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 Syntax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36초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단독주택 공간배치 변화 - 1980년 이후 단독주택 중 유명건축가의 작품과 수상작품을 중심으로 - (The Change of Space Arrangement of Korea Detached House by Space Syntax - A Focusing on the Detached Houses which were Designed by Famous Architects after 1980s' -)

  • 황용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63-7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ner space of detached houses from 1980 to 2016. It was used 'space syntax program' for analysis and analyzed with intervals of 10 years as 1980~1990, 1990~2000 and so on.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summarized as follows: 1) Overall, all inner space that was examined shows a trend that integration space tends to increase while segregating space tends to decrease. 2) In the case of the master bedrooms(M B) in 1980s, these were composed of 2 rooms as a front room(F R) and a master bedroom type, but as time went by, the F R which was attached room to the M B disappeared. While inside space of M B attached powder-room and wardrobe instead of the F R of the M B. And F R was an integrated space at first in 1980s, but it began to change to a segregating space to protect personal privacy. 3) The dining(D) and kitchen(K) spaces were strictly separated in the 1980s but began to change to D+K and L+D+K types after 1990. 4) In the 2000s, the most typical living space in every house is continuing to change from an separate space in the other space to an integrated space where it is clearly seen from the kitchen and the dining room in the types as L+D and L+D+K.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관광객 동선의 이질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Heterogeneity in Tourists' Route via the Space Syntax)

  • 김성훈;최내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11권3호
    • /
    • pp.39-48
    • /
    • 2020
  • Gamcheon village was a poor village in the past, but it recently has boomed as a representative tourists' attraction in the region. Its unique topography and history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town's growth as a famous tourists' attraction. The factors contributed decisively to the formation of a special spatial structure there. In the process of the town's rapid development as a tourists' destination, however, the tourism overflowed. As such, the interests of the residents and the tourists conflicted, and the segregation between the two has augmented. These gaps seem to have enormously distorted the perception of the spaces as much as they have seriously distracted the existing traffic circulations in the vill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spatial perception of both residents and tourists in the Gamcheon village. For the purpose, it assumes the residents' natural movements and the tourists' purposeful movements, and they are analyzed by the space syntax. The major findings are that the circulations of the residents and the tourists in the village are clearly separated and that the two groups perceive the same space completely differently. This confirms the fact that even the same space could be recognized and used in a totally different way depending on the users' purposes.

가로의 내부화에 따른 상가 입지가치 분석 (An Analysis Locational Value of the Commercial Facilities by the Internalization of Street)

  • 김진식;김회율;김병수;안병주;이윤선;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76-879
    • /
    • 2007
  • 대규모 복합시설물의 내부 도시는 상업 및 공간 구조에 따라 거리의 보행 인구에 영향을 미치다. 또한 거리의 보행 인구는 상업 활동을 활성화 시키면서 보행량이 증가하면 상가시설의 매출액이 증가하고, 이러한 보행 유도인구의 증대는 상업시설의 입대료와 상가의 가치를 증진시킨다. 그러므로 대규모 복합시설물에서 보행량의 위상학적 접근성과 상가의 입지 특성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어 진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평가 도구로 공간 위상학적 분석에 기반을 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통해 개별 공간이 위상학적 속성을 분석하고 동선에 분포 및 패넌을 예측하여 상가의 입지가치를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효과적인 입지 전략을 추진하기 위해 가로의 내부화에 적합한 내부 도시계획 및 설계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연결도를 이용한 보행네트워크와 보행통행량의 상호관련성 연구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Network and Pedestrian Volume Using Connectivity)

  • 한상진;김영욱;오순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7-144
    • /
    • 2008
  • 보행통행량은 보행안전분석과 보행환경개선에 중요한 요소이나 교통 부문에서 보행통행량 예측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도시계획분야에서는 네트워크 특성만으로 보행량을 예측하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 Theory)이 연구되어져 왔고 많은 연구에서 효과적으로 보행량을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Space Syntax 방법론을 이용한 보행량 예측법은 교통 부문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이 상이하여 활용에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통의 관점에서 보행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Dial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링크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나타내는 연결도 개념을 도입하여 보행량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인사동 및 숭례문 지역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연결도와 보행통행량의 상관계수가 인사동의 경우 0.713, 숭례문의 경우 0.482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연결도 및 도로폭을 종속변수로 한 보행통행량 모형의 결정계수가 인사동의 경우 0.893, 숭례문의 경우 0.671로 모형의 설명력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연결도가 보행통행량 추정에 있어서 충분히 설득력 있는 방법론임을 의미한다. 또한, 연결도를 이용한 보행통행량 추정법은 Space Syntax 이론에 의한 추정법에 비해 그 과정이 간단하고, 특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네트워크가 교통네트워크의 구축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구축되므로 연구대상구역의 가로망 체계 변화가 보행통행량에 미치는 영향을 간단히 추정해보는데 유용한 방법론이다.

현대 아파트 평면도와 한옥표준평면도의 공간배치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tial Layout Characteristics of Modern Apartment Floor Plan and 'Standard Korea Traditional-Houses Floor Plan')

  • 황용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71-278
    • /
    • 2019
  • 본 연구는 현대의 대표적인 주거양식인 아파트 공간과 우리 전통미를 살린 한옥표준평면도의 공간 배치 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객관적인 분석을 위하여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하여 각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파트 공간은 생활의 편리함과 용도의 명확한 구분 때문인지 공간이 세분화된 반면에 전통한옥 평면은 각 실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함에 따라 아파트보다 각 실의 공간이 세분되지 않았다. 2)한옥평면도에서 대청이 거실로 변화하였을 뿐 두 평면도 모두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거실공간이 통합도가 가장 높았다. 3)한옥공간은 서로 공간이 통하는 통합성 성격이 강하지만 현대화된 한옥표준설계도는 분격성 공간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아파트에서 안방의 통합성이 높았고 한옥평면도에서는 침실과 안방은 분격성이 높았다. 5)한옥평면도에서는 옛날과 달리 툇마루의 기능이 많이 감소한 반면에 사랑방에 부속된 누마루가 분격성 공간으로 분류되었다. 아파트에서는 피난공간이 분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한옥표준설계도는 현대의 생활에 적응하면서 변화되어 있었다.

Kalman Filter와 Space Syntax를 이용한 GIS 기반 다중경로제공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Multi-Path Finding Model Using Kalman Filter and Space Syntax based on GIS)

  • 류승규;이승재;안우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49-158
    • /
    • 2005
  • 기존의 최적경로 알고리즘은 통행거리 통행시간, 통행량 등의 통행값을 통하여 최적경로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제시된 최적경로는 사용자의 도로에 대한 인지도를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자신이 인지하거나 다수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경로를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행거리와 통행시간을 고려하면서 사용자의 인지도를 고려한 최적경로를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기존의 통행시간 예측방법에는 ARIMA모형, Kalman Filter모형, 확률과정모형, 신경망모형, 회귀모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단기 통행시간 예측에 적합한 Kalman Filter 모형을 적용하였다. 인지도를 고려한 최적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은 회전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적경로 탐색시 최소한의 회전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회전에 대한 가중치를 주는 방법은 경험적인 방법으로서 만약 신설된 길에 대한 경로 제공, 또는 개량된 길에 대한 경로를 제공할 때 문제점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간구조의 속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기법인 Space Syntax 이론을 적용하였다.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본 연구에 의한 알고리즘이 기존의 최적 경로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이항 회귀모형을 이용한 공간구문론 및 도시특성요소가 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pace Syntax and the Urban Characteristics on the Incidence of Crime Using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 김형준;최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333-340
    • /
    • 2016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범죄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특히, 공간구문론에 의한 영향을 분석한 실증적 연구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산자료 분석의 대표적 방법인 포아송 회귀분석과 음이항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5대 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총 13개 변수 중 8개 변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인구학적 특성변수에서는 여성인구비율, 65세 노인인구 비율이, 토지이용 특성변수에서는 행정구역면적과 상업지면적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범죄대응 특성변수인 CCTV는 그 수가 증가할수록 범죄발생은 감소한다고 나타났다. 공간구문 특성변수에서는 연결도, 국부통합도, 전체통합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 연결도는 그 수치가 낮을수록 연결된 다른 공간이 적기 때문에 갑작스런 방해자의 출현 가능성이 낮고, 통행인에 의한 감시도가 낮아져 범죄발생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들을 통해 본 연구는 차후 범죄예방적 측면의 도시계획 입안 및 실천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종합병원 수직동선체계 연구 (A Study of Vertical Circulation System in General Hospitals by Using Space Syntax)

  • 이현진;박재승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7-60
    • /
    • 2013
  • Purpose: This study examines construction core plans for the users of vertical-typed general hospitals to effectivly use the flow line. Methods: The study sampled representative 9 hospitals, calculated the depth value through Convex Map of Space Syntax and Justified Graph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form of construction cire, and analyzed its functional connectivity. Results: The analysis of the connectivity between operation core part and emergency part of core space with high importance in the hospitals showed that the types of hospital and hospital have the lowest depth value in the spatial phase diagram, where central treatment part and outpatient part are arranged well vertically. Elevators for patients at these hospitals are close to operation and emergency parts actually separated from the elevators for passengers. For shortening of flow line of patients and private movement environment, however, it is desirable to arrange the elevators for patients to be adjacent to the operation parts and to arrange the emergent patient entrances more effectively to separate them from the flow line of visitors and guardians. Implications: Consider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the effective flow line design. This study hopefully may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the standard design of horizontal/vertical flow line.

대구 약령시 지구 내 가로 체계의 공간구문 분석 (Space Syntax Analysis on Street System in Yakryeong Market District in Daegu, Korea)

  • 정상규;임수영;박준영
    • KIEAE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151-156
    • /
    • 2013
  • This study examines the properties of spaces wher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ave been preserved in the street system of Daegu Yakryeong market district, by using Space Syntax methodology. The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ASA(Angular Segment Analysis) on each node (spatial unit) in the street network. An overall characteristic of spatial configuration in street system of the surveyed district is that nodes in the street network tend to form socially integrated spatial structure to allow easy access to each space in the system. There are a small number of socially isolated spaces in the street system, which are located at nodes in narrow streets adjacent to the roadway outside the district, or in narrow alleys between early modern Korean buildings. More than half of the surveyed spaces have high levels of social integration, which contain buildings playing a central role of the community, a traditional street market, symbolic landmarks.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achievemen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in leading to rational land use planning for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an urban district.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국내권역외상센터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for Regional Trauma Center in Korea by Using Space Syntax)

  • 박수로;박재승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172-179
    • /
    • 2017
  • The regional trauma center should be a trauma treatment center equipped with facilities, equipments, and manpower capable of providing optimal treatment from emergency surgery to a severely traumatized patient upon arrival at the hospital. In order to establish a medical system for effective severe diseas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rchitectural planning guidelines for the regional trauma centers. This study analyzes the connectivity, control, integration, and mean depth of current trauma centers using the convex map of space syntax,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building for more efficient regional trauma center. The major areas that must be included in the regional trauma center are trauma resuscitation room, trauma operating room, trauma intensive care unit, and trauma general war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architectural planning to increase the interconnection of the four areas. Also, the elevator plan for trauma patients should be emphasized. In addition, a regional trauma center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existing facility for independent operation.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of the space configuration of the regional trauma center, the location of the operating room is most important considering the connection with each department of the hospital and the treatment flow of the severe trauma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