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leaf

검색결과 403건 처리시간 0.022초

Physiological Responses of Soybean Cultivars to Fusarium solani f. sp. glycines Causing Sudden Death Syndrome

  • Joon Hyeong, C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73-381
    • /
    • 1999
  • Six soybean cultivars having different SDS susceptibility were planted with sorghum seedinoculum infested with F. solani isolate 171 in the greenhouse. First leaf symptoms appeared on unifoliar leaves at 9 days after inoculation and all cultivars showed the typical leaf symptoms at 13 days after inoculation, when trifoliar leaves emerged. Leaf symptoms development in susceptible cultivars was faster than in resistant cultivars. Leaf symptom severities during the period of 25 to 29 days after inocul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ultivars which had SDS resistance and sus ceptibility. In this period, area under the diseaseprogress curve (AUDPC) of Hartz 6686 was the highest and that of PI 520733 was the lowest. SDS caused serious damage to the growth of soybean in all cultivars. Average reductions of growth rate of roo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greater than those of plant tops. Duyu-kong showed less severe leaf symptoms than that of SDS suscetible cultivars; however, average growth rate of plants top and roots of this cultivar was less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ose of SDS susceptible cultivars. In all cultivars, as severity of leaf symptoms increased, plant top weight decreased. Root rot symptoms were observed in all cultivars before leaf symptoms appeared. Average proportions of tap root reddish-brown discoloration of all cultivars was up to 75 % at 15 days after inoculati 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 between cultivars at each rating date. Appearances of leaf symptoms on leaves varied in each cultivar. SDS resistant cultiva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rinkling than susceptible cultivars and SDS susceptible cultiva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necrosis than resistant cultivars.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hysiological growth rate and SDS severities in soybeans.

  • PDF

콩에서 Source-Sink변경이 건물축적과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urce-Sink Alteration on Dry Matter Accumulation and Protein Content in Soybean)

  • 성락춘;박지희;박세준;조재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23-730
    • /
    • 1995
  • 콩의 건물축적과 단백질전류에 대한 Source-Sink변경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에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실험농장에서 황금콩을 공시품종으로 착협시기(R3)에 상위 40%, 하위 60%의 엽과 협을 제거하여 건물중 및 단백질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엽-하협제거처리에서 하위 엽과 경 건물중이 증가하였고, 상위 종실과 협 건물중은 감소하였다. 2. 엽의 단백질함량은 상위 엽보다 하위 엽에서 높았다. 3. 종실의 단백질함량은 상엽-하협제거와 하엽-상협제거처리에서 낮았다. 4. 상엽-하협제거처리에서 엽의 단백질함량은 가장 높았고 종실 단백질함량은 가장 낮았다. 5. 본 실험의 결과에서 콩의 단백질원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나 생식생장기간중의 장거리 전류를 위한 엽 단백질의 재이동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콩의 엽-협 비율 조절에 따른 탄소와 질소의 전류 (Carbon-Nitrogen Transport in Response to Control of Leaf-Pod Ratio in Soybean)

  • 성락춘;강병화;박세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94-601
    • /
    • 1994
  • 콩의 생식생장기인 착협시(R3)에 상부 50%와 하부 50%로 구분하여 엽제거 및 엽-협제거처리 하여 줄기, 엽 및 종실건물중과 가용성 당, 전분 및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0년과 1991년에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덕소 농장에 팔달콩, 백운콩 및 단엽콩을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팔달콩, 백운콩 및 단엽콩 모두 건물축적과 가용성 당, 전분 및 단백질함량에 처리간 같은 경향을 보였다. 2. 평균 줄기건물중은 상엽-하협제거와 하엽-상협제거로 높았고 상엽제거와 하엽제거는 낮았다. 3. 엽건물중은 처리중에서 상부엽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4. 종실수와 종실건물중은 엽 및 엽-협제거로 감소되었으나 하엽제거와 하엽-상협제거의 하부에서 높았다. 5. 가용성 당과 전분함량도 처리중에서 하부종실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6. 단백질함량은 상엽제거의 상부와 하엽제거의 하부에 감소되었으나 하엽제거의 상부종실에서 가장 높았다.

  • PDF

멸강나방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먹이의 영향 (Effect of Diets on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Rice Armyworm, Pseudaletia separata (Lepidoptera: Noctuidae))

  • 김길하;고해랑;김정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85-89
    • /
    • 2002
  • 멸강나방의 발육과 생식에 먹이(옥수수잎, 벼잎, 배추잎,양배추잎, 콩잎 그리고 누에인공사료)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과 번데기기간은 먹이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나, 유충기간은 유의성이 있었다. 총발육기간(알에서 성충까지)은 옥수수잎에서 32.5일로 가장 짧았고 콩잎에서 46.6일로 가장 길었다. 부화 후 16일째의 유충 무게는 벼잎과 누에인공사료에서 무거웠던 반면, 고구마잎과 양배추잎에서는 가벼웠고 용화하지 못했다. 번데기 무게는 벼잎에서 가장 무거웠다. 부화유충에서 성충까지의 생존율은 옥수수잎에서 70.6%로 가장 높았고, 콩잎에서 39.8%로 가장 낮았다. 암컷 성충의 수명은 먹이간에 큰차이는 없었다. 암컷 한 마리당 평균 총산란수는 벼잎, 옥수수및, 누에인공사료에서 사육한 경우가 배추및, 콩잎보다 많았다. 1세대 순증가율(R$_{0}$)은 누에인공사료에서 1218.5로 가장 높았으며, 내적자연증가율(R$_{0}$)의 범위는 0.115-0.175로 옥수수잎에서 가장 높았다.

대두 12 모본의 half diallel cross로부터 생성된 66 $F_2$ 분리집단에서의 종자크기와 잎 크기에 대한 관계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Seed size and Leaf Size in 66 $F_2$ Populations Derived from Mating of 12 Soybean Strains)

  • 정종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37-442
    • /
    • 1998
  • 대두에서 종자크기와 앞 크기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형질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12 strain을 선택하여 half diallel mating system으로부터 만들어진 66개의 $F_2$ 분리집단을 대상으로 양 형질에 대한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자크기 (g/100 seed)는 6.7에서 43.8의 변이를 보였고, 잎의 넓이와 길이(cm)에서는 각각 5.7에서 8.6과 9.4에서 12.9의 변이를 보였다. $F_2$ 집단에서의 잎의 넓이와 길이는 고도의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종자 크기와 잎 크기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보여, 잡종집단 및 germplasm 내에서 일반적으로 큰 잎 형질과 대립종자 형질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대두 잡종집단에서나 germplasm내에서 어린 식물체를 대상으로 하는 생육초기에서 대립종자를 가진 genotype를 선발하기 위해서 큰 잎을 가진 genotype의 선발은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 PDF

석탄(石灰), 가리(加里) 및 붕소시용(硼素施用)이 상치와 그 후작(後作) 대두생육(大豆生育)에 미치는 상호효과(相互效果) (Interaction of Calcium, Potassium and Boron on the Growth of Leaf Lettuce and its Following Crop of Soybean)

  • 하호성;허종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37-145
    • /
    • 1981
  • 화강암(花崗巖)에서 유래(由來)된 신개지토양(新開地土壤)에서 석회(石灰), 가리(加里) 및 붕소시용(硼素施用)이 상치와 그 후작대두(後作大豆)에 미치는 상호효과(相互效果)를 주로 식물영양면(植物榮養面)에서 비교검토(比較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석회시용(石灰施用)은 상치 및 대두(大豆)에 현저한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있었고 대두엽중(大豆葉中) Ca함량(含量)은 수량(收量), 협수(莢數) 및 건물중(乾物重)과 정상관(正相關)이 있었다. 2. 석회(石灰)는 단독효과(單獨效果)도 좋았지만 붕소(硼素)와의 병용(倂用)이 더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처리(處理)는 $Ca+B+K_1$구(區)였다. 3. 식물생육(植物生育)과 식물체중(植物體中) Ca/B율(率)은 어떠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았다. 4. 붕소시용(硼素施用)은 석회처리구(石灰處理區)는 물론 무석회구(無石灰區)에서도 Ca흡수(吸收)를 증가(增加)시켰다. 5. 붕소(硼素)는 대두(大豆)의 협수(莢數), 100입중(粒重)을 증가(增加)시켰고 대두엽중(大豆葉中) 붕소함량(硼素含量)은 협수(莢數)와 정상관(正相關)을 보였다. 6. 석회(石灰), 가리(加里), 붕소(硼素)의 1회기비(回基肥)는 상치와 후작대두(後作大豆)에까지 효과(效果)가 나타났다.

  • PDF

$\beta$선에 의한 식물잎의 수분함량측정 (Determination of Leaf Water Content by Beta Ray Transmission)

  • 이충열;원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492-496
    • /
    • 1998
  • $eta$선투과율을 이용하여 식물잎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1/5000a 와그너 폿트에 생육시킨 벼와 콩및을 대상으로, 정상적으로 생육한 개체만을 선별하였다. $^{99}$Tc(100 $\mu$ci)과 G-M detector사이를 10cm로 두고 그 사이에 잎을 놓아 잎을 통과한 $eta$선량(I)과 잎을 제외시켰을 때의 $eta$선량(Io)을 각각 측정하여 $eta$선투과율(I/Io)를 구하였고, 잎의 생체중과 건물중, 비엽면적을 측정하여 잎의 함수량과 $\beta$선 투과율(I/Io)과의 관계를 구하였다. 1. 잎 절단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eta$선투과율(I/Io)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토양수분결핍후 수분공급에 의해 $eta$선투과율(I/Io)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잎의 함수량과 $eta$선투과율(I/Io)과의 직선회귀관계식은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어, 잎의 함수량이 감소할수록 $eta$선투과율(I/Io)은 증가하였다. 3. 잎의 함수량을 종속변수로, 비엽면적(SLA)과 $eta$선투과율(I/Io)을 각각 독립변수로하여 다중회귀를 분석한 결과, 편회귀계수가 SLA는 벼 0.007, 콩 0.004이었고, I/Io는 벼 -0.863, 콩 -0.904로 수분함량에는 $eta$선투과율(I/Io)의 영향이 지배적이어서, $\beta$선투과율(I/Io)에 의한 식물잎의 수분함량이 측정이 가능하였다.

  • PDF

콩 점무늬병(Cercospora sojina Hara) 피해해석에 의한 경제적 방제수준 설정 (Establishment of Economic Threshold by Evaluation of Yield Component and Yield Damages Caused by Leaf Spot Disease of Soybean)

  • 심홍식;이종형;이용환;명인식;최효원
    • 식물병연구
    • /
    • 제19권3호
    • /
    • pp.196-200
    • /
    • 2013
  • 콩 점무늬병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경제적 방제수준을 설정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점무늬병 발병정도와 주당 협수, 주당 총립수, 주당 총립중, 등숙률, 100립중 및 수량과의 상관계수는 각각 -0.90, -0.90, -0.92, -0.99, -0.90, -0.94로 통계적으로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콩 점무늬병의 병반면적률이 증가됨에 따라 수량은 반비례하여 감소하였는데, 콩 점무늬병 발병정도(x)에 따른 수량(y) 예측모델을 산출한 결과, 회귀식은 y = -3.7213x + 354.99($R^2$= 0.9047)로 고도의 부의 상관이 있었다. 이 회귀식을 토대로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은 병반 면적률 3.3%, 경제적 방제수준(ET)은 병반면적율 2.6%로 설정할 수 있었다.

Effects of Planting Dates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Cultivated in Drained-Paddy Field

  • Cho Jin-Woong;Lee Jung-Joon;Kim Choong-S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5-330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adequate planting date, to compare the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early and late maturing cultivars, and to provide the data for the cultivation technique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in double cropping system with winter crops on paddy field in Korea. Cultivars were planted on 26 May, 16 June, and 7 July with a planting density of $70cm(row\;widtb)\;{\times}\;10cm$ (planting spacing). Seed yield of soybean planted on June 16 and July 7 was approximately $37\%\;and\;53\%$, respectively, less than that of conventional planting date of May 26 in Pungsan-namulkong, and planted on June 16 and July 7 was about $30\%\;and\;37\%$, respectively, less then that of conventional planting date of May 26 in Hanamkong. The number of pods and seeds per plant decreased as planting date delayed. Seed weight increased in Pungsan-namulkong but decreased in Hannamkong as planting date delayed. The flowering date was late in delayed planting plots, but it was shorted for days from emergence to flowering and from emergence to maturity. The plant height of Hannamkong was greater than Pungsan-namulkong from the emergence to flowering stages, but in contrast, it was greater in Pungsan-namulkong than Hannamkong after flowering stage (50d after emergence) when it planted on May 2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soybean cultivars at planting dates of June 16 and July 7. Leaf number, leaf area, and dry matter were also reduced by late planting, and Both of them were shown in high reduction at the later planting. There was a high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flowering $(r\;=\;0.87^{**})$ and pod formation $(r\;=\;0.91^{**})$ stages between leaf dry matter and seed yield. Crop growth rate (CGR) was greater at $R2\~R3$ growth stages compared to $R3\~R4\;or\;R4\~R5$ growth stages in two soybean cultivars and the greatest CGR was obtained at planting date of May 26 in two soybean cultivars except for R4-R5 growth stage in Pungsan-namulkong.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 between the seed yield and the leaf area index (LAI) across R3 to R4 and R2 to R3 stages. The photosynthetic rate $(P_N)$ of the uppermost leaf position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lanting dates and between two soybean cultivars. However, $P_N$ of the $7^{th}$ leaf position increased as the planting date delayed.

콩 품종, 파종시기 및 작부체계가 콩 불마름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rs, Sowing Date and Cropping System on the Development of Soybean Bacterial Pustule in the Field)

  • 홍성준;김용기;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지형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73-787
    • /
    • 2014
  •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에 의해 발생하는 콩 불마름병은 콩을 재배하는 많은 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세균성 병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콩 불마름병 발생 억제를 위한 저항성품종, 파종시기, 작부체계에 대한 효과를 포장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0여 품종을 자연 감염된 포장에서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푸른콩 등 14품종이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30여 품종이 병반면적률 3% 이하의 중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불마름병 감수성 품종인 태광콩을 5월 25일, 6월 5일, 6월 15일, 6월 25일 등 10일 간격으로 파종시기를 조절하여 병반면적률을 조사한 결과 23.3%-25.7%, 14.7%-18.0%, 10.7%-12.8%, 1.0%-2.7%의 발생을 각각 확인하였다. 불마름병 발생이 가장 낮은 처리구는 6월 25일 파종구였으며, 발생이 가장 심한 처리구는 5월 25일 처리구였다.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불마름병 발생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06년 12월부터 2007년 6월까지 5개의 콩-동계작물 작부체계의 토양을 채집하여 불마름병 병원균의 생존밀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작부체계에서 병원균이 검출되었으며 콩-보리 작부체계와 콩-마늘 작부체계의 병원균 밀도가 다른 작부체계보다 생존밀도가 낮았다. 더욱이 두 개의 작부체계는 콩 불마름병 발생도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