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filling curv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1초

MAGNETOSPHERIC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POLAR

  • Kim, Yong-Gi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1권1호
    • /
    • pp.1-12
    • /
    • 1994
  • The structure of the magnetic funnel element in the intermediate polar is considered in terms of an important site for the X-ray absorption and the reemission of the X-ray as the optical light. In this paper the column density and the optical depth vary with the filling factor, which is introduced to characterize the structure of matter in the magnetic funnel element. The results of the energy dependence of the X-ray spectrum and the modulation depth of the X-ray light curve are discussed.

  • PDF

DOT 색인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간 조인 기법 (An Efficient Spatial Join Method Using DOT Index)

  • 백현;윤지희;원정임;박상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4권5호
    • /
    • pp.420-436
    • /
    • 2007
  •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공간 조인 연산자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색인 기법의 선택이 중요하며, 대표적인 색인 기법으로는 $R^*$-tree를 이용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DOT(Double Transformation) 공간 색인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간 조인 처리 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R^*$-tree를 이용한 공간 조인 처리 기법과 비교한다. DOT 공간 색인 기법은 공간 객체의 MBR 정보를 공간 순서화 곡선을 사용하여 하나의 1차원 값으로 변환한 후 그 값을 검색 키로 갖는 $B^+$-tree 색인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이용하면 전통적인 데이타베이스의 주 색인을 적용할 수 있다는 중요한 특징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객체의 MBR 정보를 하나의 1차원 값으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간 순서화 곡선의 규칙성을 분석함으로써 공간 변환 연산의 횟수를 대폭 감소시킨 효율적인 DOT 색인기반의 공간 조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공간 변환 연산의 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질의 영역을 공간 순서화 곡선이 연속 운행하는 가능한 최대 크기의 면적으로 분할하는 쿼터 분할 기법을 사용한다. 다양한 분포와 크기를 갖는 데이타 집합을 대상으로 $R^*$-tree를 이용한 공간 조인 처리 기법과의 비교 실험을 수행한 결과 최대 약 3배의 성능 이익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LOR DISTRIBUTIONS OF 29 GALACTIC GLOBULAR CLUSTERS

  • Sohn, Young-Jong;Byun, Yong-Ik;Yim, Hong-Suh;Rhee, Myung-Hyun;Chun, Mun-Suk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1-26
    • /
    • 1998
  • The structure of the magnetic funnel element in the intermediate polar is con-sidered in terms of an important site for the X-ray absorption and the reemis-sion of the X-ray as the optical light. In this paper the column density and the optiacl depth vary with the filling factor, which is introduced to characterize the structure of matter in the magnetic funnel element. The results of the en-ergy dopendence of the X-ray spectrum and the modulation depth of the X-ray light curve are discussed.

  • PDF

ON SOME SOLUTIONS OF A FUNCTIONAL EQUATION RELATED TO THE PARTIAL SUMS OF THE RIEMANN ZETA FUNCTION

  • Martinez, Juan Matias Sepulcre
    • 대한수학회보
    • /
    • 제51권1호
    • /
    • pp.29-41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ve that infinite-dimensional vector spaces of -dense curves are generated by means of the functional equations f(x)+f(2x)+${\cdots}$+f(nx) = 0, with $n{\geq}2$, which are related to the partial sums of the Riemann zeta function. These curves ${\alpha}$-densify a large class of compact sets of the plane for arbitrary small ${\alpha}$, extending the known result that this holds for the cases n = 2, 3. Finally, we prove the existence of a family of solutions of such functional equation which has the property of quadrature in the compact that densifies, that is, the product of the length of the curve by the $n^{th}$ power of the density approaches the Jordan content of the compact set which the curve densifies.

히스토그램 시퀀스 구성을 위한 공간 지역성 보존 척도 (Spatial Locality Preservation Metric for Constructing Histogram Sequences)

  • 이정곤;김범수;문양세;최미정
    • 정보화연구
    • /
    • 제10권1호
    • /
    • pp.79-91
    • /
    • 2013
  • 본 논문은 히스토그램 시퀀스(histogram sequence)에 저차원 변환을 적용할 때, 어떤 공간 채움 곡선(space filling curve: SFC)의 성능이 가장 좋은지를 판단하는 체계적인 평가방법을 제안한다. 히스토그램 시퀀스는 이미지를 주어진 SFC에 따라 시계열 형태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히스토그램 시퀀스는 매우 고차원이므로 저장 및 검색이 매우 어렵다. 효율적인 저장 및 검색을 위해서 시계열 저차원 변환의 하한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하한의 성능은 SFC의 종류에 따라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그램 시퀀스를 저차원 변환할 때 어떤 SFC의 성능이 좋은지를 평가하기 위해, "히스토그램 시퀀스에서 엔트리들이 인접하면 이미지에서도 해당 셀들이 인접해야 한다"는 공간지역성(spatial locality)의 개념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공간 지역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공간 지역성 보존 척도(spatial locality preservation metric)를 제안하고, 이를 계산하기 위한 정형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지역성 보존 척도 측면에서 총 다섯 가지의 SFC를 평가하고, 이 평가 결과가 실제 이미지 매칭의 저차원 변환 성능 평가와 유사함을 확인한다. 또한, 저차원 변환 기반의 k-NN(k-nearest neighbors) 검색을 실험하여, 공간 지역성 보존 척도가 가장 낮은 힐버트-오더가 k-NN 검색에서도 가장 좋은 성능을 보임을 통해, 제안한 공간 지역성 보존 척도의 유용성을 입증한다.

적응형 행 기준 순서: 변환공간 뷰 조인의 성능 최적화 방법 (Adaptive Row Major Order: a Performance Optimization Method of the Transform-space View Join)

  • 이민재;한욱신;황규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4호
    • /
    • pp.345-361
    • /
    • 2005
  • 변환공간 색인이란 원공간 상의 공간 객체들을 변환공간 상의 크기가 없는 점들로 변환하여 색인한 후에 이들을 다루는 구조로, 이를 활용하는 조인 알고리즘은 크기가 없는 점들을 다루기 때문에 최적화가 상대적으로 단순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R 트리와 같은 원공간 색인에는 적용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저자들 은 변환공간 뷰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두 원공간 색인들을 변환공간에서 조인하는 변환공간 뷰 조인 알고리즘(transform-space view) join algorithm)을 제안한 바 있다. 여기서 변환공간 뷰(transform-space view)란 원공간 색인에 대한 가상의 변환공간 색인으로서 이미 구축된 원공간 색인을 구조적으로 변경하지 않고서도 가상의 변환공간 색인으로 해석하여 원공간 색인이 변환공간에서 조인될 수 있게 한다. 변환공간 뷰 조인 알고리즘에서 디스크 페이지 액세스 순서는 공간 채움 곡선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조인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변환공간 뷰 조인 알고리즘을 최적화 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공간 채움 곡선인 적응형 행 기준 순서(adoptive row major order: ARM order)를 제안한다. 적응형 행 기준 순서는 주어진 버퍼 크기에 따라 디스크 페이지 액세스 순서를 적응적으로 조정하여 원패스 버퍼 크기(한 페이지 당 한번의 디스크 액세스를 보장하는 최소 버퍼 크기)와 디스크 액세스 횟수를 크게 줄인다. 정형적인 분석과 실험을 통하여 적응형 행 기준 순서를 사용하는 변환공간 뷰 조인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보인다. 실험 결과, 다른 공간 채움 곡선을 사용하는 변환공간 뷰 조인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적응형 행 기준 순서는 원패스 버퍼 크기를 최대 21.3배 줄이고, 디스크 액세스 횟수를 최대 $74.6\%$ 줄인다. 또한, R 트리를 원공간에서 조인하는 알고리즘들과 비교하여 원패스 버퍼 크기를 최대 15.7배 줄이고, 디스크 액세스 횟수를 최대 $65.3\%$ 줄인다.

데이타 기반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차원 영역 질의를 위한 동적 데이타 분산 (Dynamic Data Distribution for Multi-dimensional Range Queries in Data-Centric Sensor Networks)

  • 임용훈;정연돈;김명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1호
    • /
    • pp.32-41
    • /
    • 2006
  • 센서 네트워크는 온도, 습도 등 서로 연관된 여러 종류의 스칼라 데이타를 감지하기 때문에, 다차원 영역 질의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데이타 기반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타가 센서에 직접 저장되기 때문에, 다차원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타 주소 지정이 매우 중요하다. 이전의 다차원 영역 질의 처리 기법들은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집중하여, 네트워크의 동작 시간(수명)을 고려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Hilbert 곡선을 이용하여 센서 노드들을 선형화하고, 각 센서에게 데이타 공간을 균일하게 배분시키는, 동적인 데이타 분산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EPR : 지리 정보 시스템을 위한 향상된 병렬 R-tree 색인 기법 (EPR : Enhanced Parallel R-tree Indexing Method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이춘근;김정원;김영주;정기동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2294-2304
    • /
    • 1999
  • 본 논문은 병렬 입출력과 효율적인 디스크 접근을 이용하여 입출력 성능을 높임으로써 지리 정보 시스템의 질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시에 접근할 가능성이 높은 인접한 공간 데이터를 디스크의 논리적 블록 단위로 패킹하여 하나 또는 연속적인 논리적 블록으로 클러스터링 하면 한번의 디스크 접근으로 많은 공간 데이터를 읽을 수 있어 질의 처리에 따른 디스크 접근 횟수와 디스크 접근 오버 헤드를 줄임으로써 입출력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Parallel R-tree 기법의 병렬 입출력 기법과 패킹 기반 클러스터링 기법을 결합하여 효율적인 입출력을 지원하는 EPR(Enhanced Parallel R-tree) 색인 기법을 제안한다. EPR 기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데이터를 Hilbert space filling curve를 이용하여 인접도에 따라 정렬하여 패킹함으로써 상향식으로 R-tree를 생성한다. 둘째, 정렬된 공간 데이터를 패킹하여 하나 또는 연속적인 논리적 블록에 저장하는 패킹 기반 클러스터링을 통해 공간 데이터 클러스터를 구성한다. 셋째, 색인 기법 및 공간 데이터 클러스터를 round-robin 스트라이핑 방식을 통해 다중 디스크에 분산 배치한다. EPR 기법과 기존 PR 기법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공간 질의 처리 속도가 30% 이상 향상되었으며, 특히 논리적 블록의 크기가 클수록, 공간 데이터의 크기가 작을수록 질의 처리 성능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효율적인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한 근사 Earth Mover's Distance (Earth Mover's Distance Approximate Earth Mover's Distance for the Efficient Content-based Image Retreival)

  • 장민희;김상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8D권5호
    • /
    • pp.323-328
    • /
    • 2011
  • 정확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하여 Earth mover's distance와 Optimal color composition distance와 같은 거리함수들이 제안되었다. 이 거리함수들은 정확도가 높은 검색 결과를 가져오지만 검색 시간이 매우 크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형 시간에 근사 Earth mover's distance를 구하기 위한 새로운 거리 함수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선형 시간에 두 이미지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하여 공간 채움 곡선을 이용한다.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의 우수성을 검증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기법이 Earth mover's distance에 비해 약 160배 정도의 검색 속도 향상 효과를 보이면서도 매우 유사한 결과를 검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C 6220497: A New Algol-type Eclipsing Binary with δ Sct Pulsations

  • Lee, Jae Woo
    • 천문학회보
    • /
    • 제41권1호
    • /
    • pp.41.1-41.1
    • /
    • 2016
  • We present the physical properties of KIC 6220497 exhibiting multiperiodic pulsations from the Kepler photometry. The light curve synthesis represents that the eclipsing system is a semi-detached Algol with a mass ratio of q=0.243, an orbital inclination of i=77.3 deg,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of ${\Delta}T=3,372K$, in which the detached primary component fills its Roche lobe by ~87% and is about 1.6 times larger than the lobe-filling secondary. To detect reliable pulsation frequencies, we analyzed separately the Kepler light curve at the interval of an orbital period. Multiple frequency analyses of the eclipse-subtracted light residuals reveal 32 frequencies in the range of $0.75-20.22d^{-1}$ with semi-amplitudes between 0.27 and 4.55 mmag. Among these, four frequencies ($f_1$, $f_2$, $f_5$, $f_7$) may be attributed to pulsation modes, while the other frequencies can be harmonic and combination terms. The pulsation constants of 0.16-0.33 d and the period ratios of $P_{pul}/P_{orb}=0.042-0.089$ indicate that the primary component is a ${\delta}$ Sct pulsating star in p modes and, thus, KIC 6220497 is an oscillating eclipsing Algol (oEA) star. The dominant pulsation period of about 0.1174 d is considerably longer than the values given by the empirical relations between the pulsational and orbital periods. The surface gravity of log $g_1=3.78$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of the other oEA stars with similar orbital periods. The pulsation period and the surface gravity of the pulsating primary demonstrate that KIC 6220497 would be the more evolved EB, compared with normal oEA sta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