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lecithi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5초

Protection of Skin Fibroblasts from Infrared-A-Induced Photo-Damage Using Ginsenoside Rg3(S)-Incorporated Soybean Lecithin Liposomes

  • Won Ho Jung;Jihyeon Song;Gayeon You;Jun Hyuk Lee;Sin Won Lee;Joong-Hoon Ahn;Hyejung M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135-141
    • /
    • 2023
  • Protection of skin cells from chronic infrared-A (IRA) irradiation is crucial for anti-photoaging of the ski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activity of Rg3(S) and Rg3(S)-incorporated anionic soybean lecithin liposomes (Rg3/Lipo) with a size of approximately 150 nm against IRA-induced photodamage in human fibroblasts. The formulated Rg3/Lipo showed increased solubility in aqueous solution up to a concentration of 200 ㎍/ml, compared to free Rg3(S). In addition, Rg3/Lipo exhibited superior colloidal stability in aqueous solutions and biocompatibility for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NHDFs). After repeated IRA irradiation on NHDFs, elevated levels of cellular and mitochondria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ere greatly reduced by Rg3(S) and Rg3/Lipo. In addition, cells treated with Rg3/Lipo exhibited noticeably reduced apoptotic signals following IRA irradiation compared to untreated cells. Thus, considering aqueous solubility and cellular responses, Rg3/Lipo could serve as a promising infrared protector for healthy aging of skin cells.

대두 가공품 1회분량 내 이소플라본, 사포닌, 식이섬유, 대두 올리고당 및 레시틴의 함량 - 상업용 대두 가공품 1회 분량 당의 생리활성 물질 함량 분석 - (Determination of Isoflavone, Total Saponin, Dietary Fiber, Soy Oligosaccharides and Lecithins from Commercial Soy Products Based on the One Serving Size - Some bioactive compounds from commercialized soy products -)

  • 김천희;박점선;손헌수;정재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6-102
    • /
    • 2002
  • 대두 제품 중 대두, 두유, 두부, 생대두분말, 분리대두단백(isolated soy protein, ISP), 된장, natto, tempeh의 이소플라본, 수용성 식이섬유, 대두 올리고당, 레시틴, 사포닌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건물 기준으로 생대두분말과 natto, 두유에는 각각 489.1 mg%, 308.3 mg%, 138.1 mg%의 이소플라본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소플라본의 aglycone/glucoside 비율을 natto에 비하여 된장과 tempeh가 더 높았다. 생대두분말은 24.3%의 식이 섬유와 2.87%의 대두 올리고당을 함유하고 있었다. 두유의 경우 식이 섬유의 절대량은 많지 않으나 soluble fiber/total dietary fiber 비가 59%로 가장 높았다. 건물기준으로 두부에는 20.1%의 식이 섬유와 1.13%의 레시틴이 함유되어 상대적으로 많았다. 분리대두단백에는 레시틴과 사포닌이 함유량은 각각 0.63%와 0.65%였다. 비록 대두의 생물학적 활성물질함량은 레시틴을 제외하고 대두 가공품 중 가장 높았으나 이를 일회 분량으로 환산한 경우 두유 내 생물학적 활성물질의 양이 대두와 매우 유사하였다. 즉 두유 일회 분량(200 mL)에는 이소플라본 31.5 mg(raw soybean 15.9 mg), 식이섬유 2.59 g(raw soybean 4.59 g), 올리고당 0.57 g(raw soybean 0.50 g), 레시틴 0.10 g(raw soybean 0.10 g), 사포닌 0.11 g(raw soybean 0.10 g)이 함유되어 있어, 두유는 일상적으로 섭취하기 편하고 대두 생리활성 물질의 좋은 공급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능성 식용유를 이용한 저열량 버터 스폰지 케잌의 제조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tter sponge cakes prepared with soybean oil and hicook)

  • 문수재;오혜숙;이명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23-329
    • /
    • 1995
  • The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prepared from various formulas having different types and levels of fat were examined through physical measurements and sensory evalua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cake batters and cakes with hicook, that is, specific gravity and mixing characteristics of cake batters and volume of cakes, were similar to cakes with oil and added lecithin as emulsifier. Also in sensory evaluation the uniformity of air cell and moistness of cak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samples. From this result, we concluded that lecithin is responsi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cakes with hicook. And hicook successfully replaced soybean oil in sponge cakes, and the fat content of cakes with hicook colud be reduced by 20% relative to cakes with soybean oils.

  • PDF

ELSD를 이용한 레시틴중의 포스파티딜콜린의 분석 (Determination of Phosphatidylcholine in Korea Functional Foods Containing Lecithins using HPLC with Evaporative Light-Scattering Detector (ELSD))

  • 이창희;반경녀;조태용;이주연;이영자;채갑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67-271
    • /
    • 2005
  • 본 연구는 세포막의 구성성분으로서 인체의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물질인 인지질을 정량하기 위하여 인지질의 주요성분인 포스파티딜콜린에 대해 HPLC/ELSD를 이용한 신속, 정확한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HPLC의 조건은 silica column을 사용하고 헥산:이소프로판올:물-30:60:8을 유속 0.5 ml/min으로 포스파티딜콜린을 분리하였고 ELSD 검출기를 사용하여 nebulizer온도는 $60^{\circ}C$. drift tube온도는 $75^{\circ}C$, carrier gas 30 psi로 하여 20 min내에 분리하였으며 검량선은 250 ppm$\∼$1,000 ppm으로 하여 정량하였다. 시료의 회수율은 $8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정량한계는 0.15 ppm이였다. 또한 이 분석법을 이용하여 실제 유통되고 있는 레시틴제품(난황레시틴 2종, 대두레시틴8종)에 대해 인지질의 함량과 포스파티딜함량을 조사한 결과, 인지질의 함량은 각각 81.5$\∼$83.3$\%$, $66.0\∼88.0\%$로 나타났으며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은 각각 74.8$\∼$ 8.6$\%$$18.7\∼62.3\%$로 난황레시틴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레시틴이 강화된 인삼 추출물 제조 방법 (Method for Supplementing Lecithin to Ginseng Extract)

  • 박순혜;김일웅;김동만;김시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245-1250
    • /
    • 2006
  • 본 연구는 레시틴이 강화된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우선 대두유 레시틴을 대두유와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LCS를 제조하였다. 고형분 함량이 10%인 홍삼 물추출물과 LCS의 비율을 3:1로 하여 혼합하여 vortexing한 뒤 혼합액을 원심분리하여 오일 층과 수용액 층을 분리하였다. 수용액 층에 대하여는 레시틴과 사포닌의 정성 및 정량분석을 행하였다. 홍삼 추출물에 대하여는 LCS처리 전 후 지방산 조성과 조지방 함량도 조사하였다. 또한, LCS를 처리한 홍삼 추출물에 대하여는 농축 후 $4^{\circ}C,\;25^{\circ}C,\;40^{\circ}C$/6개월 Falcon 튜브에 넣어 보관하면서 상부 1/3과 하부 1/3의 레시틴 함량을 조사함으로써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LCS처리로 인한 홍삼 추출물의 조지방 함량은 변화 없었고, 지방산 조성 변화는 oleic acid의 증가 이외에는 특별한 결과를 관찰할 수 없었다. 홍삼 추출물로의 레시틴 이행율은 대두유에 대한 레시틴의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정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LCS-처리 전 후 홍삼 추출물 중의 지방산 조성과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LC 및 HPLC 조사 결과 역시 LCS-처리 전 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3가지 조건에 6개월간 보관하면서 보관용 튜브의 상 하부 1/3의 레시틴 함량과 사포닌 조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LCS-처리 홍삼 농축액의 안정성은 만족할 만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레시틴 함유 대두유 혼합액으로 홍삼 추출물을 처리하는 방법은 홍삼 추출물에 레시틴을 강화시킬 수 있는 안정성이 뛰어나고 처리 공정이 간편한 방법이라 판단한다.

다양한 용매를 이용한 대두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Soybean Extracts by using Various Solvents)

  • 김지영;맹영선;이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35-639
    • /
    • 1995
  • 본 연구는 대두로부터 항산화성 물질의 효과적인 추출 방법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대두로부터 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클로로포름, 벤젠, 에틸 아세테이트,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을 사용하여 $30^{\circ}C$에서 상온 추출 및 $85^{\circ}C$에서 환류추출을 행하여 추출된 각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대두유 산화시 과산화물가와 난황레시틴 리포좀 산화시 형성된 TBARS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추출물을 대두유에 첨가시켜 항산화효과를 관찰한 경우 날대두 용매 추출물이 탈지대두 용매추출물보다 항산화 효과가 뛰어 나며, 볶은 과정을 거친 대두군에서는 탈지대두군이 항산화효과가 높았다. 상온추출물보다는 환류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대두유 산화뿐만 아니라 난황레시틴 현탁액의 관산화 반응에서도 역시 동일하였다. 여러가지 용매에 의한 추출물중에서 가장 큰 항산화효과를 나타낸 것은 볶은 탈지대두의 메탄올 추출물이었으며, 메탄올 추출물은 전반적으로 항산화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성분의 추출에 가장 좋은 용매로 생각되었으나, 추출물의 난황레시틴 리포좀의 과산화 억제 정도는 메탄올 추출물보다는 물 추출물의 경우가 더 효과가 좋았다.

  • PDF

이형유 종류에 따른 Cake 제품의 이탈성, 이형유의 과산화물가 및 산가의 변화 (Effect of the Pan Oil Type on the Releasing Power, Changes of Peroxide and Acid alue of the Oil)

  • 이정훈;조남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7-142
    • /
    • 1998
  • 요오드가 다른 4종류의 기본유(soybean oil, palmolein, coconut oil, corn oil)에 lecithin과 wax를 일정량 첨가하여 16종류의 시료 이형유를 만든 후 polyether sulphone로 피복한 철판에 케익을 구워 이탈율의 정도 그리고 이형유 제조 직후와 구운후의 이형유 시료들의 산가와 과산화물과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첨가물보다 기본유 자체의 성질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오드가가 낮을수록 즉 포화 지방산이 많을수록 이탈률이 좋았다. 가장 좋은 이탈률을 보인 것은 coconut oil에 wax 2%와 Lecithin 2%를 첨가하여 제조한 것으로 도포량에 관계없이 좋은 이탈률을 보였다. 2. 산가는 이형유 조제 직후에나 구운 후에도 큰 변화가 없었다. Soybean oil, palmolein, corn oil, coconut oil은 각각 구운 후의 산가가 0.045, 0.048, 0.085, 0.044를 나타냈다. 3. 철판유 제조 직후 과산화물가는 soybean oil, palmolein, corn oil, coconut oil이 각각 1.19, 0.81, 1.00 그리고 1.10이었으나 구운 후에는 7.9, 7.0, 10.9, 9.9로 고온에서 과산화물가가 급격하게 상승하였다.

  • PDF

초임계 역상 증발법을 이용한 대두 레시틴 리포좀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oybean Lecithin Liposome using Supercritical Reverse Phase Evaporation Method)

  • 이미진;정노희;장부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1-398
    • /
    • 2010
  • Soybean lecithin liposomes composed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inositol and phosphatidic acid were prepared by using the previously developed supercritical reverse phase evaporation method. The effect of phospholipid composition on the formation of liposome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examined by means of trapping efficiency measurement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dynamic light scattering and zeta potential measurements. The trapping efficiency of liposomes for D-(+)-glucose made of CNA-Ⅰ which contains approximately 95% phosphatidyl choline is higher than that of CNA-II and CNA-O which contain approximately 32% phosphatidyl choline. However there is no any difference between the trapping efficiency of liposomes for D-(+)-glucose made of CNA-II which has saturated hydrocarbons tails and that of liposomes made of CNA-O which has unsaturated hydrocarbon chains. The electron micrographs of liposomes made of CNA-II and CNA-O show small spherical liposomes with diameter of $0.1\sim0.25{\mu}m$, while that of CNA-I shows large unilamellar liposomes with diameter of $0.2\sim1.2{\mu}m$. These results clearly show that phospholipid structure of phosphatidylcholine allows an efficient preparation of large unilamellar liposomes and a high trapping efficiency for water soluble substances. Liposomes made of CNA-II and CNA-O remained well-dispersed for at least 14 days, while liposome suspension made of CNA-I separated in two phase at 14 days due to aggregation and fusion of liposomes. The dispersibility of liposomes made of CNA-I is lower than that of CNA-II and CNA-O due to the smallar zeta potential of CNA-I.

Effects of Various Fat Sources and Lecithin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Utilization in Pigs Weaned at 21 Days of Age

  • Jin, C.F.;Kim, J.H.;Han, In K.;Jung, H.J.;Kwon, C.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2호
    • /
    • pp.176-184
    • /
    • 1998
  • A total of 125 pigs (5.8 kg of BW) were allott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Treatments were coconut oil, corn oil, soybean oil, tallow and tallow+lecithin. Each treatment had 5 replicates with 5 pigs per replicate. From d 0 to 7, pigs fed vegetable oil supported greater average daily gain (ADG) and improved feed/gain (F/G) compared to pigs fed the animal fat. Addition of lecithin to tallow increased ADG by 7.2%. Feed intake were similar for all treatment groups. From d 8 to 14, pigs fed coconut oil and soy oil showed better ADG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than any of the others. From d 15 to 21, pigs fed the tallow diets had lower gains (p < 0.05) than those fed diets that contained vegetable oil and tallow with added lecithin. The effect of different fat sources on gain became smaller with age. Feed intakes were similar between the vegetable oil and lecithin supplemented diets each week postweaning except for pigs fed tallow (p < 0.05). Feed : gain ratios were superior during the initial 2 weeks postweaning period when pigs were provided vegetable oil diet compared with pigs fed tallow. All pig groups had similar feed : gain ratios during 3 weeks. Combinations of tallow with lecithin tended to have intermediate feed/gain ratio. It was found that vegetable oils were much better in improving growth rate of the piglets. Lecithin significantly improved growth rate and feed efficiency of the pigs through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compared to tallow. Coconut oil was the most effective in improving growth of pigs during the first two weeks postweaning. Corn oil had equal value with soy oil in improving growth performance of weaned pigs. When vegetable oil was added, the digestibilities of nutrients except for minerals were higher than when the tallow was fed. Nutrients digestibility was similar among vegetable oils. The addition of lecithin to tallow increased digestibility of gross energy, dry matter, ether extract and crude protein. Crude ash and phosphorus digestibility were not affected by the treatments. Dry matter excretion was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except for tallow whic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ry matter excretion (p < 0.05), while nitrogen excre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igs fed vegetable oil sources. However, Phosphorus excretion was not affected by the different fat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