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re Capacity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8초

생존성을 갖는 메쉬기반 광전송망에서의 효율적인 예비용량 설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fficient Spare Capacity Planning Scheme in Mesh-Based Survivable Fiber-Optic Networks)

  • 방형빈;김병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5호
    • /
    • pp.635-640
    • /
    • 2003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광범위한 통신망의 이용으로 인하여, 최근 생존성을 갖는 메쉬기반 네트워크의 설계는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메쉬기반 광전송망에서의 예비용량 설계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본 연구에서는 메쉬기반 광전송망의 경로복구에 있어서, 예비용량 증가인자를 찾아 예비용량의 공유를 증가시키는 새로운 예비용량 설계방안을 제안한다. 정수계획법의 링크복구기법, SLPA, GA의 세 가지 다른 장애복구 방안과 더불어 제안한 방안의 성능을 비교한다. 이 방법은 예비 용량 할당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휴리스틱 알고리즘과 결합하여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으며, 예비용량 할당을 결정하는 시간적인 면에서 대형 통신망으로 쉽게 확장할 수 있다. 이 새로운 방법의 주요 장점은 예비용량을 줄이고 다항식의 시간 복잡도를 갖는 것이다.

전기자동차 보급에 따른 기존 아파트의 변압기용량 한계시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former Spare Capacity in the Existing Apartments for the Future Growth of Electric Vehicles)

  • 최지훈;김성열;이주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5권12호
    • /
    • pp.1949-1957
    • /
    • 2016
  • Rapid Expansion of EVs(Electric Vehicles) is inevitable trends, to comply with eco-friendly energy paradigm according to Paris Agreement and to solve the environment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limit point of transformer acceptable capacity as the increase of power demand considering EVs supply in the near future. Through the analysis of transformer utilization, we suggest methods to analyze the spare capacity of transformer for the case of optimal efficiency operation and emergency operation respectively. We have the results of 18.4~29% spare capacity for the charging infrastructure to the rated capacity of transformer by analyzing the existing sample apartments. It is analyzed that the acceptable number of EVs is 0.09~0.14 for optimal efficiency operation and 0.06~0.13 for emergency operation. Therefore, it is analyzed the power demand of EV will exceed the existing transformer spare capacity in 7~8 years as the annual growth rate of EVs is prospected 112.5% considering current annual growth rate of EVs and the government EV supply policy.

다중 링 구조를 이용한 WDM 통신망 복구 및 자원 예약 기법 (WDM Optical Network Restoration and Spare Resource Planning using Multiple Ring-Cover)

  • 황호영;임성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6호
    • /
    • pp.891-90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WDM 광통신망에서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해 연구하며, 특히 보다 적은 통신망 자원을 이용해 높은 복구율을 얻을 수 있도록 복구 기술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연구의 중점 목표로 한다. 복구 방법의 효율성은 목표로 하는 복구율을 얻기위해 필요한 예비 자원의 양에 의해 결정되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본적인 방법은 예비 자원의 공유이다. 이를 위해서 복구용 대역폭의 공유뿐만 아니라 복구 경로의 공유를 통해 자원 이응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논리적인 다중 링 구조에 의한 통신망 복구 기법으로 링 토폴로지의 특성을 이용해 빠르고 간단한 복구 동작을 제공하며, 동시에 다중 링 구성을 통하여 대체 경로의 분산과 공유 정도를 높이고 단위 링크당 예약되어야 하는 예비 광파장의 수를 줄임으로써 전체 통신망 자원 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성능 분석 결과 제안된 기법은 목표로 하는 복구율을 보장하는 동시에 통신망 자원 이용의 효율성을 크게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인터넷망에서 Cut-Set을 이용한 예비대역폭 비율 분석 (Analysis of Spare Capacity Ratio in Optical Internet using Cut-Set)

  • 김태현;황호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97-20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광파장다중화(WDM) 기반 광인터넷 환경에서 논리적인 다중 링 구조에 의한 통신망 복구 기법의 대역폭 효율성을 연구한다. 이 방법은 링 토폴로지의 특성을 이용해 빠르고 간단한 복구 동작을 제공하며, 지역적인 복구를 수행한다. 동시에 다중 링 구성을 통하여 대체 경로의 분산과 공유 정도를 높이고 단위 링크당 예약되어야 하는 예비 광파장의 수를 줄임으로써 전체 통신망 자원 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험공유링크그룹(SRLG) 개념을 이용하여 링크 손실을 복구하는데 필요한 예비대역폭 비율을 토폴로지상의 Cut-Set을 이용해 계산하고 이를 실험을 통해 비교 확인하였다.

철도와 지역발전 - 대구권 광역전철망 구상과 지역발전 효과 (A Study on Construction of Metro Rapid Transit Network in Daegu Area)

  • 한근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특별세미나.특별세션
    • /
    • pp.27-41
    • /
    • 2008
  • Construction of metro transportation infra is a large-scale project requiring tremendous financial resources. This study suggests operation method to use for rapid transit line existing infra such as Gyeongbu line and spare line capacity following second phase KTX construction. Reviewing various constraints of metro rapid transit operation, we found that the conditions for metro rapid transit operation are already satisfied in Daegu area, just like the case of Gyeongbu line in Seoul Metro area. Also, the evaluation of the economic feasibility of metro rapid transit operation in Daegu area shows that B/C is about 2.4, which implies that there is sufficient economic feasi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sensitivity analysis, the project is economically feasible unless the passenger demand decreases 15% and construction costs increases more than 70%. B/C is evaluated large because the utilization of already exiting infra lowers the initial cost. As one of mass transportation system of large capacity, metro rapid transit can generate significant spillover effect: It will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metro area by connecting cities within the area and by extending one-day life zone of the area, to say nothing of the benefit of improving traffic condition. The construction of metro rapid transit network is necessary for the mass transportation system of Yeongnam area as well as Daegu area, and it may work as a starting point for uniting Daegu and Gyeongbuk and strengthening regional competitiveness.

  • PDF

가상 구역에 따른 메모리 자가 치유에 대한 분석 알고리즘 (Analysis Algorithm for Memory BISR as Imagination Zone)

  • 박재흥;심은성;장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12호
    • /
    • pp.73-79
    • /
    • 2009
  • 최근 VLSI 회로 직접도가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하나의 시스템 칩에 고밀도와 고용량의 내장 메모리(Embedded Memory)가 구현되고 있다. 고장난 메모리를 여분 메모리(Spare Memory)로 재배치함으로써 메모리 수율 향상과 사용자에게 메모리를 투명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장난 메모리 부분을 여분 메모리의 행과 열 메모리 사용으로 고장난 메모리를 고장이 없는 메모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여분 메모리 재배치 알고리즘인 MRI를 제안하고자 한다.

광인터넷망에서 Cut-Set을 이용한 예비 대역폭 할당 (Spare Capacity Reservation for Optical Internet using Cut-Set)

  • 황호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D)
    • /
    • pp.348-350
    • /
    • 2012
  • 광파장다중화(WDM) 기반 광인터넷 환경에서 논리적인 다중 링 구조에 의한 통신망 복구 기법을 연구한다. 이 방법은 링 토폴로지의 특성을 이용해 빠르고 간단한 복구 동작을 제공하며, 지역적인 복구를 수행한다. 동시에 다중 링 구성을 통하여 대체 경로의 분산과 공유 정도를 높이고 단위 링크당 예약되어야 하는 예비 광파장의 수를 줄임으로써 전체 통신망 자원 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험공유 링크그룹(SRLG) 개념을 이용하여 링크 손실을 복구하는데 필요한 예비대역폭 비율을 토폴로지상의 Cut-Set을 이용해 계산하고 이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전기추진선박에서 예비-셀을 이용한 자가 진단 기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interchangeable battery modules with spare cells for electrical propelled ship)

  • 이종학;오지현;오진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09-718
    • /
    • 2021
  • 최근 선박의 환경오염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하이브리드형 전력체계를 갖춘 전기 추진 선박과 같은 스마트 선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기추진선박에서 사용되는 배터리는 차량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보다 용량이 크므로, 가격이 높아지고 유지 보수 측면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선박용 배터리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배터리관리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며, 배터리의 유지·보수는 배터리의 교체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배터리의 용이한 관리를 위해서 예비-셀을 적용한 배터리 모듈과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 및 구현한다. 또한, 전기추진선박 전력 체계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력 제어 시스템에 송신 할 수 있도록 제어기를 설계한다. 해당 예비-셀을 적용한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선박 및 배터리 시스템의 안정성이 높아지며, 유지 및 보수 측면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예비 가상 경로를 이용한 ATM VC 교환기 고장 우회 방법 (Schemes to Overcome ATM VC Switch Failures using Backup Virtual Paths)

  • 유영환;안상현;김종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7권2호
    • /
    • pp.187-196
    • /
    • 2000
  • ATM 망에서의 장애는 가상 경로(virtual path; VP) 링크와 가상 경로 교환기(VP switches), 가상 채널 교환기(virtual channel switches)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VP 링크와 VP 교환기의 장애를 복구하는 방법은 많이 연구되어 왔으나 보호 도메인(protection domain)의 종단점으로 사용되는 VC 교환기 장애에 대한 대응 방법은 아직 제안된 것이 없다. VC 교환기 장애는 단 한 번으로도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새로운 고장 우회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지금까지 제안된 가상 경로 수준의 복구 방법은 크게 플러딩(flooding)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방법과 예비 가상 경로(backup virtual path; BVP)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예상치 못한 장애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복구 속도가 빠르고 필요 여유 용량(spare capacity)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VC 교환기의 장애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BVP를 사용하는 복구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안된 알고리즘들은 공통적으로 VC 교환기의 고장으로 인해 단절된 가상 연결을 복구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단순한 VP의 장애에 대해서도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복구 능력의 저하가 없음을 실험을 통해 보인다.

  • PDF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상황인식 측정을 위한 K-SART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SART to Assess of Situational Awareness of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 정영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03-611
    • /
    • 2022
  • 이 연구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을 경험한 환자의 상황인식 수준 측정을 위한 SART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입원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 118명에게 번역된 SART 도구를 적용하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Cronbach 알파,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황 인식 1(Instability of Situation, 상황의 불안정성)과 상황 인식 7(Spare Mental Capacity, 여분의 정신력)의 두 문항을 제거하였을 때 도구의 신뢰도와 모델 적합도 지수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된 국문판 SART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치료추구행동에 대한 의사결정 시 상황인식 정도를 측정하는 데 적절한 도구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