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 curd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9초

Tepary Bean과 Soy Bean 혼합두부의 제조 및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pary Bean and Soybean Combination Curds and Their Textural Characteristics)

  • 장경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1-26
    • /
    • 1990
  • Tepary bean (phaseolus acutifolius var latifolius)은 반사막성기후 즉 미국의 서남부나 멕시코에서 자라는 콩으로 이 콩의 curd 생산에 있어서의 acceptability를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Curd는 100% Tepary bean(TB)과 soybean(SB)의 여러 가지 비율의 혼합물을 University Arizona와 Unicon Valleage Company와의 Cooperative Extension work에서 연구된 방법을 적용하여 만들었다. 완성된 Curd는 무게와 충고성분의 양(Yield)을 측정하였고 관능검사결과를 통계처리하여 특성 및 acceptability를 조사하였다. TB:SB가 50:50 그리고 25:75의 비율일 때, curd 제품의 관능검사와 acceptability에서 만족할 수 있었다. 따라서 50% 이상의 Tepary Bean Tofu는 좋은 질의 curd로서의 생산 이용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50% 미만의 Tepary Bean과 Soy bean의 curd는 서로 제한 아미노산을 보충해주어서 보다 좋은 질의 TOFU를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졌다고 보여진다.

  • PDF

콩, 두부 및 두부부산물중의 Isoflavone함량 및 항산화효과 (Isoflavone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Soybeans, Soybean Curd and their By-Products)

  • 배은아;권태완;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71-375
    • /
    • 1997
  • The content of genistein and daidzein which were known to be major antioxidative compounds in soybeans were detected by $C_{18}$ reverse phase HPLC. Most of isoflavones in soybeans were detected in the methanol extract but much less amount of isoflavones in the water extract. Among the four different kind of soybeans, the isoflavone content was highest in brown soybean, followed by yellow, small black and black soybean, in the order. These isoflavones were known to be soluble in hot water, which means transfer of isoflavone content was highest in brown soybean, followed by yellow, small black and black soybean, in the order. These isoflavones were known to be soluble in hot water, which means transfer of isoflavones in soy curd into whey during soy curd processing. To identify the change of isoflavone content during processing of soybean curd, soybean curd were made from yellow, brown and black soybean and isoflavone content were determined in each soybean curd, curd residue and whey. Most of soflavones were remained in the whey, it means most of useful antioxidative compounds were waste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technology to collect these isoflavones lost during soybean curd processing.

  • PDF

크릴을 이용한 순두부 분말 제조에 관한 연구 (PROCESSING OF SOY CURD POWER WITH SOYBEAN AND KRILL)

  • 한봉호;김근숙;조덕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37-141
    • /
    • 1979
  • 두부가공조건 및 순두부용 분말의 제조에 관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원료대두이 수침시간으로는 10시간이 적당하였다. 두유의 응고온도로는 $CaSO_4{\cdot}2H_2O,\;MgCl_2{\cdot}6H_2O$$CaCl_2$의 경우 $80^{\circ}C$가, GDL을 응고제로 사용할 때는 $90^{\circ}C$가 적당하였다. 응고제의 농도로는 $CaSO_4{\cdot}2H_2O,\;MgCl_2{\cdot}6H_2O$$CaCl_2$의 경우 원료대두에 대하여 $2%$가, GDL은 $3%$가 적당하였다. 수율과 제품의 단백질 함량면으로 보아 GDL의 사용이 $CaSO_4{\cdot}2H_2O,\;MgCl_2{\cdot}6H_2O$$CaCl_2$의 사용 보다 효과적이었다. 순두부용 분말의 제조는 두유를 분무건조함으로써 가능하였으며, 두유에 크릴즙을 혼합하여 분무건조하여 독특한 색택과 향미를 지닌 순두부용 분말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응고제를 두유와 크릴즙과 함께 혼합, 분무건조하여 순두부제조시 응고제를 달리 사용할 필요가 없는 분말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 PDF

Soy food intake behavior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Korean housewives

  • Lee, Min-June;Park, Ok-J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4호
    • /
    • pp.275-282
    • /
    • 2008
  • In this study, the soy food intake behaviors including perception and intake frequency of soybean foods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analyzed in housewives. The perception of housewives for soy foods showed that soybean paste, soybean curd, and Dambuk were high in the descending order for nutritional quality and health promotion effect, and soybean paste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taste and flavor. Soybean sprouts received the highest evaluation score in the economic aspect. In the aspect of safe food, soybean paste received the highest evaluation score, as mush as a traditional food. The analysis of perception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showed that soybean curd, Dambuk, and soybean sprouts had higher perceptions as education level increased, and soy milk had higher perceptions in subjects with younger age and with employment. In the intake frequency, more than 50% of the subjects had soybean curd, soybean sprouts, and soybean paste more than once a week. The analysis for correlation between the intake frequency of soy foods and the degree of perception showed that taste and flavor had high correlation with the intake frequency of soy foods except soybean sprouts. The intake frequency of soybean paste, Dambuk, and soy milk had positive correlations to familiarity and that of soy milk had positive correlations to nutrition and health perception, and those of soybeam paste, soybean sprouts, and soy milk had positive correlations to safe food perception. From the above results, housewives in Korea had very high perceptions to nutritional quality and health promotion effect of soy foods and the degree of perception and accompanied intake frequenc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level amo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청소년의 대두식품에 대한 태도 및 추정된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ttitude of Soy Food and Estimated Dietary Isoflavone Intake among Korean Adolescents)

  • 이민준;김민정;민성희;윤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606-614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ttitude to various soy foods and to estimate dietary isoflavone intake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8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urban and rural areas and 71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resulting in 89% response rate. The dietary isoflavone intake was estimated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developed for rapid assessment of isoflavone intake. Soybean paste, soybean curd, soy milk, bean sprouts and dambuk were recognized as nutritious and healthy food in order. Dambuk got the lowest score in taste and flavor. Bean sprouts, soybean curd and soybean paste were recognized as familiar food in order. Stuffed rice in fried soybean curd got the highest score and Miso soup got the lowest in preference. More than 50% of the subjects consumed soybean paste stew/soup and soybean curd over twice per week and 12.3% of the subjects consumed soybean over once a day. The estimated daily intake of isoflavones ranged from 0 to 227 mg, and the mean daily isoflavone intake of the subjects was 28.1 mg (16.3 mg genistein and 12.0 mg daidzein) whereas the median value of isoflavone intake was 19.7 mg.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Kyung Gi Do, Chung cheung Do and Seoul residents in their intake of isoflavone. The highest monthly income group consumed isoflavone more than the other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adolescent perceived the soybean dishes as high quality foods but they didn't take much because of difficulty to cook or less chance to eat.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o enhance consuming soy foods for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related to dietary isoflavone intake.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easy cook method of soy food is also needed.

Succinyl화가 대두 단백질의 기능성과 두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ccinylation on functional properties of soy protein isolate and qualities of soy bean curd)

  • 김수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1-50
    • /
    • 1990
  • Soy protein was isolated from Korean soy bean 'Chang ryub' and chemically modified with succinic anhydride. Functionality of the soy protein isolate(SPI), succinylated SPI(SPPI), and PP590(commercial) at various pH were investigated. The mechan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oy bean curds made from several mixing ratio of succinylated soy bean milk were observed. The solubility of SPI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succinylation. The solubility of PP590 was lower than that of SSPI. The solubility of SPPI increased significantly in 0.03M CaCl2 solution. The emulsifying activity of SSPI increased. On the range of pH above pI the emulsifying activity of PP590 was higher than that of SPI. There was no difference in emulsion stability among the groups. The foam expansion capacity of SPPI increased at higher pH than pI but the foam stability decreased significantly above pH 9. Mechanical texture profile analysis revealed the modified soy bean curds had the lower hardniss, chewiness and cohesiveness with increased modificati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modified soy bean curds revealed generalized Maxwell Model of 7-elements or 5-elements. In sensory evaluation, the hardness, the springiness and acceptability of modified soy bean curds were lower significantly than those of control soy bean curd.

  • PDF

효소처리가 대두단백질의 기능특성과 두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nctional Properties of Soy Protein Isolate and Qualities of Soybean Curd upon Proteolytic Hydrolysis)

  • 한진숙;황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94-299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분리대두단백질에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를 처리하여 대두단백질에 가수분해적 변성을 야기하여 그 기능성을 변화 고찰하고 실제 식품에의 이용방법으로 효소처리된 두유로 두부를 만들어 물성실험과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장엽에서 SPI를 제조한 후 15분간 bromelain으로 처리하여 2.7% 가수분해된 MSPI를 만들어 기능특성을 측정 비교하였다. MSPI는 전 pH범위에서 용해도가 증가하였고, 특히 등전점에서 15% 정도 증가하였다. 유화형성력과 기포팽창력은 증가하였으나 이들의 안정성은 감소하였는데, 특히 기포안정성은 알칼리쪽에서 급격히 감소하였고, 등전점에서는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두유와 변형두유를 혼합하여 제조한 두부로 물성실험과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을 때 압착실험에서는 변형두부I이 연하고 탄력성 있는 두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두부의 물성모형은 spring 한개와 Maxwell 모형 세개를 가진 7요소모형으로 동일한 물성모형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는 표준두유와 변형두유를 3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대두 단백질의 특성과 그 이용 (Characteristics of the Soybean Protein and its Utilization)

  • 박양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43-649
    • /
    • 1993
  • 대두의 조성은 다른 두류나 곡류와는 달리 35~40%의 단백질, 15~20%의 유지 및 20~25%의 당을 함유하고 있다. 예로부터 대두는 두부, 간장, 된장과 같은 전통식품의 원료로써 넓게 쓰여져왔다. 초원심분리에 의한 대두 단백의 성분은 침강정수에 의해 2, 7, 11 및 15S의 4가지 주요한 성분으로 나타난다. 저당잔백질 중 중요한 2성분인 7S 및 11S globulin은 많은 연구자들에게 의해 분리되고, 특성이 알려졌다. 미생물 효소에 의해 제조된 응고물은 금속이온 및 산처리에 의해 만들어진 것보다 훨씬 조밀한 구조를 나타내었다. 효소작용으로 얻어진 curd는 식품재료로써 개발되어지고, 식품가공분야에서도 폭넓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두유와 현미를 첨가한 요구르트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Yogurt from Milk Added with Soy Milk and Brown Rice)

  • 전기숙;김연중;박신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7-55
    • /
    • 1995
  • 우유에 두유와 현미를 각각 또는 혼합 첨가하고, 4종(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eptococcus thermophilus)의 젖산균을 단독 또는 혼합 배양하여 curd상 요구르트를 만들고, 두유와 현미의 첨가가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당도 및 요구르트의 품질(관능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두유와 현미의 혼합 첨가로 인해 요구르트의 젖산균 증식과 산생성이 대조군(우유 요구르트)보다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특히 Leuconostoc mesenteroides와 Streptococcus thermophilus를 혼합 배양한 경우에 산생성이 가장 우수하여 산도가 2.268%, pH가 4.2이었고,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Leuconostoc mesenteroides를 혼합 배양한 경우에 생균수가 가장 높아 $8.10{\times}10^9$ CFU/ml를 나타냈다. 또한 당도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두유와 현미를 함께 첨가한 요구르트는 3^{\circ}C에서 15일간 저장 후에도 산생성과 pH, 생균수의 변화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규정 젖산균수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여 저장성은 매우 우수하였다. 관능 검사결과를 보면 두유와 현미 첨가 요구르트의 경우 대조군(우유 요구르트)에 비해 맛과 향기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조직감이 거칠게 나타나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았지만 그 유의성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때 우유에 두유나 현미의 혼합 첨가는 식품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저장성도 우수하여 그 상품적 가치가 인정되나 우유 요구르트보다 기호도가 낮아 이의 개선을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항알레르기에 대한 Pediococcus inopinatus Y2 유산균 발효 두유 커드의 치료 효과 (Therapeutic Antiallergy Effect of Fermented Soy Curd by Pediococcus inopinatus Y2)

  • 강문선;이영근;김한수;정헌식;황대연;김동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78-483
    • /
    • 2019
  • 본 실험에서는 Pediococcus inopinatus Y2 (P. inopinatus Y2)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 두유커드가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치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알레르기 유발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4주간 경구투여한 이후, 마우스의 체중, 귀 두께, IgE 농도, 면역 기관 중량 및 혈청 IgE 농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동물실험 군은 적당한 체중 증가를 보였다. 귀 두께에서, 아무처리를 하지 않은 그룹(No group)이 가장 낮은 두께를 나타냈고, PA 처리 그룹이 알레르기가 유발되어 두꺼워졌다. PA로 유도된 AD 마우스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발효 두유커드 투여그룹(FSC group)의 피부 상태는 더욱 개선되었다. 이에 따라 유산균에 의한 발효 두유커드가 피부염을 회복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우스의 비장과 림프절의 무게와 IgE 농도를 비교 한 결과, 두유를 투여한 그룹(SM group)도 치료 효과를 보였으나 발효 두유커드의 알레르기 치료 효과가 더 우수 하였다. 결과적으로 발효 된 두유커드가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을 개선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