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y Sauce

검색결과 606건 처리시간 0.022초

효모첨가에 의한 재래식 간장 제조공정 개선 (Improved Process for Preparation of Traditional Kanjang(Korean-Style Soy Sauce))

  • 유진영;김현규;권동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68-274
    • /
    • 1998
  • The traditional kanjang has been prepared by mixing meju and 18% saline solution, and fermenting for 60 days. The traditional kanjang is very salty and inferior in flavor and taste comparing with commercial fermented soy sauce.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ditional kanjang, Zygosaccharomyces rouxii H-62, a flavor-related mutant, was inoculated during fermentation.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Z rouxii helped to improve the organoleptic quaity of traditional kanjang. The optimal condition for preparing traditional kanjang was to use 5L of 15.5% saline solution per meju. Meju must be cut into 12 pieces to get a proper total nitrogen and pure extract content. The optimal fermentatin temperature was 3$0^{\circ}C$. The prepared kanjang contained over 0.8% total nitrogen and 6.0% pure extract after 60 days of fermentation.

  • PDF

과열증기와 초고압 처리법을 적용한 간장 소스의 냉장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Soy Sauce Treated with Superheated Steam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during Cold Storage)

  • 최윤;오지혜;배인영;조은경;권대중;박혜원;윤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7-39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식에서 활용도가 높은 간장 소스를 생산할 때 새로운 가공 기술인 과열증기와 초고압 기술을 적용해보고, 저장기간 동안($5^{\circ}C$, 30일) 그 품질의 변화를 비교 하였다. 소스 제조에 앞서 사과, 양파, 마늘을 과열증기로 전처리하였으며, 그 결과 저장기간(0,7일)동안 PPO의 활성이 억제되고 색과 BP의 변화가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고, 관능적으로 색, 향, 맛,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과열증기로 전처리한 재료를 첨가하여 간장소스를 제조하였고 열 또는 초고압을 이용하여 살균처리 하였다. 저장기간(0,7,14,30일) 동안 소스의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 살균방법에 따라 염도, 당도, pH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색도 측정 시 과열증기로 전처리하지 않은 재료를 첨가한 간장 소스에 비해 과열증기로 전처리한 재료를 첨가한 간장 소스에서 L값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살균 방법에 따라서는 초고압 처리한 경우 L값이 높게 유지되었다. 일반 세균은 열 또는 초고압 살균 시 저장기간 동안 4 log CFU/g 이하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대장균 과 B. cereus는 모든 군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소스의 점도는 열 또는 초고압 살균한 군에서 저장기간 동안 유지되었으며, 살균하지 않은 군은 점차 감소하였다. 간장 소스를 이용하여 만든 불고기의 관능검사 결과, 과열증기 전처리와 초고압 살균을 병행한 군에서 색, 향, 전체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짠 맛과 단 맛은 처리방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사과, 양파, 마늘을 과열증기로 전처리한 후 간장 소스를 제조하고, 소스 살균을 위해 비가열 살균 방법인 초고압으로 처리했을 때 냉장 저장 중 품질 특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냉장 유통 간장 소스 제조 시 품질이 유지되고 관능적으로 우수하며, 위생적으로 안전한 소스를 생산하기 위해 과열증기와 초고압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간장과 어육장의 색도 및 갈색색소 패턴 (Chromaticity and Brown Pigment Patterns of Soy Sauce and UHYUKJANG,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 Sauce)

  • 김지상;문갑순;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642-649
    • /
    • 2006
  • 본 연구는 전통적 방법으로 간장 및 어육장을 제조하고 담근 용기는 투명유리 용기를 사용하여 숙성온도(4$^{\circ}C$, 20$^{\circ}C$)와 숙성 기간(360일)에 따라 색도 및 갈색색소의 패턴을 측정하여 간장과 어육장의 색소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pH는 숙성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났고 간장 5.52${\sim}$6.26, 어육장 5.11${\sim}$6.13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20$^{\circ}C$에서 어육장은 숙성기간에 따른 pH의 현저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42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시료 종류와 숙성 온도에 상관없이 숙성 기간 180일까지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가장 높은 흡광도는 간장 4$^{\circ}C$(240일), 어육장 20$^{\circ}C$(360일), 간장 20$^{\circ}C$와 어육장 4$^{\circ}C$의 경우 숙성 180일에 나타났다. 흡광도 400/500 nm에 대한 흡광 비율은 간장 4$^{\circ}C$(1.37${\sim}$5.29), 간장 20$^{\circ}C$(1.37${\sim}$5.02), 어육장 4$^{\circ}C$(1.37${\sim}$5.02), 어육장 20$^{\circ}C$(1.37${\sim}$4.32)의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숙성 기간 증가에 따라 간장의 경우 비율이 일정하지 않았으나 어육장 20$^{\circ}C$는 300일까지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계 측정 결과 L값은 간장의 경우 숙성 기간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4$^{\circ}C$(240일), 20$^{\circ}C$(180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이후 숙성기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어육장의 경우 4$^{\circ}C$(60일), 20$^{\circ}C$(360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숙성 기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a값은 어육장 20$^{\circ}C$를 제외한 간장에서 숙성기간 120일까지 녹색도가 커졌으며, 특히 간장 20$^{\circ}C$, 어육장 4$^{\circ}C$는 120일 이후 녹색도가 작아지는 경향으로 모든 시료에서 음의 값이 나타나 적색보다는 녹색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b값은 간장 20$^{\circ}C$과 어육장 4$^{\circ}C$는 180일까지 증가하였으나 숙성 기간에 따른 b값은 뚜렷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UV-VIS Spectra를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가 숙성기간에 상관없이 220${\sim}$320 nm 부근에서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내었다. 간장 4$^{\circ}C$(240일), 20$^{\circ}C$(180일), 어육장 4$^{\circ}C$와 20$^{\circ}C$는 360일에서 가장 높은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내었으며 220${\sim}$320 nm에서 완만한 peak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model melanoidin의 특성은 간장 4$^{\circ}C$(240일), 20$^{\circ}C$(120${\sim}$300일), 어육장 4$^{\circ}C$(360일), 20$^{\circ}C$(240일)에서 나타나 어육장이 간장보다 melanoidin 형성 기간이 길며, 어육장 20$^{\circ}C$에 경우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melanoidin 색소 특유의 패턴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Maillard 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유도체(2.4-DNPH)와 3DG 함량을 측정한 결과 유도체(2.4-DNPH) 함량범위는 간장 4$^{\circ}C$(0${\sim}$14.36 mg), 20$^{\circ}C$(0${\sim}$11.76 mg), 어육장 4$^{\circ}C$(0${\sim}$12.48mg), 20$^{\circ}C$(0${\sim}$8.56 mg)으로 나타났으며 3DG 함량범위는 간장 4$^{\circ}C$(0${\sim}$5.65 mg%), 20$^{\circ}C$(0${\sim}$5.34 mg%), 어육장 4$^{\circ}C$(0${\sim}$3.74 mg%), 20$^{\circ}C$(0${\sim}$3.01 mg%)으로 어육장보다는 간장의 3DG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어육장의 갈색 색소 형성이 간장의 갈색색소 형성과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omparative Study on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Traditional Chinese-type Soy Sauces Prepared with Soybean and Defatted Soy Meal

  • Gao, Xian-Li;Zhao, Hai-Feng;Zhao, Mou-Ming;Cui, Chun;Ren, Jiao-Y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447-1458
    • /
    • 2009
  • Volatile extracts obtained from traditional Chinese-type soy sauces prepared with soybean (SSSB) and defatted soy meal (SSDSM)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and direct solvent extraction (DSE)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and relative contents of different chemical classes detected in SSSB and SSDSM were compared for their differences.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constituent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and relative contents of different chemical classes were observed for both kinds of soy sauces. A total of 152 and 131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SSSB and SSDSM, respectively, and 102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common in both kinds of soy sauces. Moreover, relative contents of acids, aldehydes, esters, furan(one)s, miscellaneous compounds, phenols, pyrazines, pyrrol(idinon)es, and sulfur-containing compounds in both kinds of soy sauces were all significantly different.

한국산 전통 간장과 된장의 숙성중 aflatoxin의 변화와 그 특징-제1보. 경쟁 미생물(Bacillus subtilis)이 Aspergillu parasiticus의 성장과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of Aflatoxins During the Ripening of Korean Soy Paste and Soy Sau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Part 1. Effect of Bacillus subtilis on the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of Aspergillu parasiticus)

  • 김종규;노우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3-317
    • /
    • 1998
  • 본 연구는 한국 전통 된장과 간장 및 메주등에서 주된 상재균으로 나타나는 B. subtilli가 Aspergillus parasicus의 성장과 발암물질(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변형 APT 배지를 사용하여 $30^{\circ}C$에서 12일 동안 B. subtilis KCCM 11316과 Aspergillu parasiticus ATCC 15517를 단독 배양(대조군) 및 혼합 배양하고 그 성장과 배양물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관찰하였으며 HPLC에 의하여 aflatoxin을 분석하였다. 혼합 배양시에는 곰팡이의 건조 균체량이 배양 직후로부터 배양 말기에 이르기까지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며, 배양 말기에 단독 배양시보다 85.3% 감소되었다(p<0.01). Aflatoxin의 생성량도 배양 말기에 대조군에 비하여 50%이상 감소되었다(p<0.05). 이로부터 Bacillus subtilis는 메주 및 간장과 된장에 있어서 유해 곰팡이의 생육과 aflatoxin 생성을 주도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flatoxin 생성에 대한 억제 효과는 곰팡이의 성장에 대한 억제 효과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메주 중에는 다른 발효 관련 세균들이 함께 존재하는 바, 이들에 의한 억제적 영향도 기대된다.

  • PDF

한국형 건강편의식 개발을 위한 두부조림의 Cook/Chill 생산 및 포장방법에 따른 품질 평가 (Quality Assessment of Cook/chilled Soy Sauce Glazed Soybean Curd Packaged with Different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 곽동경;손시내;윤선;박혜원;류경;홍완수;장혜자;문혜경;최정화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9-11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qualities of cook/chilled soy sauce-glazed soybean curd with various packaging conditions as a trial to develop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The effects of three packaging methods, linear low density-polyethylene (LLD-PE), top sealing, and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MAP) on the shelf-life of HACCP-based cook/chilled soy sauce-glazed soybean curd were evaluated during 20 days of chilled storage in terms of time-temperature, microbiological (total aerobic plate count, psychrotrophic plate count, coliform, and fecal coliform count), chemical(pH and peroxide value(POV)), and sensory evaluation. The results of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analyses were within the limits of the microbial and chemical standards for all phases after cook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microbial counts of the samples for all three packaging methods. However,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the top sealing and MAP methods showed a longer shelf-life than LLD-PE packaging. Recommended shelf-life of the product was 12 days for LLD-PE packaging, and 16 days for both top sealing and MAP. In conclusion, MAP was considered as the most effective packaging method for assuring microbial and sensory quality of this cook/chilled product.

  • PDF

굴 조미 젓갈 제품의 숙성 중 품질 변화에 관한 연구 (The Processing of Seasoned and Fermented Oyster and Its Qulaity Changes during the Fermentation)

  • 이헌옥;이성갑;이성;김동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81-87
    • /
    • 2001
  • 굴을 대상으로 조미 양념 젓갈(salt-fermented oyster)과 전통적인 게장의 제조법을 이용한 젓갈 제품(oyster in soy sauce)으로 새로운 형태의 젓갈을 제조하여 각각 진공 및 무진공 상태로 저장하면서 숙성 형태별 숙성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를 살펴 보았다. 굴 젓갈에 있어서 pH는 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했으나, 아미노태 질소(AN)와 휘발성 염기 질소(VBN)는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함량에 있어서는 AN의 경우 진공 숙성시에, VBN은 무진공 숙성시에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균수는 어느 정도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경향은 비슷하나 진공 숙성에 비해 무진공 숙성시에 더 현저하였다. 총 구성 아미노산에 있어서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진공의 경우 함량이 증가했거나 감소한 경우라도 무진공 숙성시에 비해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무진공 숙성시보다 진공 숙성시 숙성이 지연되는 것으로 보여지며, 숙성 지연으로 인한 젓갈의 품질 유지 기간의 연장에도 진공 숙성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다.

  • PDF

포장마차 음식의 위생 실태 조사연구 (A Survey on the Sanitary Condition of Foods and Water of Street Food Carts)

  • 김종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07-114
    • /
    • 2001
  • The number of covered carts selling snack foods along the streets are increasing in Korea and people enjoy eating foods at these carts.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reports on the contamination or sanitary condition of the food car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anitary condition of food and water at the street food carts in the eight major areas of a city. Water and several kinds of food, kimbop(laver rollers) ddeokbokki(stir fried rice cake in hot pepper paste) oemuk(fish cakes) fish cake soup, and soy sauce were collected from four street carts from each of the 8 areas from June to August in 2001 The standard plate counts(SPCs) and coliform group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Food Code of Korea. The nufitness rates of SPCs of the samples were 0~15.6%: 15.6% in kimbop:6.3% in fish cake soup; and 3.1% in water samples SPCs were not detected in some samples. of ddeokbokki, oemuk and soy sauce. The unfitness rates of coliform groups were 0~62.5%; 46.9% in kimbop; 6.3% in ddeokbokki,;22.9% in oemuk 62.5% in fish cake soup; and 3.1% in soy sauce. Coliform groups were not detected in water sample The numbers and unfitness rates of SPCs and coliform groups showed increasing tendencies over time within a day. The higher the air temperature was the more increase of bacteriological growth was observ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vel of bacteriological contamination of foods and water in the street carts should be monitored and strict inspection is necessary. There should be legal consequences for serving contaminated food to the public.

  • PDF

내염성 적색효모에 관한 연구 (제 1 보) Sporobolomyces 속의 분리 및 동정 (Studies on the Osmophilic Red Color Yeast (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porobolomyces sp.)

  • 이택수;유주현;주영하;오마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6-29
    • /
    • 1970
  • 고추장의 영양강화와 색도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발효기 및 후속기의 간장덧으로부터 적색효모인 Sporobolomyces 속 4주를 분리동정 하고 내염성및 향기의 생성을 실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분리된 4주의 효모를 동정한 결과 L1과 L4는 Sporobolomyces gracilis 형, L2와 L3은 Sporobolomyces roseus 형으로 각각 동정되었다. (2) 분리효모의 모두가 식엽 $0{\sim}10%$ 함유배지에서는 잘 생육하였으나 $15{\sim}18%$에서는 생육이 거의 억제되었고 L2와 L3의 균주는 L1과 L4의 균주에 비하여 내염성이 다소 강하였다. (3) 분리효모중 내염성 색소와 향기의 생성 등에 있어서 L3균주가 가장 우량한 효모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