 자연해수를 이용하였는데, 실험개시시 평균 각장 및 전중이 10.11$\pm$0.E9 mm와 0.40$\pm$0.06 g이던 치패가 실험종료시인 150일 후에는 각각 13.17$\pm$0.98 mm, 0.69$\pm$0.11 g의 성장을 보였다.

  • PDF

서해 지역별 굴 Crassostrea gigas 성장 특성, 유생 출현량 및 채묘율 (Regional Variations in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Growth and the Number of Larvae Occurrence and Spat Settlement along the West Coast, Korea)

  • 임현정;백상호;임매순;최은희;김수경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9-267
    • /
    • 2012
  • Due to the oil spill incident in December 2007, every facility of oyster culture was removed in western coast especially in Taean and Seosan. To restore oyster resources in Taean and Seosan, we brought oyster seeds from southern area and monitored their growth. In addition we monitored the culture environment throughout the year, and observed the number of oyster larvae and attached spats on collectors during summer. The factors of water environment were appropriate for oyster culture in both study area. The growth of shell height was larger in Uihang-ri, Taean than Jungwang-ri, Seosan. Spawning was more intensive in a short time in Jungwang-ri, Seosan than Uihang-ri, Taean. The number of oyster larvae and spats of collectors were much more in Jungwang-ri, Seosan than Uihang-ri, Taean. This study showed that transplantation of healthy oyster seeds from southern area can be a way of restoration of oyster resources in western coast. In addition, systematic approaches are necessary by build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regional characteristics to restore and enlarge the oyster culture farms in western coast. In summary Uihang-ri, Taean will be appropriate for cultivation farms and Jungwang-ri, Seosan for seedling grounds to increase oyster culture productivity.

진해만에서 진주담치 Mytilus edulis 의 부유유생의 출현, 부착 및 초기성장에 관한 연구 (On the Occurrence of The Larvae, Spatfall and Early Growth of Mussel Mytilus edulis in Chinhae Bay)

  • 유성규;임현식;장영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0
    • /
    • 1990
  • The occurrence of the larvae, the size of the spats daily attached to the collectors, the difference of the spat size with temperature, and the darly growth of a mussel, Mytilus edulis, were investigated at the off Songpo, Chinhae Bay, the southern part of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 to August 30 in 1986. The water timperature and specific gravity ranged from 7.0 $^{\circ}C$ to 27.4$^{\circ}C$ (mean 17,24$\pm$5.9$0^{\circ}C$), and from 1.0126 to 1.0126(mean, 1.0242$\pm$0.0023), respectively. D-shaped larvae had two peak occurrences in March 8, April 19, Umbo-shaped larvad three peaks in March 8, April 21 and June 17, and full grown larvae two peaks in May 13 and June 23,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mussel had two mass spawning time in early March and mid April and two mass settling time in mid May and alte June. The maximum size of the planktonic mussel larvae ranged from 375-400${\mu}{\textrm}{m}$ and most larvae sizing below 300${\mu}{\textrm}{m}$ long settled in adquate substrate. Spats just after settlement had the range from 26.5 to 547.3${\mu}{\textrm}{m}$ with the minimum of 225.0 ${\mu}{\textrm}{m}$ in mean shell length. The spats settled in summer season, when the water temperature raised above $25^{\circ}C$, were smaller than those settled in spring season in mean shell length. The early growth of the mussel spat had been assumed considerably fast.

  • PDF

Fatty Acid Compositions of Cultured Oyster (Crassostrea gigas) from Korean and Japanese Spats

  • Jeong Bo-Young;Moon Soo-Kyung;Jeong Woo-Ge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113-121
    • /
    • 1999
  • Changes in lipid content,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cultured oysters in shallow-water, Bukman bay (Tongyeong, Korea), using both Korean and Japanese spat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 of non-polar lipid (NL) comprised approximately $60- 80\%$ of total lipid (TL) in the cultured oyster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L content and meat weight, y=0.287lx-15.309 (r=0.834l, p<0.001). The prominent fatty acids of the oysters were 16:0, 20:5n-3 (eicosapentaenoic acid, EPA), 22:6n-3 (docosahexaenoic acid, DHA), 18:0, l8:1n-7, l8:1n-9, l6:1n-7, 14:0 and l6:4n-3. During the growth of the oysters, l6:4n-3 showed the highest coefficient of variation, accounting for $41.8\%$ for the Korean oyster and $32.3\%$ for the Japanese one, respectively. Both oysters showed low level of n-3 fatty acids such as DHA and EPA and high level of n-6 fatty acid, 20:4n-6, in the spawning period (August). During growth of the oysters, both EPA and DHA were the richest fatty acids in the harvest period (December, 314 mg/100g sample) and in the pre-spawning period (July, 237-247 mg/100g sample),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 cultured oyster with Japanese spat contained approximately two times more n-3 fatty acids per oyster individual than those with Korean one in the harvest season.

  • PDF

참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 인공종묘 생산시 환수가 유생에 미치는 영향-유생성장, 스쿠티카충 발생, 치패성장의 관점 (Effect of the hatchery larval sieving on the larval growth, scuticociliate occurrence, and ensuing spat growth of Patinopecten yessoensis)

  • 조규태;김수경;이채성;이진호;박미선;문태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03-311
    • /
    • 2010
  • 이전의 연구에서 참가리비(Patinopecten yessoensis) 인공종묘생산 중 수질관리를 위해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환수(전량환수)가 scuticociliates 감염을 촉진 할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과 scuticociliates 감염을 고려한 최적 환수 횟수를 결정하고자 하였으며, 유생성장, 생존, scuticociliates 발생을 1차 기준으로 하였으며, 부가하여 중간 육성장으로 이동하여 성장 및 기형 발생율을 2차기준으로 조사하였다. 5일 간격의 환수(3T)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잦은 환수(5T)는 수질 개선에도 불구하고 성장 둔화가 확인되었으며, 이것은 scuticociliates의 감염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9일간격의 환수(1T) 역시 성장둔화를 보였으며, 5T 실험구와 더불어 중간육성이후 성장 둔화(통계적 유의성 없음)와 비정상 발생을 유발하였다. 본 연구결과 최적 환수간격은 5-7일 사이로 나타났다.

광합성 섬모류 Mesodinium rubrum MR-MAL01의 응용성(1) 이매패류 종묘생산을 위한 먹이생물 유용성 (Applicability of a Photosynthetic Ciliate, Mesodinium rubrum MR-MAL01 -Usefulness as a Live Prey Species for the Marine Aquaculture of Bivalves-)

  • 김형섭;명금옥;조수근;이원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5-121
    • /
    • 2004
  • 최근, 곰소만에서 채집한 시료로부터 최초의 온대역산 광합성 섬모류 Mesodinium rubrum MR-MAL01 배양체를 분리ㆍ배양하였다. 이 섬모류를 이용하여 이매패류의 섭식실험을 수행한 결과, 비단가리비와 바지락과 같은 이매패류가 섬모류를 직접 섭식 하였음을 확인하였는데, 개체 당 최대 섭식률은 비단가리비 9,590 cells $min^{-1}$, 바지락 23,200 cells $min^{-1}$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단가리비의 소화관에서 완전한 M. rubrum세포를 확인하지 못했으나, 파괴된 세포로 생각되는 작은 입자들을 관찰하였다. 바지락 치패에 섬모류인 M. rubrum과 미소조류인 Isochrysis galbana (KMCC H-2)를 공급하면서 28일 동안 사육한 결과, 작은 치패 그룹(각장 0.46 mm)에서는 I. galbana를 공급한 실험구가 좋은 성장을 보였던 반면, 큰 치패 그룹(각장 0.84 mm)에서는 M. rubrum을 공급한 실험구가 I. galbana를 공급한 실험구에 비해 성장이 좋았다. 따라서 이 광합성 섬모류는 이매패류의 치패 및 모패와 입이 작은 자어의 먹이생물, rotifer의 영양강화제 및 어류의 천연 착색제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어 해양 생물공학적 활용을 위한 생물재료로서 개발 가능성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