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10

검색결과 6,194건 처리시간 0.038초

Isolation of a Phytase-Producing Bacillus sp. KHU-10 and Its Phytase Production

  • Choi, Yang-Mun;Noh, Dong-Ouk;Cho, Sung-Ho;Lee, Hyo-Ku;Suh, Hyung-Joo;Chung, Soo-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223-226
    • /
    • 1999
  • A bacterial strain producing high level of an extracellular phytase was isolated from cooked rice and identified as a strain of Bacillus sp. and designated as Bacillus sp. KHU-10. Optimum culture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for the maximum productivity of phytase by Bacillus sp. KHU-10. 1.0% Maltose and 1.0% peptone with 0.5% beef extract were the best carbon source and nitrogen source,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CaCl_2$, stimulated the enzyme productivity with concentration between 0.01% and 0.2%, in the medium. Although sodium phosphate increased the cell mass, the enzyme activity decreased. Calcium phytate and wheat bran containing phytate did not enhance the enzyme production. Under the optimum medium, the production of the phytase reached the highest level of 0.2 unit/ml after 4 days of incubation.

  • PDF

저온.알칼리성 Protease를 생산하는 Pseudomonas sp. RP-222의 분리 및 조효소의 특성 (Isolation of Alkalopsychrotrophic Protease-Producing Pseudomonas sp. RP-222 and Properties of Its Crude Enzyme)

  • 노종수;정영철;성낙계;박석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83-389
    • /
    • 1991
  • 저온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알칼리성 protease를 생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시료로부터 집적배양에 의해 저온성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균은 저온.알칼리성 Pseudomonas sp.인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효소생산을 위한 균생육의 최적 pH는 10.0, 온도 $20^{\circ}C$에서 4일간 배양하였을 때였다. 이 효소 활성의 최적 pH 및 온도는 각각 pH 10.5 및 $40^{\circ}C$였으며, pH 및 열안정성은 각각 pH 7.0~13.0, 온도 $50^{\circ}C$이하의 범위에서 비교적 안정하였다.

  • PDF

Rotifer, Keratella sp.의 성장을 위한 최적 염분 및 수온 조건 (The Optimal Salinity and Temperature Condition for the Growth of Rotifer, Keratella sp.)

  • 이배익;김신권;권오남;박흠기;박진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1205-1213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optimum salinity and temperature conditions for the mass culture of small rotifer, Keratella sp.. In the salinity experiment ranging from 0-34‰, the population growth of Keratella sp. drastically increased continuously up to 15‰, and then slightly increased over 20‰. Their maximum density reached 1,007 inds./mL at 0‰. A pre-reproductive phase was shorter in low salinity than in high salinity. The highest number of offspring per female (10.2 inds.) and lifespan of the female (10.7 days) were obtained at 0‰,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ose at 5‰. In the temperature experiments ranging from 16-$32^{\circ}C$, the highest maximum density (1,766 inds./mL) was shown at $24^{\circ}C$. The number of offspring per femal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the highest number of offspring per female was 10.4 inds. at $24^{\circ}C$. The lifespan of female increas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and the longest lifespan was 12.8 days at $16^{\circ}C$.

유해적조생물 Cochlodinum polykrikoides를 살멸하는 Brachybacterium sp. SY-97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rachybacterium sp. SY -97 Killing the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 김윤숙;정성윤;이상준;이원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5-443
    • /
    • 2009
  • A bacterial strain SY-97 that showed algicidal activity against Cochlodinium polykrikoides was isolated from coastal water of Uljin (eastern coast of Korea) in August, 2005.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Brachybacterium sp. by morphological and biological tests, and analysis of 16S rDNA sequence.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strain SY-97 were $30^{\circ}C$, initial pH 7.0, and salinity 2.0%. From the result of cell culture insert experiment, Brachybacterium sp. SY-97 is assumed to produce secondary metabolites which have algicidal activity. When 10% culture filtrate of this strain was applied to C. polykrikoides ($1.2{\times}10^4\;cells/m{\ell}$) cultures, 100% of C. polykrikoides cells was destroyed within 15 hours. The released algicides were heat-tolerant to $100^{\circ}C$ and stable in pH $6.0{\sim}10.0$.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achybacterium sp. SY-97 is potentially useful for controlling outbreaks of C. polykrikoides.

진동만의 살조세균의 동태와 살조 특성 (The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Algicidal Bacteria in Chindong Bay)

  • 김무찬;유흥식;옥미선;김창훈;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9-367
    • /
    • 1999
  • 적조 다발지역인 진동만에서 살조세균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8년 5월 19일부터 7월 7일까지, chlorophyll-a 및 살조세균의 계수$\cdot$분리하였고, 분리한 살조세균의 살조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기간동안 살조세균의 밀도는 $6.0\times10^1\~6.4\times10^5$cell $\ell^{-1}$의 범위에서 변동하였으며, chlorophyll-a의 농도의 증가 및 감소에 대하여 각각 1주일의 lag time을 두고 이와 동일한 변동양상을 나타내었다. 현장시료에서 분리된 3종의 살조세균 H519S5-4, H605S5-15 및 H605S5-22 균주의 살조범위를 침편모조류 Heterosigma akashiwo와 Chattonelia sp., 와편모조류 Gymnodinium catenatum, Gyrodinium impudicum 및 Cochlodinium polyklikoides, 규조류 Chaetoceros sp., Cescinodiscus granii, Ditylum brightwellii 및 Thalassiosira rotula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H60585-22 균주는 실험에 사용된 9종의 미세조류를 전부 사멸시켜 광범위한 살조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균주 H605S5-15는 H. akashiwo, G. catenatum, T. rotula 및 Chattonella sp.에 대하여, H519S5-4는 H. akashiwo, Chattonella sp., Chaetoceros sp. 및 G. catenatum에 대하여 살조력을 나타내었다. 살조유형은 3종 모두 세포 외 물질을 분비하여 살조하는 살조인자분비형 세균으로 나타났다. 세균이 나타내는 살조력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군집동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연안에서 적조의 급격한 소멸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산 양태속 어류의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Platycephalus (Platycephalidae) from Korea)

  • 이충렬;김종환;김지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3-148
    • /
    • 1999
  • 한국산 Platycephalus속 어류 2 종의 분류학적 위치관계를 면밀히 검토하기 위하여 이들의 주요 형태적 특징과 근단백질 전기영동 및 LDH, MDH isozyme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슴지느러미의 연조수에서 P. indicus 에서는 18~20개 (P. sp.에서는 16~19개), 측선 린수는 70~80개 (83~100개), 두장에 대한 안경의 비율은 10.2~13.1% (10.9~15.5%)이었고, 양안간격은 14.5~18.1% (11.8~17.8%)였으며, 이 외에도 문단의 형태, 체색 그리고 가슴 및 배지느러미의 색깔 등에서 잘 구분되었다. 한편 전기 영동상에 의한 근 단백질 band 수는 P. indicus에서 16개, P. sp.에서 18개로 분리되었다. LDH isozyme은 P. indicus에서는 2개, P. sp.에서는 1개로 나타났고, MDH isozyme은 P. indicus에서 5개, P. sp.에서 4개로 분리되었다. 이 외에도 각 band의 이동거리, 활성도 등에서도 두 종간에 상이하게 나타났었다. 따라서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양태속 어류에 속하는 P. indicus와 P. sp.는 서로 다른 종으로 간주된다.

  • PDF

서해 경기 내만해역 조간대, 조하대의 저서동물군집 (Faunal Assemblages of Benthic Macrofauna in the Inter- and Subtidal Region of the Inner K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 신현출;최진우;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84-193
    • /
    • 1989
  • 1987년과 1988년의 2년에 걸쳐 경기만의 저서동물 군집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87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이들의 평균 서식밀도는 550개체/$m^2$에 달하였다. 주요 동물군은 다모류, 연체동물, 갑각류 등이며, 이들은 총 출현개체수 중 각각 64.7, 17.4, 15.2%를 차지하였다. 경기만의 주요 저서종은 Tharyx sp.(10.9%), Mactra veneriformis(10.5%), Mediomastus sp.(8.6%) 그리고 Glycinde sp.(8.0%)등이었다. 이 중 조간대 지역의 대표적인 종은 Mactra veneriformis, Hinia festiva 그리고 Nephtys californiensis 등이었고, 반면 조하대의 수로지역에서는 Tharyx sp., Mediomastus sp., Sternaspis scutata 그리고 Nephtys polybranchia 등이 주요 종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은 종 조성에 근거하여 조간대에 2개, 조하대의 수로지역에 2개 등 총 4개의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각 정점군에는 특징적인 저서동물 군집이 분포하는데, 조간대 지역에는 Maxtra-Hinia 군집과 Aricidea-Haploscoloplos 군집, 수로지역에는 Harpiniopsis-Urothoe 군집과 Mediomastus-Sternaspis 군집 등이다. 이중 Mediomastus-Sternaspis 군집에서 출현 종수와 서식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 다양성 및 균등도 지수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Harpiniopsis-Urothoe 군집은 출현 종수 및 서식밀도가 가장 빈약하며, 또한 우점도 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조간대에 위치하는 2개의 군집에서는 모든 생물학적인 지표가 중간 정도의 값을 보였다. 강화도와 영종도 사이의 북부 수로지역에서 출현 종수 및 서식밀도가 특히 높게 나타나는 것은 퇴적물내 자갈과 진흙이 혼재하는 이질적인 퇴적환경과 근접한 한강 및 인천공업단지로부터의 유기물 유입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PDF

Serratia marcescens KCTC 2172로부터 pst operon의 클로닝 및 해석 (Molecular Cloning and Analysis of Phosphate Specific Transport (pst) Operon from Serratia marcescens KCTC 2172)

  • 이승진;이용석;이상철;박인혜;안순철;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66-572
    • /
    • 2009
  • S. marcescens KCTC 2172로부터 유전자 은행을 작성하여 재조합 클론 pDH3를 얻었으며, pDH3 유래의 서브클론을 작성하였다. 플라스미드 pPH4의 전염기서열 5,137 bp 영역을 결정한 결과 3개의 ORF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pst 오페론의 pstC, pstA, 및 pstB, 세 유전자를 동일 전사방향으로 코드하고 있었다. 타 세균의 유전자와 비교한 결과 S. marcescens의 pst 오페론은 pstS와 phoU가 결손되어 있다. 조절영역에는 CRP 결합영역과 pho box 서열이 존재하였다. 보고된 유전자와 상동성 조사결과, PstC 단백질은 Yersinia sp., Vibrio sp. 및 Pseudomonas sp.와는 49, 37, 33%의 상동성을, PstA 단백질은 Yersinia sp., Vibrio sp. 및 Pseudomonas sp.와 64, 51, 47%의 상동성을, PstB 단백질은 Methanocaldococcus sp., E. coli 및 Mycoplasma sp.와 60, 50, 48%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Pst 유전자들은 조절영역의 cAMP-CRP 복합체에 의해 in vivo에서 양성적으로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Pst 오페론을 포함하는 플라스미드를 도입한 대장균은 인산운송에 관여하는 능력을 확인하였다.

폐광산 주변 토양의 Zn, Cu, Pb의 함량 및 식물체내 축적 (Concentration of Zn, Cu, and Pb in Soils and Accumulation of Its in Plants around Abandoned Mine Vicinity)

  • 서상우;문성기;최철만;박연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26-833
    • /
    • 2005
  • 식물 비생육지 토양의 깊이별 중금속 함량은 S1지점의 경우 1996년 오염토양 개선사업으로 S1지점 바로 위에다 남은 광미를 복토함으로써 광미 중금속이 강우에 의해 용탈되어 토양에 축적되기 때문에 오염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S2지점은 오염토양 개선사업의 효과로서 표토에서 Zn과 Pb가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며 Pb의 경우 $30\∼50cm$에서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한 것은 광맥의 영향 때문이며 구리의 경우는 광산의 채광물로서 오염 정도가 심각하였다. 생육지 토양의 중금속 함량은 같은 표고상에 위치한 광산 위 지점(SP1, SP2, SP3)에서 볼 때 SP1지점에서는 Zn의 함량이 537.5 mg/kg로 가장 높았고, SP3지점에서는 Cu와 Pb의 함량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폐광산에 복토 사업을 했더라도 아직 토양 복원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강우와 풍화에 의한 광미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SP2지점은 다른 지점보다 지대가 높아 광미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식물체내의 중금속 함량은 차즈기>쑥>억새>살갈퀴 순으로 조사되었고 식물에 의한 연간 중금속 제거율 역시 차즈기가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차즈기는 다량의 중금속이 축적되어 있고 중금속 오염 지역에 내성이 있는 지표종으로 생각될 수 있으며 본 식물의 중금속 축적 능력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산부의 삼음교(SP-6).합곡(LI-4)지압이 분만통증과 분만소요시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n Labor Pain and Length of Delivery Time for Primipara Women treated by San-Yin-Jian(SP-6) Acupressure and Hob-Gog(LI-4) Acupressure)

  • 김영란;장순복;이미경;맹웅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44-25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labor pain and duration of delivery time for primipara women treated by San-Yin-Jiao(SP-6) and Hob-Gog(LI-4) acupressure.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post test only design. It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s of SP-6 acupressure or LI-4 acupressure on labor pain in primipara women. The benefits of using SP-6 acupressure or LI-4 acupressure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ree groups, a SP-6 acupressure group, a LI-4 acupressure group and a control group, not treated with acupressure. The participants included 192 primiparas who underwent vaginal delivery, 72 primiparas in the control group, 71 in the SP-6 acupressure group and 49 in the LI-4 acupressure group.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general characteristics, a subjective labor pain scale (Johnson, 1974), and measurement of duration of delivery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Differences in the acupressure effect for SP-6 and LI-4 were analyzed using Scheffe's test which showed tha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vs the SP-6 group and the control group vs the LI-4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21.767, p<0.05; t=23.923, p<0.05), but the SP-6 group vs the LI-4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2. The duration of delivery time in the group which had SP-6 acupressure or LI-4 acupressure was shorter (400.77${\pm}$153.34; 379.10${\pm}$127.60) than in the control group (528.68${\pm}$239.08).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acupressure with SP-6 and LI-4 were also analyzed by Scheffe's test. Control group vs SP-6 group and Control group vs LI-4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t=127.91, p<0.05; t=149.58, p<0.05), but the SP-6 group vs the LI-4 group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21.67). This study has shown that SP-6 and LI-4 acupressure were both effective in relation to labor pain and duration of delivery time for primiparas. But it is necessary to replicate the study with a larger number of participants to generalize of the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