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wing method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7초

뚝새풀을 이용(利用)한 사과원 초생재배(草生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Sod Culture Using Water Foxtail (Alopecurus aegualis var. amurensis) in Apple Orchard)

  • 정재식;이재석;최충돈;정종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8-135
    • /
    • 1998
  • 뚝새풀의 초생재배(草生栽培)에 의한 사과원 잡초(雜草) 방제(防除)의 실용화(實用化)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고자 뚝새풀 발생(發生) 생태(生態)에 관한 몇 가지 시험(試驗)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뚝새풀 종자(種子)의 파종(播種) 시기별(時期別)출아(出芽) 소요일수(所要日數)는 9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이 일(日)로 가장 짧았고, 11월(月) 25일(日) 파종(播種)에서 111일(日)이 소요(所要)되어 가장 길었으며, 출아(出芽) 소요(所要) 적산온도(積算溫度)는 3월(月) 15일(日) 파종(播種)이 $139^{\circ}C$로 가장 적었고, 8월(月) 10일(日) 파종(播種)에서는 $988^{\circ}C$로 가장 많이 소요(所要)되었다. 2 사과원에서의 뚝새풀 생육양상(生育樣相)은 3월(月)부터 8월(月) 사이에 S자형(字型)의 생장곡선(生長曲線)을 나타내었고, 초장(長草)과 건물중(乾物重)이 3월(月) 중순(中旬)에서 4월(月) 중순(中旬)사이에 가장 많이 증가(增加)하였으며 5월(月) 중순(中旬) 이후(以後)로는 증가율(增加率)이 거의 정체(停滯)되었다. 3. 뚝새풀을 초생재배(草生栽培)한 사과원에서 뚝새풀을 제외(除外)한 초종(草種)으로는 발생량(發生量)이 망초>왕고들빼기>냉이>꽃다지 순(順)이었고, 뚝새풀의 발생(發生)이 거의 없는 포장(圃場)에서는 냉이가 가장 많이 발생(發生)하였고 왕고들빼기>망초>꽃다지 순(順)으로 발생(發生)되었다. 4. 뚝새풀의 생육(生育) 재생기(再生期)인 3월(月) 중순(中旬)에 뚝새풀의 우점도(優點度)가 90%정도(程度)가 되면 생육(生育) 후기(後期)까지 문제(問題) 잡초(草種)인 망초 왕고들빼기 냉이 등(等)을 효과적(效果的)으로 방제(防除)할 수 있었으나 생육(生育) 재생기(再生期)에 우점도(優點度)가 20%미만(未滿)이면 뚝새풀의 생육(生育) 성기(盛期)인 5월(月) 까지는 다른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경감(輕減)되었으나 이후(以後)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사과원에서의 뚝새풀 초생재배(草生栽培)는 다른 잡초(雜草)들의 발생(發生)을 억제(抑制)시켜 잡초방제(雜草防除)의 성력화(省力化)와 하절기(夏節期)의 과다(過多)한 지온상승(地溫上昇)을 방지(防止)하여 과수(果樹)의 생육(生育)을 양호(良好)하게 할 것으로 기대(期待)된다.

  • PDF

친환경 쌀 생산을 위한 포트육묘 이앙의 경제성 분석 (Economic Analysis of Rice Transplanting Method using Pot Raised Seedling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 신용규;최인영;권영립;문영훈;최동칠;이왕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56-462
    • /
    • 2012
  • 친환경 식품이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으면서 농업의 목표가 생산성 유지 및 향상과 환경의 질을 보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환경친화적 농업(environmentally sound agriculture)이 강조되면서 친환경쌀 생산단지에서 공동으로 이용하고 있는 포트육묘 재배가 농가관행 산파육묘 재배에 비해 얼마나 효율적인지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포트육묘 이앙은 관행이앙 방법에 비해 이앙모판, 파종 및 이앙기 등의 가격이 245% 높았다. 따라서 감가상각비 역시 관행농법에 비해 포트육묘 이앙에서 1.9배 높았다. 2. 10a 당 투입된 노동시간, 노동력 및 비용은 포트육묘 이앙재배에서 각각 13%, 4% 높았다. 그러나 이앙 및 재배에 투입되는 농자재는 종자 및 상토비를 각각 44.0%와 49.2%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관행농법 대비 4.4% 낮았다. 3. 또한, 포트육묘 이앙재배는 관행 산파육묘 이앙재배에 비해 수량증수에 의한 조수입의 증가(6.7%)와 이앙 후 초기 활착이 빠르고, 성묘이앙으로 초기생육이 양호하여 잡초방제에 유리한 점은 친환경 벼 재배에 적합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4. 10a 당 육묘와 이앙단계에서의 경영비는 포트육묘 이앙재배에서 229.8% 높았으나 정부에서 80% 기기보조가 된 경우 관행 산파육묘 이앙재배 대비 경영비가 45.4% 절감되었다.

오크라 생산에 있어서 적정 적심방법 개발 (Development of Optimal Pruning Method on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Production)

  • 안율균;김천환;성기철;문두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8-61
    • /
    • 2011
  • 본 연구는 오크라의 적심기술을 확립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오크라의 적정 적심시기 및 적심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생육상황을 살펴보면 무처리구, 생장점을 제거하는 처리구 및 전체 식물체중 위로부터 식물체의 1/3을 제거하는 처리구를 비교해볼 때 식물체의 1/3을 제거하는 처리구가 l차, 2차 및 3차 처리시기에 관계없이 무처리구나 생장점 제거 처리구에 비해 생육이 좋았다. 측지수의 발생을 조사한 결과, 측지 수는 무처리구가 0.7개 였고, 생장점을 제거하는 처리구는 3.7~4.0개였고, 식물체의 1/3을 제거하는 처리구는 3.0~6.0개였다. 측지수가 가장 많은 처리구는 식물체의 1/3을 제거하는 처리구로 측지 수가 6.0개로 가장 많았다. 결과적으로 오크라 수확량이 가장 많은 처리구는 파종 후 2달 후 적심 처리 개시 30일 후에 식물체 위로부터 1/3 적심한 처리구로 수확량은 12,910kg이었다.

비탈면 녹화시 표층토내 잠재종자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Vegetation Restoration of Disturbed Slopes with Latency Seeds in the Forest Topsoil)

  • 김남춘;손원주;정성철;정지준;남상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0-39
    • /
    • 2004
  • This research is of the rapid industrialization taking place resulting in the destruction of forests. The method that is implemented needs the vegetation to work well with the topsoil in order to restore the environment. In November the researcher collected a depth of 5 cm of topsoil from a well developed forest, after the fallen leaves were cleared. The results of the essential research are as follows : In the case of using the forest topsoil to plant trees latency seeds, during the early stages of tree planting, time is necessary for the desired vegetation to reach a similar state to the vegetation being restored. The results conclude that the best possible affect is obtained through a method utilizing seeded species. Utilizing forest topsoil, slopes that have been too damaged for trees to be planted can be sown with seeds. In addition the rearing of naturally-emerging species had a tendency to decline. When considering rearing naturally-emerging species to flourish in the topsoil, in the early stages of tree planting, the beginning foundation of sowing seeded species has to have a standard of about 1,000parts/$m^2$ This standard has been found to the most successful.

계절예측 정보 기반 APEX-Paddy 모형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APEX-Paddy Model based on Seasonal Forecast)

  • 조재필;최순군;황세운;박지훈
    • 농촌계획
    • /
    • 제24권4호
    • /
    • pp.99-119
    • /
    • 2018
  • Unit load factor, which is used for the quantification of non-point pollution in watersheds, has the limitation that it does not reflect spatial characteristics of soil, topography and temporal change due to the interannual or seasonal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Therefore, we developed the method to estimate a watershed-scale non-point pollutant load using seasonal forecast data that forecast changes of precipitation up to 6 months from present time for watershed-scale water quality management. To establish a preemptive countermeasure against non-point pollution sources,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unstructured management plan which is possible over several months timescale. Notably,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 management methods such as control of sowing and irrigation timing, control of irrigation through water management, and control of fertilizer through fertilization management. In this study, APEX-Paddy model, which can consider the farming method in field scale, was appli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seasonal forecast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 rainfall amount during the growing season is an essential factor in the non-point pollution pollutant load. The APEX-Paddy model for quantifying non-point pollution according to various farming methods in paddy fields simulated similarly the annual variation tendency of TN and TP pollutant loads in rice paddies but showed a tendency to underestimate load quantitatively.

벼 재배양식에 따른 유효성 비료의 시용량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low-release Fertilizer Levels of Rice in Different Cultural Methods)

  • 정진일;최원영;최민규;이선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47-756
    • /
    • 1995
  • 본 시험은 호남영농시험장 수도포장인 미사질토양에서 만금벼를 공시하여 건답직파재배와 어린모기계이앙 재배에서 완효성 비료와 속효성 비료 시용시 재배유형별 적정시비량과 생육특성을 비교 검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완효성 비료시용은 시용 후 토양에 인산과 양이온 함량 및 C.E.O. 함량이 다량 잔존하였다. 2. 재배유형간 간장과 경수는 완효성 비료가 건답직파보다 어린모기계이앙재배에서 초기생육을 더욱 조장시켰고 같은 질소 시비량에 속효성 비료를 기비에 20% 추가 시용한 것이 재배유형 모두 우수하였다. 3. 건물중비율(출수기)은 어린모기계이앙이 건답직파보다 그리고 속효성 시료가 완효성 시료보다 높았으며 속효성 100% 또는 완효성 100% 시용보다는 완효성 80% + 속효성 20% 추가구가 건물 중비율이 높았다. 4. 엽면적지수(출수기)는 속건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보다 기계이앙재배가 높았으나 완효성비료에서는 건답직파가 높았으며, 비종별 엽록소함량은 완효성 비료가 속효성 비료보다 높게 함유하였으며 생육시간별로 보면 속효성 비료는 분얼기와 유수형성기에는 큰 차가 없었고 출수기에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출수이후에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완효성 비료는 속효성 비료와는 달리 분얼기에도 높았고 유수형성기에서 보다 많이 함유하였으며 출수이후 황열기까지 완만한 감소를 보였던 바 두 재배유형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5. 출수기는 건답직파가 기계이앙보다 2일 지연되었고 관행(속효성 100%이앙 어린모기계이앙)대비 완효성 비료는 어린모기계이앙에서는 2∼3일, 건답직파에서는 4∼5일이 지연되었고 간장은 속효성 비료에서는 기계이앙이, 완효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가 컸다. 6. m 당 수수는 건답직파에서 많았고, 완효성 비료에서 많았으며 등숙율은 기계이앙재배가 건답직파보다, 속효성 비료가 완효성 비료보다 높았다. 7. 수량은 실행(516kg/10a)대비 속효성 비료의 100%와 80% 수준에서는 건답직파가 101%와 100% 그리고 어린모기계이앙은 80% 시비에서 6% 감수되었으며, 완효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에서는 2∼4%, 기계이앙에서는 0∼3%의 증수를 보였다. 각 재배유형별 시비량간의 수량 순위는 기계이앙재배에서는 100% =80% + 20% > 100% + 20% > 80% 순이었고, 건답직파에서는 80% + 20% > 100% > 80% =100% + 20% 순으로 완효성 비료를 20% 감비시 속효성 비료 20% 추가구가 수량이 높았다.

  • PDF

Use of Unmanned Aerial Vehicle for Multi-temporal Monitoring of Soybean Vegetation Fraction

  • Yun, Hee Sup;Park, Soo Hyun;Kim, Hak-Jin;Lee, Wonsuk Daniel;Lee, Kyung Do;Hong, Suk Young;Jung, Gun Ho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1권2호
    • /
    • pp.126-137
    • /
    • 2016
  • Purpose: The overal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egetation fraction of soybeans, grown under different cropping conditions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equipped with a red, green, and blue (RGB) camera. Methods: Test plots were prepared based on different cropping treatments, i.e., soybean single-cropping, with and without herbicide application and soybean and barley-cover cropping, with and without herbicide application. The UAV flights were manually controlled using a remote flight controller on the ground, with 2.4 GHz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For image pre-processing, the acquired images were pre-treated and georeferenced using a fisheye distortion removal function, and ground control points were collected using Google Maps. Tarpaulin panels of different colors were used to calibrate the multi-temporal images by converting the RGB digital number values into the RGB reflectance spectrum, utilizing a linear regression method. Excess Green (ExG) vegetation indices for each of the test plots were compared with the M-statistic method in order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greenness of soybean fields under different cropping systems. Results: The reflectance calibration methods used in the study showed high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anging from 0.8 to 0.9, indicating the feasibility of a linear regression fitting method for monitoring multi-temporal RGB images of soybean fields. As expected, the ExG vegetation indices changed according to different soybean growth stages, showing clear differences among the test plots with different cropping treatments in the early season of < 60 days after sowing (DAS). With the M-statistic method, the test plots under different treatments could be discriminated in the early seasons of <41 DAS, showing a value of M > 1. Conclusion: Therefore, multi-temporal images obtained with an UAV and a RGB camera could be applied for quantifying overall vegetation fractions and crop growth status, and this information could contribute to determine proper treatments for the vegetation fraction.

시설재배지 토양중 잔류농약 경감을 위한 잎들깨 종자코팅제 선발 (Selection of coating materials to leafy perilla seed for reducing endosulfan residue in greenhouse soil)

  • 최주현;박현주;박병준;박경훈;김찬섭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76-280
    • /
    • 2007
  • 잎들깨 종자의 파종 밀도 조절을 위해 종자코팅 용도로 사용된 엔도설판 분제에 의한 시설재배지 토양중 endosulfan의 잔류량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종자코팅재료의 선발 및 이들이 미치는 발아영향을 조사하였다. 코팅재료는 talc, kaoline, 패화석등 석회류가 가능하였다. 코팅재료의 종자부착을 위한 접착제로는 식용유, 전착제, 알코올, 증류수 순이었으나 종자 발아영향은 반대경향을 나타냈다. 코팅재료별 종자부착성은 패화석, 생석회, 석회, talc, kaoline이 양호하였으나 토양과의 색깔 구별성은 패화석등 석회류에 비해 talc, kaoline이 좋았다. 선발 코팅제를 종자에 부착시 잎들깨의 발아율은 talc, kaoline이 양호하였고 토양과의 색깔 구별성도 양호하였다.

의복구성 교재에 나타난 타이트스커트 봉제 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wing Teaching of 'Tight Skirts' in Teaching Materials of Clothes Configuration)

  • 김선용;최영순
    • 복식
    • /
    • 제56권8호
    • /
    • pp.113-122
    • /
    • 2006
  • In this study, about forty teaching materials have been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ight skirt sewing methodtreated in basic process in a college and a fashion relate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study objects limited with a belt, back centered zipper, and back double slits on a tight skirt, and used fifteen suitable teaching materials in this study. The first study result appeared that every single teaching material suggested the different way of wick adhesion which is used in zipper slit, back slit, and belt part when the skit has been manufactured in order to do a form of clothes well. Secondly, it is the case of a back slit part used for the purpose of both functionality of action and decoration, and it is the section which varies a sewing and cutting way according to seam room width of a back middle seam. However, the majority of teaching materials appeared by being selecting the way how it had cut an inseam of the back center by the both upper part of back slit. Finally, the result showed that it mentioned mainly only both sided zipper sewing method if it seems to be easy to treat the majority in a basic process even though use of a console zipper Is general on a zipper sowing way recently for several years. Also, two forms are used in the belt manufacturing, and they are based with a waist line. However, the teaching materials that were used in this study presented only a manufacture way of the straight line on the waist belt.

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 소화맹낭의 계절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Digestive Diverticula in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 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9-30
    • /
    • 1991
  • 가리비, Patinopecten yesso두냔의 소화맹낭 및 그 상피세포의 지방에 대한 계절변동과 생식소 발달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본 북해도의 오호츠크해에 면한 망주만산 방류양식 개체를 1982년 9월부터 1984년 5월까지 월별로 채집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화맹낭의 지수는 $5{\~}6$월에 가장 높았으며, 12월 및 유빙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2. 소화맹낭의 조직단면적 1 $mm^{2}$당 세관수는 $9{\~}10$월에 최소치를 나타냈으나, 3월에 최다치를 보였다. 3. 생식소 지수(X)와 소화맹낭의 지방세관 비율(Y)은 $Y=145.6X^{-0793}$의 역지수함수적 관계를 나타냈다. 4. 소화맹낭의 지방은 생식소의 발달과 함께 생식소로 전이되는 계절변동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