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Time Theories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18초

비관적 귀납과 시공간 이론 (The Pessimistic Induction and Space-Time Theories)

  • 양경은
    • 논리연구
    • /
    • 제14권3호
    • /
    • pp.1-26
    • /
    • 2011
  • 본 논문은 시공간 이론의 역사적 발전 사례를 통한 비관적 귀납논증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시공간이란 이론적 존재자는 역학이론 발전과정에서 급격한 존재론적 변화를 경험했다는 점에서 비관적 귀납 논증에 대한 증거로서 제시된다. 필자는 이러한 주장이 시공간이 운동현상을 인과적으로 설명한다는 시공간이론에 대한 잘못된 해석에서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해석은 고전역학과 상대론 구조들 사이의 차이점만을 부각하기 때문이다.

  • PDF

반 프라쎈의 경험동등성 논변과 시공간에 대한 해석 (Van Fraassen on Empirical Equivalence Argument and Interpretations of Space-time)

  • 양경은
    • 논리연구
    • /
    • 제15권1호
    • /
    • pp.85-107
    • /
    • 2012
  • 본 논문은 반 프라쎈의 뉴턴 시공간에 대한 해석에 기초한 경험동등성 논변을 비판한다. 필자의 주장은 반 프라쎈이 시공간에 대한 오해에서 절대속도라는 뉴턴 시공간이 가지는 여분의 구조를 통해 부적절한 비판을 낳고 있다는 것이다. 반 프라쎈의 경험동등성 논변은 모형의 다양한 측면을 무시한 뉴턴 시공간에 대한 부주의한 해석에 근거한다.

  • PDF

공간의 본성에 대한 라이프니츠-클라크 논쟁과 홀 논변 (Leibniz-Clark Controversy on the Nature of Space and Hole Argument)

  • 양경은
    • 철학연구
    • /
    • 제144권
    • /
    • pp.235-256
    • /
    • 2017
  • 본 논문은 라이프니츠와 클라크 간의 공간의 본질에 대한 논쟁과 이를 바탕으로 한 최근 형이상학과 과학철학의 논쟁을 고찰한다. 공간의 본질에 대한 논의는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논쟁으로, 실체론(substantivalism)과 관계론(relationism)의 두 축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클라크에 의해 대변되는 실체론자들은 공간이 물체와 같이 그 자체적으로 존재하는 실체(substance)임을 주장한다. 반면, 라이프니츠를 위시한 관계론자들은 공간의 독립적인 실체성을 부정하고 공간이 물질들 사이의 관계(relation)로 환원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라이프니츠는 식별불가능자 간의 동일성 원리와 충족이유율을 이용하여 실체론의 주장을 비판하는 논변을 제시한다. 이어만과 노턴에 의해 제시된 홀 논변은 고전적인 라이프니츠의 논변을 현대적인 문맥에서 계승하여 재구성한다. 본 논문은 이들 논변의 형이상학적 측면을 고려한다. 이를 통해 공간의 존재론에 대한 논의가 형이상학적 논쟁에 머무르지 않고 운동을 이해하는 역학 이론의 개념적 기초를 이루고 있음을 부각한다.

현대 건축 공간에 나타나는 시간의 감각과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and the Sense of Time in Contemporary Architectural Space)

  • 장정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54-163
    • /
    • 2013
  •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the expression and the sense of time in contemporary architectural space. And to classify the system and elements of Zeitlichkeit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al design. The concept of time can be divided into two meaningful perceptions. Those are the concept of realistic time and the concept of subjective time. These tendencies of theories of architectural space has borrowed from innovations in the sciences, and the whole idea of space-time within art and architecture. Those notions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es of Bauhaus, Postmodernism, Landscape architecture, Digital Architecture and so fort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concepts of time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strategies of architectural design and have the various languages which there was not in the past. At the point of the transforma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The concepts of space-time are classified into those from the orders of form and space, from dynamic of the image in the dissolution of architectural form, from traces and steps of movement in dynamic form, and from the systems of commands in the digital softwares. As such, Zeitlichkeit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means that the architecture moves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sensual design elements into Art of life through events and contents which human can experience and recognize. These theories and researches reveal that contemporary architectural movements insert the meaningful stories into architectural space through programs and diagrams.

데릭 저먼의 정원에 대한 시공간적(時空間的) 해석 (A Study on the Spatiotemporal Interpretation of Derek Jarman's Garden)

  • 윈쟈옌;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6-79
    • /
    • 2016
  • 본고는 정원 공간에 내재된 시간의 다원성에 대해 역대 시공간 이론을 다루면서 정원 공간에 적합한 시공간 이론 구축을 시도하였다. 구축된 이론을 바탕으로 문헌 분석을 통해 데릭 저먼의 정원을 대상으로 정원 공간의 객관적인 시간과 주관적인 시간, 이 두 가지에 초점을 두어 정원 공간의 내밀성을 분석하였다. 정원 공간에 속하는 시간을 객관적인 시간과 주관적인 시간으로 구분하였는데, 객관적인 시간은 생태적인 시간, 즉 지속성을 갖는 양화된 시간을 말하는 것이고, 주관적인 시간은 인간 주체의 의식에 따라 변하는 시간을 가리킨다. 또한 인간 주체의 감각에 의해 감정화된 시간도 포함한다. 우선 객관적인 시간의 관점에서 저먼의 정원 공간에 대해 해석하였다. 객관적인 시간 안에서 정원의 현재 공간 속에 저먼 개인의 감정에 따라 정원은 하나의 감성 공간으로 변모하면서 공간의 다층적인 속성을 보인다. 따라서 객관적인 시간 속에 존재하는 정원 공간은 결국 객관적이지 않고 인간 주체의 능동적인 감수에 따라 변모한다. 다음으로 주관적인 시간의 관점에서 저먼의 정원 공간을 고찰하였다. 저먼의 추억 속에 잠긴 정원 공간과 미래의 허상 속에서 연출되는 정원 공간은 저먼의 상상이나 자각에 따라 풍부한 의미를 내포한 공간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주관적인 시간 속에서 정원 공간은 저먼의 의식에 따라 변모한다. 이상 연구를 통해 시간이 객관적인가 주관적인가의 여부에 관계없이 정원 공간은 물리적인 공간의 존재를 넘어서 인간주체의 의식이나 감정에 따라 무한한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정원 공간은 도시 공간과 달리 독특한 내밀성을 지닌 공간이기 때문에 본고는 기존의 정원 연구방법과 다른 시도를 통해 정원 공간의 독특성을 제시하여 보았다.

Fractional magneto-thermoelastic materials with phase-lag Green-Naghdi theories

  • Ezzat, M.A.;El-Bary, A.A.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24권3호
    • /
    • pp.297-307
    • /
    • 2017
  • A unified mathematical model of phase-lag Green-Naghdi magneto-thermoelasticty theories based on fractional derivative heat transfer for perfectly conducting media in the presence of a constant magnetic field is given. The GN theories as well as the theories of coupled and of generalized magneto-thermoelasticity with thermal relaxation follow as limit cases. The resulting nondimensional coupled equations together with the Laplace transforms techniques are applied to a half space, which is assumed to be traction free and subjected to a thermal shock that is a function of time. The inverse transforms are obtained by using a numerical method based on Fourier expansion techniques. The predictions of the theory are discussed and compared with those for the generalized theory of magneto-thermoelasticity with one relaxation time. The effects of Alfven velocity and the fractional order parameter on copper-like material are discussed in different types of GN theories.

How the Geometries of Newton's Flat and Einstein's Curved Space-Time Explain the Laws of Motion

  • 양경은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25
    • /
    • 2019
  • This essay elucidates the way the geometries of space-time theories explain material bodies' motions. A conventional attempt to interpret the way that space-time geometry explains is to consider the geometrical structure of space-time as involving a causally efficient entity that directs material bodies to follow their trajectories corresponding to the laws of motion. Newtonian substantival space is interpreted as an entity that acts but is not acted on by the motions of material bodies. And Einstein's curved space-time is interpreted as an entity that causes the motions of bodies. This essay argues against this line of thought and provides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of the way space-time geometry explain the laws of motion. The workings of the way that Newton's flat and Einstein's curved space-time explains the law of motion is such that space-time geometry encodes the principle of inertia which specifies straight lines of moving bodies.

시공간 대칭성과 시공간 존재론 (Space-Time Symmetry and Space-Time Ontology)

  • 양경은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81-190
    • /
    • 2015
  • In spite of various attempts to characterize the ontological status of space-time, Newtonian substantivalism and Leibnizian relationism, what is really at issue in the controversy between the two parties is by no means clear. This essay argues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time symmetries, classical space-time can be unambiguously classified as substantival space-time and relational space-time. The symmetries of space-time theories distinguish the invariant geometric relationships between events. Th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space-times stems from whether or not there exists the affine structure that distinguishes the inertial trajectories of a given body.

Application of the Laplace transformation for the analysis of viscoelastic composite laminates based on equivalent single-layer theories

  • Sy, Ngoc Nguyen;Lee, Jaehun;Cho, Maenghyo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458-467
    • /
    • 2012
  • In this study, the linear viscoelastic response of a rectangular laminated plate is investigated. The viscoelastic properties, expressed by two basic spring-dashpot models, that is Kelvin and Maxwell models, is assumed in the rang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viscoelastic coefficients to mechanical behavior. In the present study, viscoelastic responses are performed for two popular equivalent single-layered theories, such as the first-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FSDT) and third-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TSDT). Compliance and relaxation modulus of time-dependent viscoelastic behavior are approximately determined by Prony series. The constitutive equation for linear viscoelastic material as the Boltzmann superposition integral equation is simplified by the convolution theorem of Laplace transformation to avoid direct time integration as well as to improve both accuracy and computational efficiency. The viscoelastic responses of composite laminates in the real time domain are obtained by applying the inverse Laplace transformation. The numerical results of viscoelastic phenomena such as creep, cyclic creep and recovery creep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