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aphid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8초

Evaluation of Resistance to the Aphid (Aphis glycines Matsumura) in Soybean Cultivars and Germplasms

  • Kim, Myung Sik;Sung, Mi Kyung;Baek, Woon Jang;Kim, Min Hwan;Chung, Jong I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65-372
    • /
    • 2012
  • Native of soybean aphid (Aphis glycines Matsumura) is an Asia and aphid is one of the dangerous pests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 High density aphid populations can reduce crop production by causing severe dam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evaluation of resistance to the soybean aphid in soybean cultivars and germplasms. A total of fifty five soybean cultivars or germplasms, including two susceptible and two resistant check varieties, were infested to evaluate their resistance in the field cage and greenhouse test by aphid colonies which derived from wild collected one soybean aphid biotype in Korea. The average number of reproduced soybean aphid was evaluated with 62.7 aphids in the resistant check variety PI 567598B and also estimated with 1,807 aphids for susceptible check variety Williams 82. In soybean varieties and germplasms, the average reproduced soybean aphid populations ranged from the lowest 497 aphids for Junjeori to the highest 3,862 aphids for Mansu. About seventy six percent of soybean cultivars and germplasms were shown high density soybean aphid populations when compared with another susceptible check variety PI 567543C in the field cage test. From the greenhouse test to evaluate aphid index, 87.3% of soybean cultivars or germplasms presented aphid index with 9.0. No soybean cultivars and germplasms were observed with soybean resistant phenotype when regarded a aphid resistant level as less than 10% aphid reproductions compared with susceptible check Williams 82. Although no Korean soybean cultivars were identified with resistant trait to the soybean aphid, we found one great resistant genetic resource PI 567598B in this study. This result will be helpful to further study for providing useful genetic information for soybean researchers.

Positional mapping for foxglove aphid resistance with 180k SNP array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

  • Park, Sumin;Kim, Kyung Hye;Go, Hong Min;Lee, Ju Seok;Jung, Jin Kyo;Bilyeu, Kristin D.;Lee, Jeong-Dong;Kan, Sungtae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45-145
    • /
    • 2017
  • Foxglove aphid, Aulacorthum solani (Kaltenbach), is a Hemipteran insect that infected a wide variety of plants worldwide and caused serious yield losses in crop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utative genes to foxglove aphid resistance in wild soybean, PI 366121 (Glycine soja Sieb. and Zucc.). One hundred and forty-one F4:8 recombinant inbred line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susceptible variety, Williams 82 and foxglove aphid resistance wild soybean, PI 366121 were used. The two type of resistance response, antibiosis and antixenosis resistance were evaluated through choice and no-choice test, graded by the degree of total plant damage and primary infestation leaf damage; a genome-wide molecular linkage map was constructed with 29,898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utilizing a Axiom(R) 180K soyaSNP array. Using inclusive composite interval mapping analysis for foxglove aphid resistance, one major candidate QTL on chromosome 7 was identified. The major QTL on chromosome 7 showed both antixenosis and antibiosis resistance responses. The newly identified major QTL was consistent with previously reported QTL, Raso2, which showed around 5 times narrow down interval range with 8 candidate genes. Furthermore, total 1,115 soybean varieties including Glycine soja and Glycine max were exposed to germplasm screening, and 31 varieties, which showed significant antibiosis type foxglove aphid resistance were identified. This result could be useful in breeding for new foxglove aphid resistant soybean cultivars and developing novel insecticides.

  • PDF

콩진딧물에 기생하는 진디벌과 이의 중기생벌에 관한 연구 (Primary Parasitoids and Hyperparasitoids of the Soybean Aphid, Aphis glyciner (Homoptera: Aphididae))

  • 장영덕;이재영;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1-55
    • /
    • 1994
  • 1987년 5월부터 9월 사이에 대전근교의 콩에 기생하고 있는 콩진딧물에서 진디벌에 기생당한 mu-mmy를 채집하여 진디벌과 중기생벌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진딧물의 진디벌에 대한 기생율, 진디벌과 중기생벌의 기주선택, mummy형성수와 형성 비율, 주요 진디벌과 중기생벌 종의 수명 등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77개의 채집된 진딧물 mummy 중 진디벌은 27.1%m 중기생벌은 50.3%였다. Aphidius cingulatus, Ephedrus persicae, E. plagiator가 콩진딧물에 기생하고 있는 진디벌의 주요 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진디벌에 기생하고 있는 중기생벌들 중에 A. vulgaris, A. convexa가 우점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기생벌중 Charios brasicae는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E.plagiator가 다른 콩진딧물에 기생하는 진디벌에 비해 중기생벌에 적게 기생되었다. 기생능력은 A. cingulatus 보다 E. plagiator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디벌과 중기생벌의 수명은 중기생벌이 3일~29일, 진디벌은 1일~4일로 추정되었다.

  • PDF

대두재식방법 및 품종에 따른 콩진딧물의 서식밀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nsity of Soybean Aphids in Different Cultivars, Plantings Date and Spacings)

  • 정규회;권신한;이영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40
    • /
    • 1980
  • 대두의 주요해충인 콩진딧물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생태적 구제책을 모색키 위해서 충북백외 5품종을 5월 9일에서 7월 5일까지 약 10일 간격으로 재식밀도를 달리 5차에 걸쳐 파종하였고 대두생육기간중에 진딧물의 연중발생소장을 조사하는 한편 재식기, 재식거리 또는 품종에 따른 콩진딧물의 접식밀도의 차이를 비교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콩진딧물의 년중발생소장을 보면 5월 26일까지는 진딧물이 전혀 나타나지 않다가 6월 2일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23일과 8월 18일에 각각 peak를 이루웠고 8월 18일의 peak는 6월 23의것보다 8배나 높았다. 2. 식물체정점으로부터 3번째 잎에 발생하는 진딧물수는 식물체전체에 발생하는 량의 약 20%에 해당되었고 시기별로 진딘물이 증가할 무렵은 높고 감소할 때는 낮은 경향이었다. 3. 재식시기에 따라 진딧물 접식밀도는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며 6월 20일 파종구가 가장 낮고 7월 5일구가 가장 높았다. 4. 재식밀도가 높을 수록 식물체당 진딧물 발생밀도는 낮은 경향이 있었다. 5. 품종간 콩진딘물의 발생밀도의 차이는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며 공시한 6개 품종중 충북백 이 저항성으로 또 금강대립이 이충성으로 나타났다.

  • PDF

콩에서 흡즙해충 싸리수염진딧물 저항성 자원의 발굴 (Resistance Resources for the Foxglove Aphid in Soybeans)

  • 고홍민;박수민;김경혜;김지민;이택림;허진호;이주석;정진교;강성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3호
    • /
    • pp.257-264
    • /
    • 2018
  • 작물의 병해충 발생은 환경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발생하며 현재 기후의 급격한 변화는 해충류의 급격한 발생빈도 증가를 야기하여 궁극적으로 안정적인 식량 공급의 위협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콩 재배에 있어 많은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싸리수염진딧물에 대한 저항성 검정지표설정과 저항성 자원발굴을 실시하였다. 기존 콩진딧물에서 사용하는 검정지표는 이동성이 높은 싸리수염진딧물에서 조사의 어려움 있어 비가림온실과 생장상에서의 진딧물 피해 정도를 분석 한 결과를 토대로 싸리수염진딧물 검정지표를 검정한 결과 싸리수염 진딧물은 식물의 피해정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났고, 간편하게는 접종 14일 후 최초 접종엽의 피해 정도가 싸리수염진딧물 검정지표로 가장 우수하였다. 국내 콩 유전자원의 재배종과 야생종 1,115점의 자원에 대한 Choice test 결과 재배종 23점과 야생종 44점으로 총 67개의 저항성 자원을 선발하였으며 No-Choice test를 통해 재배종에서 8점, 야생종에서 23점으로 항생성을 가진 31개의 유전자원을 선발 할 수 있었다. 선발된 저항성 자원은 생존성 검정결과 선발된 저항성자원에서 진딧물의 생존성이 매우 낮았으며 항생성과 비선호성간에 저항성 반응도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밝혀진 싸리수염저항성 검정지표 및 선발된 자원은 금후 해충저항성 품종개발과 기작구명에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ontrol of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by Combination of Plant Oil Formulations and Low-dosed Imidacloprid

  • Yang, You Ri;Kim, Seon-Hwa;Park, Myung-Ryeol;Kim, Ik-Soo;Kim, In-Seo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9-246
    • /
    • 2010
  • Aphids are one of the major pests in agricultural crops. A number of synthetic pesticides have been used for control of aphids in agriculture, but increasing public concerns over their adverse effects on the environment have required more environmentally-friendly methods for pest management. In this study, we examined plant oil formulations for the control of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Oil formulations were prepared by hydrolyzing the plant oils in ethanolic KOH solution and diluted at the rate of 1:500 for aphid control. The oil formulations showed aphid mortalities ranging from 24.44 to 43.33% in vitro. Significantly increased aphid mortalities were observed by the treatment of oil formulations combined with low-dosed imidaclopri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phid mortality was observed between the oil formulations. Mass spectrometry analyses of aphids treated with the low dosedimidacloprid plus the plant oil formulations detected similar concentrations of imidacloprid between the treatments. In field trial bioassays against aphids, significantly decreased aphid population were observed in the pepper plants treated with soybean oil formulation combined with the low-dosed imidacloprid, while aphid population dramatically increased in the pepper plants treated with the low-dosed imidacloprid alon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lant oil formulations can be used as an environmentally-friendly method for enhancing the insecticidal effectiveness, which may play a role in reducing the use of synthetic pesticide in agriculture.

3종(種)진딧물의 살충제(殺蟲劑) 감수성(感受性) (Suscepitibility of Several Insecticides on Three Aphids)

  • 김길하;신욱균;안종웅;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3-88
    • /
    • 1987
  • 3종(種) 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콩진딧물)에 대(對)한 acephate가 9종(種)의 살충제(殺蟲劑)를 공시(供試)하여 살충제(殺蟲劑)의 종류(種類)와 처리방법(處理方法) 그리고 종간(種間) 살충제(殺蟲劑)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비교(比較)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아래와 같다. 1) 3종(種) 진딧물은 살충제(殺蟲劑) 종류(種類)와 처리방법(處理方法)에 따라 현저(顯著)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2) 처리방법간(處理方法間) 비교(比較)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은 대체로 엽침지법(葉浸漬法)보다 분무법(噴霧法)에서 감수성(感受性)이 높았으나 목화진딧물과 콩진딧물은 살충제(殺蟲劑) 종류(種類)에 따라 현저(顯著)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특(特)히 목화진딧물은 phenthoate+dimethoate에서, 콩진딧물은 penvalerate에서 현저(顯著)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보였다. 3) 진딧물 종간(種間)에서도 살충제(殺蟲劑)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는데, 콩진딧물이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에 비(比)하여 감수성(感受性)이 높았다. 특(特)히 pirimicarb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 콩진딧물보다 목화진딧물에서 감수성(感受性)이 크게 저하(抵下)되었다. 4) 3종(種) 진딧물 중(中) 살충제(殺蟲劑) 스크리닝에서는 감수성(感受性)이 높은 콩진딧물의 선택(選擇)이 바람직스러우며 진딧물 감정방법(檢定方法)에서는 엽침지법(葉浸漬法)과 분무법(噴霧法) 중(中) 처리(處理)가 용이(容易)하고, 변이(變異)가 적은 결과(結果)를 얻을 수 있는 엽침지법(葉浸漬法)의 선택(選擇)을 추천(推薦)한다.

  • PDF

콩에 발생되는 진딧물류의 발생소장과 약제의 파구처리에 의한 진딧물 방제효과 (Seasonsal occurrence of aphids (Aulacorthum Solani K., Aphis glycines M.) and effects of some insecticides on aphids with infurrow treatment in soybean)

  • 황창연;엄기백;최궤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2-116
    • /
    • 1981
  • 포장내에서 실수조사에 의한 진딧물 발생상황과 살충제(Carbofuran $3\%$ 립제, Disulfoton $5\%$ 립제, Ortra $2\%$ 분제)의 약량을 달리한 파구처리효과를 검토해 본 결과 아래와 같다. 1. 콩에서는 싸리수염진딧물과 콩진딧물이 우점종으로 전자는 작물생육 초기와 후기에, 후자는 7월 중순(중기)에 밀도가 높았으며 황색수반에 유살된 싸리수염진딧물은 초기 및 후기 유살수가 높았으나 콩진딧물은 후기에 낮았다. 2. 입묘율은 Carbofuran구에서 높았고 Disulfoton과 Ortran구는 낮았으며 약해는 Carbofuran구에서 심하였으나 기타는 경미하였다. 3. 바이러스 이병율은 $2\~3%$로 낮았으며 약제 및 약량간에 차이가 없었다. 4. Carbofuran, Disulfoton은 처리후 65일까지 진딧물 방제효과가 인정된 반면 Ortran은 51일부터 효과가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5. 수량은 약제 및 약량간에 차이는 있으나 일정한 경향이 없는 것은 생육말기의 도복이 큰 원인으로 생각된다.

  • PDF

콩모자이크병 전염억제를 위한 진딧물 발생소장과 살충제 선발 (Seasonal Occurrence of Aphids and Selection of Insecticides for Controlling Aphids Transmitting Soybean Mosaic Virus)

  • 김율호;노재환;김명기;임대준;허일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353-355
    • /
    • 2000
  • 콩 재배포장에 정착하는 매개 진딧물 발생소장과 효율적인 살충제 선발을 통해 콩모자이크병 피해 경감 방법을 모색코자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기파종에서의 진딧물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과 8월 중순 2회였으나, 조기파종에서의 진딧물 발생최성기는 6월 중순으로 적기파종에 비해 진딧물 발생최성기가 약 10일정도 빨랐다. 2. 공시약제인 이미다클로프리드수화제, 벤즈유제, 아시트수화제 등은 모두 95% 이상의 진딧물 방제가를 보여 약효가 우수하였고 약해도 없어 효과적인 진딧물 방제 약제로 선발되었다. 3. 이미다클로프리드입제를 토양 혼입처리한 시험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 후 52일까지 진딧물 발생이 억제되었다. 4. 아시트 50% 수화제를 콩 생육단계 V4, V6, V4/V6에 1회 또는 2회 처리하였을 때, 처리구 모두 무처리구에 비해 SMV 발병률이 낮아 방제효과가 인정되었으며, 특히 V4/V6 시기 2회 처리구에서 SMV 발병률이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