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wing rates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4초

남부지방세서 파종량과 파종방법이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wing Amounts and Treatments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in 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 in Southern Part of Korea)

  • 권병선;김상곤;박희진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0년도 제7차 국제 심포지움(생약자원개발에 관한연구) 및 추계정기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46-52
    • /
    • 2000
  • 남부지방에 적합한 형개의 파종방법과 파종량을 구명하고자 시험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량구성 형질에서 경장, 절수 및 수수는 10$\ell$$1.5\ell$의 소식 파종구보다 3.5$\ell$의 최다 밀식 파종구에서 길고 많았으며 분지수, 수장, 직경의 형질은 이와는 반대의 경향으로 $1.5\ell$의 소식 파종구보다 3.5$\ell$의 최다 밀식구에서 적고 짧았으며 가늘어졌었다. 2. 생경수량은 10a당 $1.5\ell$의 소식 파종구보다 3.5$\ell$의 최다 밀식 파종구에서 조파, 산파 모두 수량성이 높았다. 3. 건경수량은 조파구에서는 10a당 2.5$\ell$ 파종구에서, 산파구에서는 3.5$\ell$의 파종구에서 수량성이 높았다.

  • PDF

파종 전 저온, $GA_3$ 및 광 처리가 시호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Pretreatment with Chilling, $GA_3$ and Light on Bupleurum falcatum Germination)

  • 강진호;김동일;류옥경;김은실;김영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84-391
    • /
    • 1997
  • 산형과 약용작물인 시호의 재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의 하나는 발아 불량에 의한 입묘 실패라할 수 있다. 따라서 파종 전 종자에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입묘율을 증진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재래시호와 최근에 육성된 장수시호를 공시하여 치상 전의 $GA_3$ 처리 [0(물), 0.01, 0.1mM (농도) : 2, 4, 8일 (기간)] 또는 저온처리기간 (0, 4, 8주)에 가하여지는 광질처리 (적색광, 백색광, 암)가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요인별 평균 발아율은 공시품종, GA$_3$ 침지기간 또는 광질처리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던 반면, 물과 $GA_3$ 처리 또는 $GA_3$ 처리농도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2. 물로 침지하면서 광질처리를 가할 경우 평균발아율은 장수시호보다 재래시호에서 높았고, 2~4일간 침지하거나 침지과정 중 적색광을 처리할 경우 발아가 향상ㆍ촉진되는 경향을 보였다. 3. 공시품종별 발아율에서 재래시호는 광질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2일간 물로 침지하면서 광질처리를 가할 경우 발아율이 가장 높았던 반면, 장수시호는 4일간 침지하면서 적색광을 가할 경우 가장 높았다. 4. 치상 전 저온처리를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광질처리를 할 경우 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며 발아과정에서는 암상태보다는 백색광에서 발아율이 향상되었다. 5. 저온처리를 가하지 않은 경우 평균 발아율은 광질처리간 차이가 없고, 장수시호보다는 재래시호에서 높다고 할지라도 장수시호는 2일간 물에 침지시킨 후 발아과정에서 빛이 있어야 발아율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 PDF

Effect of Different Seeding Rates on Seed Productivity of the "Kowinearly" Cultivar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n Paddy Field

  • Kim, Ki-Yong;Choi, Gi Jun;Lee, Sang-Hoon;Hwang, Tae-Young;Lee, Gi-Won;Ji, Hee Chung;Park, Sung Mi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40-343
    • /
    • 2016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seeding rat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productivity of the "Kowinearly" cultivar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n paddy fields. Sowing Kowinearly in paddy fields under growing rice at the rates of 20, 30, 40, and 50 kg/ha resulted in seed yields of 1.57, 1.92, 2.06, and 2.09 ton/ha, respectively. Seed yield of Kowinearly was the highest at a seeding rate of 50 kg/ha (p<0.05), at which the cultivar was able to survive in winter and the weed ratio was low. Under these conditions, most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winter survival (85%), weed ratio (10%), stems per square meter (1,006) were superior than those sown at other seeding rates (p<0.05). In addi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50 kg/ha seeding rat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eeding rates.

보리 파종기에 따른 유효분벽의 양상과 수량 (Effective Tillering Pattern and Grain Yield on Different Seeding Dates in Barley)

  • 신만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60-472
    • /
    • 1995
  • 보리의 안전생산기술 체계개선을 위하여 파종기의 조만에 따른 분엽별 생태적인 변화, 유효경 비율, 분엽경별 수량 구성요소와 기여도에 관하여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간장은 파종기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분엽차위별 차이는 있었고 주관엽수는 조파구 13.2, 적파구 12.5, 만파구 11. 1매로 조파나 적파구는 만파구보다 1.4~2.1매가 많았다. 2. 유효경발생율은 주간을 제외하고는 조파구 > 적파구 > 만파구의 순으로 파종기가 빠를수록 2, 3차분엽에서 높았다. 유효경 발생율이 100%인 엽자로는 1차분엽중 조파구 1, 2, 적파구와 만파구는 1이었으며 어느 분엽절위에서나 동일모경의 동차위분엽은 자엽소 및 전엽분벽보다 다음 절에서 발생한 분벽, 동지분벽중에는 11, 동신분벽중에는 주간엽위의 하위절분벽이 강대경으로 유효경율이 높았다. 3. 주당 유효경수는 조파구 > 적파구 > 만파구의 순위이나 유효수수는 조파보다 적파구가 많았다. 4. 1수위수는 분벽의 발생시기가 빠른 주간 기부의 저위, 저차위분벽에서 많았고 입수도 유효경발생율과 같이 자엽소나 전엽분벽보다 상위1절의 분벽, 동지분벽중 11, 동신분벽중 주간절위가 저위의 저차위분벽이 강세를 보였다. 5. 포괄적인 유효수의 간입중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무거웠으나 동신엽, 동신분벽간의 간입중 차이는 일양성이 없었다. 6. 1종 자실중도 자엽소 및 전엽분벽보다 다음 상위1절의 분벽경에서 무거웠고 동지분벽중에는 11이 최대이었으며 동신분벽중에는 주간절위에서 저위, 저차분벽이 고위, 고차분벽보다 우세하였다. 7. 분벽의 수량기여도 상위10위까지의 벽자에 있어 전체평균기여도는 1, 2, 0, 11, 3, C, 21, C1, 12, 1P의 순이었으나 파종기의 이동에 따라 다소의 순위의 차가 있었다. 분벽경의 자실중은 $\ulcorner$전생우세$\lrcorner$의 대원칙하에서 다소의 차이를 보였으나 자엽소 및 전엽분벽보다 다음 상위1절의 분벽 즉 $\ulcorner$후생우세$\lrcorner$의 현상을 보여 이른바 가령현상을 나타냈다.

  • PDF

수도작(水稻作) 기계화(機械化)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육묘시기(育苗時期), 파종밀도(播種密度) 및 비료용량(肥料用量)이 수도상자묘(水稻箱子苗)의 성장(成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Mechanization of Rice Culture. Effect of Date and Rate of Seeding and Fertilization on the Growth of Rice Seedling)

  • 안수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68-76
    • /
    • 1984
  • 수도상자육묘(水稻箱子育苗)에 있어서 이상적(理想的)인 치묘(稚苗)와 중묘(中苗) 그리고 성묘(成苗)의 육성(育成)에 알맞은 재배조건(栽培條件)을 구명(究明)하고져 파종밀도(播種密度)와 비료용량(肥料用量), 육묘(育苗)의 시기(時期)와 일수(日數)의 영향(影響)을 분석(分析)한바, 파종량(播種量)은 적을수록, 시비량(施肥量)은 많을수록, 만파(晩播)일수록, 육묘기간(育苗期間)이 연장(延長)될수록 초장(草長), 엽수(葉數) 및 건물중(乾物重)은 증대(增大)하였는데 그 영향(影響)은 파종기(播種期)>육묘일수(育苗日數)>파종밀도(播種密度)>시비량(施肥量)의 순(順)으로 컸으며 조기파종시(早期播種時)에는 상자당(箱子當) 200g의 파종량(播種量)과 4g까지의 시비량하(施肥量下)에서 알맞은 치묘육성(稚苗育成)이 가능(可能)하였고 적당(適當)한 중묘(中苗)는 25일간(日間)의 육묘시(育苗時)에는 50g의 박파(薄播)에서, 그리고 35일묘(日苗)에서는 100~125g 범위(範圍)의 파종밀도하(播種密度下)에서 육성가능(育成可能)하나 45일묘(日苗)는 지나치게 웃자라 기계이앙용(機械移秧用)으로는 부적당(不適當)하였다. 만파시(晩播時)에도 같은 경향(傾向)이나 처리간차이(處理間差異)가 확대(擴大)되었으며 치묘(稚苗)는 상자당(箱子當) 100g 이하(以下)의 박파조건(薄播條件)에서 육성가능(育成可能)하였고 100내지(乃至) 150g의 파종밀도(播種密度)에 25일간(日間) 육묘(育苗)하므로서 알맞은 중묘(中苗)를 얻을 수 있었으나 35일(日) 이상(以上) 육묘일수(育苗日數)를 연장(延長)하면 지나치게 생장(生長)하거나 도장(徒長)하였고 성묘비율(成苗比率)도 현저(顯著)히 저하(低下)하였다.

  • PDF

보리 재배양식에 따른 유효분얼의 양상과 수량 (Effective Tillering Pattern and Grain Yield on Different Sowing Method in Barley)

  • 신만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48-555
    • /
    • 1995
  • 보리의 재배양식을 협폭파, 드릴파, 휴립광산파의 3양식으로 하여 이들 재배양식별 유효분얼의 생태반응과 수량성에 대하여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아율은 드릴파 > 협폭파 > 휴립광산파의 순위였으나 m$^2$당 입모본수는 휴립광산파가 334본/m 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협폭파, 드릴파의 순이었다. 2. 유효개화한 분얼은 3재배양식 모두 주간, 1차분얼의 1, 2 이고 2차분얼의 11은 휴립광산파에서만 유효경화하였다. 얼자별 유효경율은 주간은 3처리 모두 100%이나 1차분얼의 1과 2는 드릴파 > 휴립광산파 > 협폭파의 순으로 많았다. 3. 평균1수 영화수는 드릴파가 39.5립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휴립광산파, 협폭파의 순이었고 얼자별로는 주간 > 1 > 2 > 11이었다. 1수 임실율은 드릴파 > 휴립광산파 > 협폭파의 순으로 높았다. 4. 평균1수임실립수는 드릴파 > 휴립광산파 > 협폭파의 순이었고 평균 1수 완성립수도 같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천립중은 재배양식 또는 분얼경간에 크게 차이가 없었다. 5. 1수당 자실량은 드릴파가 가장 무거웠고 다음으로 휴립광산파, 협폭파의 순이었으며 분얼시험의 m 당 자실량은 협폭파 679.8g에 비하여 드릴파 874.7g, 휴립광산파 794.3g로 각각 29%와 17%가 증수되었다. 6. 실제평예조사시험의 유효경율은 46.2~54.1%로, 드릴파재배구가 가장 높았고 협폭파재배구에서 가장 낮았다. 7. 평예조사자실중은 협폭파 567.6kg에 비하여 드릴파 31%, 휴립광산파 15%가 각각 증수하였다.

  • PDF

Effects of Seeding Rates and Phosphorus Levels on the Productivity of Atylosia scarabeoides (Benth.)

  • Iji, P.A.;Kolawole, O.A.;Bawa, G.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2호
    • /
    • pp.196-200
    • /
    • 1997
  • Glasshouse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yield of Atylosia scarabeoides on soils of the northern guinea savanah zone of Nigeria. Seeds were sown at four rates 50, 75, 100 and 125 kg/ha. Single superphosphate (SSP) fertilizer was applied at sowing at four rates 0, 60, 90 and 120 kg/ha. Seeding (plant) population at one month and at harvest was significantly (p < 0.01) influenced by seeding rate but not fertilizer level. Fresh herbage yield was strongly (p < 0.01) dependent on fertilizer level, with the highest (not significant) dry matter yield at 90 kg SSP/ha. Seeding rate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herbage yield.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herbage rose with increase in fertilizer level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various seeding and phosphorus rates. No significant interactions were observed between seeding rate and phosphorus lever. The yields were generally high, indicating good prospects for pasture development with A. scarabeoides in the zone, although field trials would be of benefit.

Effect of Peanut Seed Orientation on Germination, Seedling Biomass, and Morphology in an Oak Tree Sawdust Cultivation System

  • Ahn, Junsik;Song, Ilchan;Kim, Dongjae;Lee, Joon Chul;Moon, Sungkwon;Myoung, Sooncheol;Ko, Kis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4호
    • /
    • pp.402-409
    • /
    • 2017
  • We performed seed germination tes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ed sowing orientation on germination viability on peanut (Arachis hypogaea L.) sprouts. Specifically, we assessed the influence of seed sowing orientation on germination rate, seedling weight, and seedling length, as well as the seedling vigor index. The seeds were sown in oak tree sawdust at 3.0 cm depth. Four seed orientations were tested: vertical with the hypocotyl end down, vertical with the hypocotyl end up, horizontal with the hypocotyl end down, and horizontal with the hypocotyl end up. The mean seed germination percentages of the four seed orienta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1) and ranged from 25 to 91.7%. The vertical orientation with hypocotyl-end-down and hypocotyl-end-up orientations showed the highest (91.7%) and lowest (25%) germination rates, respectively. The vertical orientation with the hypocotyl end down produced the heaviest (4.9 g) seedlings and the longest hypocotyls (4.65 cm). This orientation also produced the longest true leaf + epycotyl (2.15 cm) and had the highest seedling vigor index (197.1). The seedlings had a straight growth pattern, whereas seedlings from seeds sown with the hypocotyl up had an awkward plumular hook shape. Taken together, to produce peanut sprouts, we recommend placing the seeds vertically with the hypocotyl end down because this orientation leads to a high germination rate, high biomass production, and high overall seedling quality.

Nitrogen Translocation and Dry Matter Accumulation of Direct Seeded Rice in No Tillage Rice-Vetch Cropping

  • Cho, Young-Son;Lee, Byung-Jin;Choe, Zhin-R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4-48
    • /
    • 1999
  • Uptake, assimilation and translocation of nitrogen and dry matter assimilation and translocation in ten rice cultivars were observed in no-till direct-sown rice-vetch cropping system. There was a large degree of variation in N-uptake, grain yield, nitrogen translocation efficiency and dry matter assimilation and translocation in tested rice cultivars. Forty kg N/ha base, as compound fertilizer (21-17-21% of N-P-K) three weeks after sowing and 30 kg N/ha top-dressed at panicle initiation stage as in the form of (NH$_4$)$_2$$CO_2$ was applied. ‘Newbounet’, ‘Daesanbyeo’, and ‘Hwayeongbyeo’ showed higher translocation efficiency. The contribution of pre-heading dry matter assimilates to grain ranged from 33% to 99% of dry grain weight. Dry matter of ‘Calrose 76’ was lower than Newbounet but N content was higher in Calrose 76 than Newbonnet. By maturity, N content in vegetative parts declined considerably more than dry matter, vegetative and reproductive parts, N translocation efficiency, and N harvest index. Nitrogen translocation efficiency was greater in ‘Nonganbyeo’, Daesanbyeo, and Newbounet. Grain N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 concentration or N content of the vegetative parts at heading in Nonganbyeo, ‘Dasanbyeo’, ‘Dongjinbyeo’, and Newbonne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eater amount of dry matter and N accumulated before heading stage, the higher translocation rates of dry matter to grain and the greater net losses at maturity.

  • PDF

박과 종자용 진공노즐식 파종기 개발(I) 대립종자의 진공파종을 위한 요인구명 - (Development of Vacuum Nozzle Seeder for Cucuribitaceous Seeds(I) - Design factors for vacuum seeding large sized seeds -)

  • 김동억;장유섭;김승희;이공인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8권6호
    • /
    • pp.525-530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vacuum nozzle seeder for the automation of large seeds sowing of fruit vegetables and rootstocks. Moreover, the seeding efficiency was examined to find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 considering high precision seeding. The important operating factors for high seeding rate were typically nozzle diameter and absorbing vacuum pressure. The optimum nozzle diameters were found 1.5, 1.5 and 2.0 mm for Chambak, Tuktozwa and Hukjong while the optimum vacuum pressures were 8.0㎪, 10.6㎪ and 5.3㎪, respectively. Under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ximum seeding rates were 97.6%, 98.8% and 97.6% respectively for Chambak Tuktozwa and Hukjong. The vibrating acceleration of the hopper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eeding rate when the vacuum pressure reached 8.0㎪ and the sowing rate became higher with lighter seed. As the seed became heavier, the larger diameter of nozzle was recommended 1.5mm of the nozzle diameter was found to be applied for the experimental seeds. The vacuum pressure was also found 8.0㎪ - 13.3㎪ at tha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