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wing Date

Search Result 24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땅콩 종자의 $GA_3$ 및 IAA 침지처리가 개화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owing Seed Treatment with $GA_3$ and IAA on Flowering and Yield Components in Peanut)

  • 이효승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
    • /
    • 1990
  • 땅콩의 종실체내 Gibberellin 및 IAA를 처리 침투시켜 Hormone의 활성을 자극시키므로서 배자의 발육을 촉진시키고 호분층내에 있는 e-amylase의 분필기능을 촉진시켜 땅콩의 발아상태를 호전시키고 초기 개화수 확보에 의한 결협상태를 개선코자 온실에서 서둔땅콩을 공시하고 약제처리는 GA$_3$ 10, 50, 100ppm과 IAA 50, 100, 200ppm 용액에 24시간 침지후 파종하였으며 출현 및 개화 그리고 수량구성 요소를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출현요소 일수는 GA$_3$50ppm과 IAA 200ppm에서 모두 2일이 소요되었으며 무처리의 7일에 비하면 5일이 단축되었다. 2. 개화수를 보면 개화기까지는 GA$_3$ 및 IAA의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보다 11-17일이 단축되는 경향이 있으며 IAA 100ppm 처리의 경우 17일이 단축되었다. 3. 경시적 누적 개화수에서는 GA$_3$, IAA 처리 모두 개화후 30일까지 볼 때 초기 개화수가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특히 IAA 100ppm 처리시 64화에 비하면 무처리의 경우 21화에 불과하였다. 4. IAA 100ppm 처리구에서는 주경장, 분지장, 주경절수 등이 어느 처리 농도에서도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무처리 보다는 월등한 생육 차이를 보였다. 5. IAA 및 GA$_3$ 모두 100ppm 처리구에서 완숙입비율이 주당 협실중 및 중실중에서도 무처리에 비하여 각각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 PDF

당과작물의 생물에너지자원 이용가능성 (Feasibility in Utilization of Sugar Crops as Bio-energy Resources in Korea)

  • 박경배;이명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00-304
    • /
    • 1991
  • 외국으로부터 수집한 당과작물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여 생물에너지 자원으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1986~1988년에 걸쳐 경남 진주에서 실시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수수는 1988년 5월 20일 파종에서 공시품종들의 파종으로부터 출수까지의 일수는 70~l18일 이었다. 경의 당도는 6.0~l4.0%이었고, 생체중은 10a당 4~15t이었다. s-1은 재배기간 2회까지 예취가 가능하였다. 2. 사탕무는 수확까지 생엽을 유지하였고, 근중은 3.542~6,397kg/10a이었으며, 근의 당도는 9.2 ~ 19.8%이었다 3. 사방수수는 10월하순까지 생장을 계속하였고, 그 후는 생장이 정지되었다. 경의 당도는 13.2 ~ 16.1%이었다 4. 단수수의 파종기별 생육량은 조파할수록 많았고, 경의 당도도 높았다 5. 단수수의 착즙액으로 부터 alcohol 수득량은 10a당 186$\ell$까지 얻을 수 있었다.

  • PDF

파종기에 따른 Creeping Bentgrass 잔디초지의 식생변화 (Effect of Sowing Dates on Turf Vegetation of Creeping Bentgrass)

  • 조남기;강영길;송창길;조영일;박성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5-130
    • /
    • 2005
  • 제주지역에서 파종기 이동(3월 16일$\cdot$26일, 4 월 5일$\cdot$15일$\cdot$25일)에 따른 Creeping bentgrass 의 식생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 3월 16 일부터 7월 6일까지 시험하였다. 초장은 3월 16 일 파종에서 22.7cm 이였으나, 만파할수록 초장은 짧아져서 4월 25일 파종에서 초장은 16.6cm 였고, 근장 및 엽록소 측정치는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파종기가 3월 16일에서 4월 25일로 지연됨에 따라 엽중은 1,373kg에서 990kg/10a로, 근중은 2,374kg에서 1,919kg/10a로 감소되었다. 잔디의 피도와 밀도는 3월 16일 파종에서 각각 $98.0\%$, $99.3\%$로 높은 편이었으나,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낮아져서 4월 25일 파종에서 잔디의 피도는 $95.7\%$로, 밀도는 $98.7\%$로 낮아졌다. 잡초의 피도는 3월 16일 파종에서 $2.0\%$, 밀도는 $0.7\%$ 이였으나,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4월 25일 파종에서 피도와 밀도는 각각 $4.3\%$, $1.3\%$로 증가되었다. 침입잡초는 10.5종에서 16.0종으로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우점잡초의 변동은 3월 16일 파종에서 새포아풀, 별꽃, 명아주, 3월 26일 파종에서 새포아풀, 바랭이, 명아주, 4월 5일 파종에 바랭이, 명아주, 별꽃, 4월 15일 파종에서 바랭이, 별꽃, 명아주였고, 4월 25일 파종에서는 바랭이, 여뀌, 명아주 순위로 우점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제주지역에서는 3월 중$\cdot$하순에 조파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호밀의 사초특성,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파종량 및 파종기의 영향 (Seeding Rate and Planting Date Effects on Forage Performance and Quality of Winter Rye)

  • 박형수;김동암;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5-114
    • /
    • 1999
  • 본 시험은 파종량 및 파종시기가 추파 호밀(Secale cereale L.)의 사초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7년에서 1998년 4월 20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실험목장 사초 시험 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파종량으로서 ha 당 100, 150 및 200kg을 주구로 하고 파종시기로서 9월 5일, 9월 20일, 10월 5일 및 10월 20일 파종을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호밀의 출수 시작일은 파종기에 따라서 뚜렷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일 기준으로, 파종시기가 15일 지연됨에 따라 출수 시작일이 1일 지연되어짐으로서 호밀의 출수시작일과 파종시기간에는 1:15 비율이 나타났다. 호밀의 건물 함량은 파종량간에는 200 kg/ha 파종구에서 13.6%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파종시기간에는 각각 15.2, 14.2, 14.3 및 13.8%로 파종시기가 지연됨에 따라 건물 함량이 낮아졌으며 (P<0.05), 호밀의 건물 함량에 대하여 파종량과 파종시기간에는 고도의 교호작용(P<0.01)이 인정되었다. 호밀의 ADF 함량은 파종량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시기간에는 각각 32.2, 31.6, 31.6 및 29.3%로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함량이 낮아졌으며, 파종량과 파종시기간에는 교호작용이 인정되었다. 또한 NDF 함량도 ADF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조단백질(CP) 함량은 파종량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각각 17.3, 17.7, 18.2 및 18.9%로 증가하였다. In vitro 건물소화율(IVDMD)도 파종량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각각 77.5, 80.6, 80.9 및 80.9%로 증가하였다. 호밀의 건물수량은 100 kg/ha 파종구가 9,059 kg/ha로 가장 높았고 200kg/ha 파종구가 7,647 kg/ha로 가장 낮았다(P<0.01). 파종시기간에는 10월 5일 파종구(8,945 kg/h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월 20일 파종구(7,249 kg/ha)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1). 또한 호밀의 건물 수량에 대하여 파종량과 파종시기간에는 유의적인 교호작용이 인정되었다(P<0.01). CP 및 IVDDM 수량도 건물 수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 나라 중부지방에서 사초용 호밀을 재배시 건물 수량의 증수를 위해서 파종은 9월 20일에서부터 10월 5일 사이에 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며 조기 파종할 경우 100~150kg/ha, 만기 파종할 경우는 200 kg/ha로 파종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

옥수수밭 예방적 잡초방제를 위한 가묘상 처리 시기 (False Seedbed Weed Control under Different Preparation Date and Method in Organic Corn Field)

  • 이병모;조정래;안난희;옥정훈;김석철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299-304
    • /
    • 2014
  • 본 연구는 예방적 잡초방제 중 하나인 가묘상의 이용방법을 체계화 하고자 처리방법과 처리시기를 달리하여 옥수수 밭에서 수행하였다. 가묘상 처리 적기를 찾기 위하여 5월 초부터 6월 초까지 1주 단위로 실시하고 3주와 7주 후 발생 잡초를 조사하였다. 잡초 억제 효과가 가장 좋았던 가묘상 처리시기는 5월 하순 이후 처리, 처리 방법으로는 화염 제초가 얕은 경운 처리보다 다소 좋았다. 또한 5월 중순 이후 가묘상 1회 처리시 무처리구 대비 27-52%였던 잡초억제율이 2회 처리시 70-90%로 높아져 가묘상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옥수수 생육 및 수량 또한 5월 하순 이후 처리구가 가장 좋았다. 이 결과를 종합했을 때 가묘상 처리 적기는 5월 하순 이후였으며 얕은경운 또는 화염으로 2회 처리를 하면 효과적인 초기잡초관리를 수행할 수 있었다.

아마란스의 생육기간에 따른 건물생산성 및 종실 수량 (Effect of Growing Period on the Dry Matter Productivity and Grain Yield of Amaranth (Amarnathus caudatus))

  • 남효훈;이중환;손창기;서영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4-31
    • /
    • 2018
  • 기호성 잡곡작물로 주목 받고 있는 아마란스의 경북지역 내 재배가능성과 재배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파종기와 수확기를 달리하여 건물생산성과 수량을 조사하였다. 생육특성과 건물생산성은 생육기 온도가 가장 높았던 5월 10일 파종이 가장 높았던 반면 수량은 4월 10일 파종이 많았다. 파종기에 따라 경북지역 아마란스의 종실수량은 96~243kg의 범위를 보였다. 각 파종기별 적정 생육일수는 4월 10일 파종이 120일, 5월 10일과 6월 10일 파종은 110일일 때 수량이 가장 많았다. 생육기 평균기온(MT)과 수량(Y) 간에는 각각 $Y=-16.362MT^2+670.04MT-6639.1$ ($R^2=0.629$)의 2차 함수관계를 보이고 최적온도는 $20.6^{\circ}C$, 최적 생육일수는 파종기에 따라 104~119일로 추정되었다.

기상요인이 맥류수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eather Condition for Grain Yield in Barley)

  • 서형수;이봉호;정근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8-325
    • /
    • 1986
  • 논보리 수량에 미치는 기상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답리작 9개 시험지에서 12개년간 수행한 올보리의 보리쌀 수양성적을 발표하고 이 시기에 조사된 수량구성요소와 기상관측치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던 바 몇가지 결과를 얻었기에 여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보리쌀 수량은 전작에 비하여 답리작에서 감수되었고 지역간에도 차이가 현저하였으며 경남은 보리 재배에 안전성이 있었다. 2. 보리쌀 수량의 연차간 변리계수는 12.2~42.6%로서 풍ㆍ흉연간의 차이가 현저하였고, 출수기는 풍년이 흉년보다 남부가 중부보다 빨랐으며, 출수기와 수양간에는 부의 유의상관이 존재하여 출수기가 빠른 것이 증수되었다. 3. 풍년은 흉년보다 간장이 긴반면 수장은 짧은 경향이었고 수당입수는 비슷하였으나 천립중은 가벼웠으며 수수와 수량과는 고도의 정의 유의상관이 인정되어 풍ㆍ흉에 관계없이 수수가 $m^2$당 500개 이상이었던 것은 보리쌀이 10a당 250kg 이상 생산되었다. 4. 보리의 수량에 미친 온도는 풍년이 흉년에 비하여 감온성에 영향하는 영양생장기는 고온으로 교대기는 저온으로 경과되었고 감광에 지배되는 생식생장기는 비슷하였으며 월동기간의 온도와 보리 수양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5. 강우량은 풍년이 흉년보다 파종기는 적었고 유묘기에는 많았으나 월동기간에는 적었다. 4월 상순의 강우량과 논보리 수량과는 부의 유의상관이 있었는데 이 시기에 강우량이 40mm 이상이었던 것은 보리쌀이 10a당 250kg 이하로 생산되어 보리의 수량 결정적인 영향을 하있으며 4월 중순 이후에는 풍년이 흉년보다 다소 많은 경향이었다. 6. 일조시간은 풍년이 흉년보다 파종기에는 길었고 월동기간은 짧았으며 해동후 수확기까지는 긴 상태로 경과하였는데 일조시간이 보리 수량에 미친 영향은 온도 및 강우량보다 명백하지 않았다.

  • PDF

피복작물과 파종법에 따른 잡초발생과 수수의 생육 및 수량 (Effects of Cover Crops and Sowing Methods on Weed Occurrences and Growth and Yield of Sorghum (Sorghum bicolor))

  • 전승호;윤을수;박창영;황재복;정기열;최영대;김현주;심상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7-11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수수 재배에서 피복작물을 이용한 잡초관리 방법 개선과 잡곡의 작부체계 개선 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수의 파종법과 피복작물인 벳지와 호밀 처리가 수수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출수일은 비닐피복구, 벳지구, 무처리구, 호밀구 순으로 빨랐으며 직파보다는 이식에서 먼저 출수하였다. 초장은 벳지구 > P.E.처리구 > 무처리구 > 호밀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호밀 직파구에서 -47.5%로 가장 저조하였다.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형광에서는 생육 초기와 중기에서는 P.E.처리구 > 벳지구 > 무처리구 > 호밀구 순으로 높았으나, 후기에서는 호밀구에서 증가하거나 다른 처리구에 비해 변화의 폭이 적게 나타났다. 잡초종은 무처리에서는 16종, 호밀구와 벳지구에서 각각 10종, 6종의 초종이 발생하였다. 발생 개체수는 무처리 직파구에서 262.0 본 $m^{-2}$로 많이 발생하였으며 방제가는 벳지 이식구에서 78.9%로 가장 높았다. 벳지구에서는 화본과와 광엽잡초 모두 억제효과가 높았으나 호밀구에서는 화본과 잡초에 비해 광엽잡초에 대해 높은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수량은 벳지 이식구 > P.E. 이식구 > 호밀구 이식구 ${\fallingdotseq}$ 무처리 이식구 > 벳지 직파구 > P.E. 직파구 > 호밀구 직파구${\fallingdotseq}$무처리 직파구 순으로 나타났다.

콩의 품종, 파종시기 및 지역적 차이에 대한 병 발생 평가 (Evaluation of Disease Occurrence by Cultivar, Sowing Date and Locational Difference in Korean Soybean Fields)

  • 김홍조;오지연;김동관;윤홍태;정우석;홍점규;김기덕
    • 식물병연구
    • /
    • 제16권2호
    • /
    • pp.176-182
    • /
    • 2010
  • 식물병발생은 농업 체계에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최근의 광범위한 환경적인 기후 변화로 인하여 기후 온난화, 파종 시기와 품종의 선택 같은 농업 체계가 영향을 받고 있다. 포장에서의 점차적인 병 발생 양상은 직, 간접적인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콩 품종, 파종 시기, 재배의 지역적인 차이가 우리나라의 콩 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병발생 빈도를 평가하였다. '태광', '풍산', '청자3호', '새올', '다원' 품종을 5월 15일, 6월 1일, 6월 15일, 6월 30일 4 회에, 수원, 나주 두 지역에 파종하였을 때, 콩 들불병과 불마름병 등이 주요 병으로 발견되었다. 들불병이 '태광' 품종에서 주로 심각하게 발생한 반면, '다원' 품종은 불마름병에 대해 특히 감수성이었다. 들불병과 불마름병의 병 진전은 품종과 관계없이 파종 시기가 지연 될수록 감소하였다.

코이어 배지의 포수 및 정식 방법에 따른 수경재배 오이의 생육 및 과실 특성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illing and Planting Methods of Coir Medium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 이흥수;배효준;배종향;고바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7-44
    • /
    • 2024
  • 본 연구는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오이 수경재배에서 배지 포수액의 종류와 정식 방법에 따른 생육 및 생산성을 검증하여 가장 효율성이 높은 재배 방법의 선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포수액은 배양액(S)과 원수(W), 육묘는 암면큐브 육묘(RC), 암면 플러그묘(RP), 슬라브 직파(DS)로 하였다. 재배 기간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기준일은 파종일로 하였다. 초기 생육량은 S 처리에 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생육기간이 길어질수록 처리 간 차이가 감소하였다. 정식 방법과 생육량 간에는 관계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포수 방법에 따라 동일한 정식방법 간에도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생산성도 동일한 경향으로 초기 수확기인 파종 후 6-8주까지는 S 처리에서 수확과의 수가 유의하게많았으며, 이후 동일한 기간 수량의 격차가 해소되었다. 누적 수량은 초기 수확량의 차이로 인하여 S 처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식물체의 생육과 과실 생산성은 유사한 경향으로 선형적인 관계성을 나타내었다. 정식 방법 간에는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S의 DS 처리가 초기 근권부 안정적인 양·수분 공급으로 초기 생육 및 수량이 가장 많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S 처리한 배지에 DS 방식이 식물체의 생육 및 생산성에 가장 유리할 뿐만 아니라 재배단계 간소화를 통한 노동력 및 생산 원가 절감으로 경제성 측면에서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