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 contents

검색결과 2,108건 처리시간 0.031초

멜로드라마 장르에서 집에 대한 재현공간의 함축들 (Implications of Cinematic Space(House/Home) in Melodrama genre)

  • 남승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5-86
    • /
    • 2013
  • 이 연구는 더글라스 서크(Douglas Sirk) 감독의 <천국이 허락한 모든 것> (1955)과 이용주 감독의 <건축학 개론>(2012)에서 집에 대한 '재현' 공간을 고찰하였다. 두 멜로드라마 장르 영화는 등장인물들이 대사로 직접 표현한 수 없는 것들을 가구, 소품 등의 미장센, 특히 리모델링을 하는 집을 통해서 보여준다. 집은 욕망을 스타일과 형식을 통해 산출한다는 점에서 멜로드라마 장르의 공간을 특징짓는 서술적 사건과 모티프를 담고 있는 구체적 장소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멜로드라마 장르에서 집과 풍경들이 어떻게 영화적 공간(cinematic space)을 구성하고 그 재현공간이 갖는 사회적인 의미를 고찰한다.

  • PDF

몰링형 복합 소비공간의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Characteristic of Malling type Complex Consumption Space)

  • 권정인;임경란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9-140
    • /
    • 2012
  • 소비자들의 니즈가 다양해짐에 따라 쇼핑뿐만 아니라 외식, 공연, 영화관람, 놀이 등 여가도 함께 즐길 수 있는 몰링형 복합 소비공간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다양한 쇼핑문화생활공간으로서 몰링형 복합 소비 공간이 확산되어짐에 따라서 공간구성의 비중은 이용자의 입장에서 더욱 중요하게 고려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몰링형 복합소비공간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공간구성 비율과 특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 PDF

우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의 사운드 연구 ; 2001스페이스오디세이를 중심으로 (A Sound Study on the Universe film ; 2001 : A Space Odyssey)

  • 김은정;이승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138
    • /
    • 2016
  •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2001 : A Space Odyssey, 1968)>는 인간이 달에 도달하기 이전에 만들어진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우주에서의 사운드를 현실적으로 표현하려고 노력했다. 우주에서 주인공이 우주복을 입었을 때 숨소리가 과장되게 들리게 함으로서 청자들에게 새로운 공간에 대한 사운드를 제시했고 소리가 전달되지 않는 우주의 특성을 활용해 과감하게 '사일런스(침묵)'를 앰비언스 개념으로 사용함으로서 이후에 나온 우주를 배경으로 한 SF영화에 음향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쳤다.

  • PDF

유휴공간의 공간정체성 보존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space identity preservation of idle space)

  • 우성하;권기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7-298
    • /
    • 2016
  • 급격하게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현재의 사회에는 사용하지 않거나 잊혀져가는 유휴공간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공간을 기획하여 재탄생한 문화공간은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휴공간의 성공적인 문화공간기획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법으로써 공간정체성의 보존이 중요함을 말하고자 한다.

  • PDF

전시 환경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정보제공&학습 시스템 (Information provide and learn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of exhibition environment)

  • 이재영;권준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45-55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전시(박물관, 공연) 환경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한 정보제공 및 학습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전시 공간에서는 그림이나 사진에 대한 설명을 인쇄물이나 공간에 설치(설명 공간)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오디오 가이드'나 '도슨트' 프로그램을 이용한 보조 설명이 이루어진다. 증강현실 기술이 이러한 방식을 융합한 형태로 전시 공간에 적용되어 전시에 대한 설명이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그리고 영상의 형태로 다양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입체적인 정보제공 및 학습을 도와준다. 우리는 특정 전시 공간에서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그림에 대한 영상 설명을 이용한 정보제공 및 학습의 도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다니엘 리베스킨트 전시공간을 통해 본 조형적 내러티브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Narrative Seen from the Exhibition Space of Architect Daniel Libeskind)

  • 김영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207-214
    • /
    • 2012
  • Today, museum exhibition can be divided into two sub-categories: a. informative exhibition with various useful auxiliary media to convey knowledge and b. appreciative exhibition considering aesthetic conveyance and visual/perceptual environment. In addition to this, the concept of memorial exhibition as a field that tangible and intangible memories are transmitted and reproduced is creating another genre of exhibition. As an example of such a memorial exhibition above, the work of de-constructive architect Daniel Libeskind was selected. Jewish Museum and Imperial War Museum North both of which maximized the exhibition space by grafting architectural language to exhibition narrative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see if the same architectural language can be displayed differently in another form of exhibition after being drawn into the exhibition space depending on the changes in time and perspective. Therefore, in the narrative display combining the selection of exhibition contents and storytelling, the formative language of space can confirm that exhibition narrative as an ending structure changed into a retelling story with more extended meanings through interactive factors. Eventually, in this formative narrative, when the display of historical facts and exhibition themes is combined with the architectural language in an exhibition hall according to the approach direction, the memorial exhibition can create a formative language stimulating sensibility in the memories of space and a differentiated formative exhibition space where one is truly moved by oneness of contents.

  • PDF

공간구성에 따른 뮤지엄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ology of Spatial Organization in Art Museum)

  • 이성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21-30
    • /
    • 2009
  • This study plans to classify the art museums in accordance with their spatial organization, analyzing their peculiarities each by its type in order to present the reference required for designing an art museums. With confidence, the analyzation as well a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ents will make worthy contribution for the future art museums. For this purpose, total of 95 art museums have been selected as the objects of analyzation. First of all, their types have been categoriz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scale and architectural planning. Out of them, 33 museums have been further selected in order to see how the peculiarities of their patterns are outstanding, and then a quantitative analyzation has been made on each of them to see its space structure by utilizing 'Space Syntax'. Finally, a correlation analyzation of space structure peculiarities has been conducted and the spatial organization peculiarities per type is comprehensively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architectural planning and Space Syntax in order to present a new spatial organization per space to be used for the basic planning of the art museum. The contents of this analytical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 correlation analyzation on the typological features in terms of architectural planning and on the spatial organization features in terms of the Space Syntax has presented four new types of museum spaces: (1) Radial type, (2) Arachnoid-radial type, (3) Linear type, and (4) Grid type, in the light of which the selected 95 art museums have further been analyzed in order for their features to be reclassified.

박물관의 비정형 건축형태와 중심공간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Atypical Architecture Classification and Main Public Space of the Museums)

  • 박상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88-102
    • /
    • 2021
  • 본 연구는 박물관 건축의 작품 중 특별 전시의 기능을 제외한 상설전시가 주를 이루는 박물관을 중심으로 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나타난 정형, 비정형, 세그먼트, 사선형의 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164건의 작품사례에 적용한 결과 건축형태를 비정형, 정형, 반정형, 세그먼트, 사선형, 선형으로 재분류 하고, 박물관 건축 형태와 중심 공간과의 상관성의 유무를 유추함으로써 비정형 건축형태와 중심공간과의 관계가 성립하는가를 도출하고자 다음과 같이 내용을 정리하였다. 전체적으로 대부분 비정형박물관건축형태와 일치하는 중심공간의 비정형 형태로서 92.7% 분포도를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전반적으로 박물관 비정형 건축형태가 다수 나타났으며 정형보다는 비정형 건축형태에 있어서 중심공간과의 상관성이 성립되는 것으로서 향후 박물관 건축형태는 비정형이 지속적으로 발전 할 것으로 추정되고 중심 공간 실내건축 설계는 건축형태와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설계를 지향하는 기초적 근거자료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문호콘텐츠로서 이종격투기의 내재적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herent Space Structure of MMA as Cultural Contents)

  • 황용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287-295
    • /
    • 2006
  • 최근 국내에 소개되기 시작한 이종격투기(異種格鬪技)는 매우 급격한 성장을 하게 됨으로써 하위문화적 특성을 갖추게 되었다. 이는 문화적 동태성(動態性)과 활력을 제공한다는 순기능적 측면과 함께, 지나친 폭력성으로 인한 사회적 역기능에 의하여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상으로서 이를 인식하고 그 속에서 문화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종격투기가 열리는 공간은 매 대회에 따라 색다른 경험 제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매우 다양한 공감각적 연출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화적인 현상에 대한 이해는 공간디자이너로서 가치 창조의 시발점중 하나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역사적, 심리적 접근을 포함하는 맥락적인 측면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종격투기가 열리는 경기 공간 자체는 공간적으로 유연성을 가지며, 시간적으로 집중성을 가진다. 실시간 매체를 타고 범지구적으로 확산되고, 저장 매체를 통하여 보급 된다는 것은 이종격투기 특유의 자극적 요소와 깊은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종격투기에 내재하는 공간성과 매체를 통하여 보급되는 현상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