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 Separation

검색결과 627건 처리시간 0.033초

Monte Carlo Simulation on Reliability of a Self-Separable Ejector for Man-Portable Missiles

  • Lee, Hyo-Nam;Oh, Jong-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2권4호
    • /
    • pp.385-395
    • /
    • 2011
  • An ejector was developed for man-portable missiles. The ejector can be separated from the missil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jection function even without any additional separation devices. This paper introduces the particular separation mechanism of the ejector and presents the methodology, based on a probabilistic design method, to predict the ejection-and-separation reliability. This approach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can also be applicable to the reliability prediction of one-shot items suffering from difficulties in estimating or in demonstrating their reliability due to the lack of the number of tests available.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소형 위성용 분리장치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n the separation device activated by shape memory alloy actuator)

  • 최준우;이동규;황국하;이민형;김병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635-64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형상기억합금 구동기를 이용한 소형위성용 비폭발식 분리장치를 소개한다. 앞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분리장치의 부품의 교체를 통하여 제안된 분리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고사전하중(preload) 하에서도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충격 실험을 통하여 비폭발식분리장치의 장점인 저충격 발생을 확인하였고, 발사환경 및 우주 환경실험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충격실험, 진동실험 및 열진공실험 후 고사전하중에서 저충격을 발생시키며 안정적으로 작동 가능한 비폭발식 분리장치를 개발하였다.

대향류형 보텍스 튜브의 노즐형상 변화011 따른 튜브 내부의 온도분포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in Internal Space of a Tube for the Formal Change of Counterflow Type Vortex Tube)

  • 황승식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69-76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s that make it possible to use a cool stream and a hot stream simultaneously. We changed the pressure of compressed air that flows into a tube, the inner diameter of orifice that a cold stream exits, and the mass flow rate ratio. And in each case, we measured the temperature of a cold stream and a hot stream in each exit of a tube. Also we measured the axial and the radial temperature distribution in internal spare of a tube. From the study, fellowing conclusive remarks 7an be made. First, As the number of nozzles increase, separation point move into the hot exit. Second, When we use guide vane type nozzle, the axial temperature distribution constant over the 0.75 of air mass flow rate radio. Third, When we use Spiral type nozzle, axial and radial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inner space is higher than another nozzle. Fourth, Axial and radial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inner space vortex-tube is determined by separation point. And separation point is moved by changing of air mass flow rate ratio. At last, A heating apparatus is possible far vortex-tube to use.

Dependence of the peak fluxes of solar energetic particles on CME parameters and magnetic connectivity

  • Park, Jinhye;Moon, Yong-Jae;Lee, Harim;Kahler, S.W.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82.3-83
    • /
    • 2017
  •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ak fluxes of 18 solar energetic particle (SEP) events and associated coronal mass ejection (CME) 3D parameters (speed, angular width, and separation angle) obtained from SOHO, STEREO-A and/or B for the period from 2010 August to 2013 June. We apply the STEREO CME Analysis Tool (StereoCAT) to the SEP-associated CMEs to obtain 3D speeds and 3D angular widths. The separation angles are determined as the longitudinal angle between flaring regions and magnetic footpoints of the spacecraft, which are calculated by the assumption of Parker spiral fiel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We find that the dependence of the SEP peak fluxes on CME 3D speed from multi-spacecraft is similar to that on 2D CME speed. 2)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P peak flux and 3D angular width from multi-spacecraft, which is much more evident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SEP peak flux and 2D angular width. 3) There is a noticeable anti-correlation (r=-0.62) between SEP peak flux and separation angle. 4) The multiple regression method between SEP peak fluxes and CME parameters shows that the longitudinal separation angle is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and the CME 3D speed is secondary on SEP peak flux.

  • PDF

기체-액체 원심분리기의 설계를 위한 매개변수 연구 (A Parametric Study for the Design of Gas-Liquid Centrifugal Separator)

  • ;오성진;김희동;김동선;곽경민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18-219
    • /
    • 2008
  • A gas-liquid centrifugal separator is widely used in industry because of its simple geometry and little maintenance. Also, these separators have considerable advantages over filters, scrubbers or precipitators in term of compact design, low pressure drop and higher capacity. A gas-liquid centrifugal separator is a device that utilizes centrifugal force and low pressure to separate liquid from gas by density difference. Design parameters such as length of separation space, swirl vane exit angle, inlet to outlet pipe diameter ratio, models for separation efficiency and low pressure drop as a function of physical dimension are not available in literature. In present study, length of separation space (from vane to gas exit opening) has been studied using CFD. The 3-D Navier-Stokes equations are numerically solved using a fully implicit finite volume scheme. Based upon the obtained solutions, tangential velocities, centrifugal forces, vortices and total pressure losses are analyzed to find the best design parameters.

  • PDF

소형 위성용 소형직류모터를 이용한 분리장치 (Release Mechanism for small satellite using micro DC motor)

  • 탁원준;조재욱;이민수;김병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767-77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위성 본체에 장착된 탑제체를 위성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비폭발식 분리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작동기로서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유성기어가 통합된 소형 직류모터를 채택하였다. 제안된 분리장치는 별도의 지그나 구조물 없이도 재장전이 용이 하도록 하였으며, 단순한 구조로 제작이 수월한 장점이 있다. 완성된 분리장치는 분리반응속도 측정시험, 최대분리가능하중 측정 시험, 최대발생충격 측정 시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입증하였고, 진동시험, 열진공 시험을 통하여 우주 환경에서 사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개발된 인공위성용 비폭발식 분리장치를 통하여 그동안 사용되었던 폭발식 분리장치 등의 해외위성용 분리장치를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음속 비행환경 조건에서의 슈라우드 분리시험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for the Shroud Separation in the Supersonic Flow)

  • 김정영;이동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539-54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마하 3의 초음속 유동 환경에서의 슈라우드 분리 특성 연구를 위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은 분리 구조물의 시험이 가능한 수직 자유 젯 풍동에서 이루어졌다. 분리시험용 슈라우드는 시험 목적과 시험 환경에 맞게 소형화한 축소형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외부 유동의 하중을 고려해 잠금/전개장치를 설계하였다. 고속카메라를 활용해 슈라우드가 전개되는 동안 슈라우드에서 생성되는 충격파 변화 양상과 슈라우드 전개/분리 거동을 기록하였다. 또 첨두부 동체 표면에는 압력센서를 적용해 슈라우드가 전개되는 동안 첨두부 표면에 작용하는 비정상 압력을 계측하였다. 시험자료 분석 결과, 슈라우드 분리기술 연구에 필요한 슈라우드 분리 영상 및 첨두부 비정상 압력 자료를 획득하였다. 아울러 외부 유동의 온도와 방향 조건에 따른 슈라우드 분리 거동과 충격파 변화 양상 그리고 첨두부 표면 압력 변화 특성을 확인하였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Hinge Driving Separation Nut-type Holding and Releasing Mechanism Triggered by Nichrome Burn Wire

  • LEE, Myeong-Jae;LEE, Yong-Keun;OH, Hyun-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6권4호
    • /
    • pp.602-613
    • /
    • 2015
  • As one of the mission payloads to be verified through the cube satellite mission of Cube Laboratory for Space Technology Experimental Project (STEP Cube Lab), we developed a hinge driving separation nut-type holding and releasing mechanism. The mechanism offers advantages, such as a large holding capacity and negligible induced shock, although its activation principle is based on a nylon cable cutting mechanism triggered by a nichrome burn wire generally used for cube satellite applications for the purpose of holding and releasing onboard appendages owing to its simplicity and low cost.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mechanism have been measured through a release function test, static load test under qualification temperature limits, and shock measurement test. In addition, the structural safety and operational functionality of the mechanism module under launch and on-orbit environments have been successfully demonstrated through a vibration test and thermal vacuum test.

로켓 부스터 분리 고속 풍동시험 (High-Speed Wind Tunnel Test on Rocket Booster Separation)

  • 라승호;김인선;옥호남;오범석;이준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75-81
    • /
    • 2005
  • 낙하물 및 로켓 단분리 등과 같은 비행체 분리물의 궤적을 모사하기 위해 사출, 격자 및 CTS 시험과 같은 풍동시험 기법이 많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3단형 과학로켓 개발 시 사용된 격자 및 CTS 시험 기법 및 대표적인 결과를 소개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풍동은 ONERA S2MA이며 마하수 2.0과 2.8에 대해 13개의 분리 궤적을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는 분리장치를 최적화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되었다.

초음속 공중발사 로켓의 모선분리 현상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Supersonic Separation of Air-launching Rocket from the Mother Plane)

  • 지영무;김영신;이재우;박준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8-2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공중발사로켓의 초음속 모선 분리 현상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정상상태와 비정상상태의 해석을 위하여 3차원 Euler방정식을 수치적으로 계산하였다. 해석결과는 모선과 로켓사이의 충격파 간섭현상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으며, 로켓의 분리 단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해석을 통해 찾아내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초음속 공중발사로켓의 설계에서의 안전한 모선분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