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ern ocean

검색결과 804건 처리시간 0.019초

동지나해 저서 어자원에 대한 트롤어구의 어획선택성에 관한 연구 - 2 (A Study on the Selectivity of the Trawl Net for the Demersal Fishes in the East China Sea - 2)

  • 김삼곤;이주희;김진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8권4호
    • /
    • pp.371-379
    • /
    • 1992
  • In order to analyse the mesh selectivity for the trawl net, the fish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Saebada in the southern Korea Sea and the East China Sea from June 1991 to August 1992. The trawl net used in experiment has the trouser type of cod-end with cover net, and the mesh selectivity was examined for the five kinds of the opening mesh size in its cod-end part. The selection curves and the selection parameters were calculated by using a logistic function, S=1/(1+exp super(-(aL+b))), and in this case, a and b are the selection parameters and L is the body length of the target species of fishes. In this report, the four species of aquatic animals were analysed because the catch data were enough to calculate normally the selection curves and the selection parameters,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rachurus japonicus;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in each cases of the opening mesh size of 51.2mm, 70.2mm, 77.6mm, 88.0mm and 111.3mm were respectively 0.5050 and -5.4283, 0.3018 and -4.9590, 0.3816 and -7.3659, 0.2695 and -5.7958, 0.2170 and -5.1226. 2. Photololigo edulis ;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in each cases of the former mesh sizes were respectively 0.7394 and -6.1433, 0.3389 and -4.2366, 0.3286 and -5.1002, 0.2543 and -5.0049, 0.1795 and -4.8040. 3. Trichirus lepturus; Selection curves in the opening mesh size of 111.3mm was calculated unnormally. The selection parameters in the other opening mesh sizes were respectively 0.3790 and -5.2891, 0.2071 and -4.9164, 0.1292 and -3.1733, 0.1153 and -3.8497 in the order of former mesh sizes except 111.3mm. 4. Todarodes pacificus ; Selection curve in case of the opening mesh sizes, 70.2mm and 111.3mm were calculated unnormally. In the order cases of the opening mesh sizes, the selection parameters were respectively were 0.5766 and -6.0169, 0.3735 and -5.4633, 0.2771 and -5.7718 in the order of former mesh sizes except 70.2mm and 111.3mm.

  • PDF

정치망어업의 어획량변동에 관한 연구 (Fluctuation of the Catch by the Set Net Fishery)

  • 장호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3권4호
    • /
    • pp.177-183
    • /
    • 1987
  • 정치망어업에 의한 최근 15년 간(1971~1985년)의 어획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어획량의 경년변동과 계절변동, 해역별 및 어종별 어획량 변동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치망어업의 어획량은 1971년에 16,787M/T, 1985년에 84,103M/T으로서 대체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1978년부터 급격히 어획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1979년에 99,475M/T으로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쥐치가 대량 어획되어 어획량의 64%를 차지하였고, 1976년 수산어법의 개정에 따른 통계수치의 증가에 원인이 있으며, 연안 수온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2. 월평균어획량이 10~11월에 8,000~12,000M/T으로서 년평균 어획량의 32%를 차지하므로 정치망어업의 주어기는 10~11월로 볼 수 있다. 3. 1976년 이전에는 남해구에서, 1977~1980년에 동해구에서 정치망어업을 주도해 왔으나, 1981년 이후에는 그 경향이 불규칙하였다. 4. 어획량변동의 유사성 측면에서 볼 때, 어종별 어획량변동은 뱅어, 도루묵, 갈치, 멸치, 등과 같이 어획량이 감소하는 군, 노가리, 밴댕이, 망둥어, 전어, 양미리, 쥐치 등과 같이 증가하는 군 및 그 외 증감경향이 불분명한 군의 3개 군으로 대별할 수 있다

  • PDF

고등어 어획량 변동에 따른 동지나해의 어장과 해황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shing Grounds and Oceanographic Condition Associated with Fluctuation of Mackerals Catches in the East China Sea)

  • 조규대;홍철훈;김용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0권2호
    • /
    • pp.83-90
    • /
    • 1984
  • 동지나해에 있어서 고등어류 어획량 즉 자원량 변동에 따른 어장분포범위의 변동상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환경변화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어획자료는 일본국 농림성조사부 및 국립수산진흥원의 해구별 선망어획량 통계자료를 사용하였다. 이중에서 어획량이 적었던 1968년, 가장 많았던 1974년과 그 후 다시 적어졌던 1980년에 대하여 어획량을 계절별로 집계하여 분석하였다. 해양관측자료는 일본기상청과 국립수산진흥원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고등어류 어장분포는 어느 계절이나 3개년 모두 동지나해 중앙부를 중심으로 북동부와 남서부로 분리되었다. 또한 동계와 춘계에는 쿠로시오역 내측에 폭이 좁은 띠모양[대상]의 어장이 형성되었다. 어군의 북상시기인 하계와 남하시기인 동계에는 한국연안과 쓰시마난류역을 따라서 어장이 형성되었다. 어장분산은 하계가 제일 크고 춘계가 가장 적었으며, 누년 큰 변동이 없었으나 자원량이 많았던 1974년 이후인 1980년이 가장 컸다. 어장의 집중과 분산은 수온약층과 수온의 수평기울기의 크기와 관련이 있었다.

  • PDF

진해만 침매터널 상부의 수중소음의 일변화 및 음향적 특성 (Daily change and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underwater noise on a submerged sea tunnel in Jinhae Bay, Korea)

  • 신현옥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3호
    • /
    • pp.461-473
    • /
    • 2015
  • Jinhae Bay located in the southern of Korean Peninsular is an important spawning area in Korea. By some preliminary studies it was measured several times that adult Pacific codes (Gadus microcephalus) were passed (swimming layer: 15 to 18 m) over a submerged sea tunnel (sea bottom: about 30 m) rather than another immigration route when the Pacific codes were tagged surgically with an acoustic transmitters and released inside of the Ba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acific codes and the other fishes use the route on the sea tunnel as an immigration route are affected by a human-generated underwater noise around the sea tunnel due to the sea tunnel traffic. On this study the 25-hour measurements of the underwater noise level by water layer were conducted with a hydrophone attached on a portable CTD and an underwater noise level meter during four seasons, and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underwater noise was analyzed. The mean traffic volume for one hour at the sea tunnel on the spring was shown the largest value of 1,408 [standard deviation (SD): 855] vehicles among four seasons measurement. The next one was ordered on the autumn [1,145 (SD: 764)], winter [947 (SD: 598)] and summer [931 (SD: 558)] vehicles. Small size vehicle was formed 84.3% of the traffic volume, and ultra-small size, medium size, large size and extra-large size of the vehicle were taken possession of 8.7%, 3.2%, 2.0% and 1.8%, respectively. On the daily change of the noise level in vertical during four seasons the noise level of 5 m-layer was shown the highest value of 121.2 (SD: 3.6) dB (re $1{\mu}Pa$), the next one was 10 m-layer [120.7 (SD: 3.5)], 2 m- and 15 m-layer [120.3 (SD: 3.5 to 3.7)] and 1 m-layer [119.2 (SD: 3.6)] dB (re $1{\mu}Pa$). In relation with the seasonal change of the noise level the average noise level measured during autumn was shown the highest value of 123.9 (SD: 2.6) dB (re $1{\mu}Pa$), the next was during summer [121.4 (SD: 3.2)], spring [118.0 (SD: 3.4)] and winter [116.5 (SD: 5.1)] dB (re $1{\mu}Pa$). In results of eigenray computation when the real bathymetry data (complicate shape of sea bed) was applied the average number of eigenray was 2.68 times (eigenrays: 11.03 rays) higher than those of model bathymetry (flat and slightly sloped sea bottom). When the real bathymetric data toward inside (water depth becomes shallow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source of noise and hydrophone) of the Bay was applied on the eigenrays calculation the number of the eigenray was 1.31 times (eigenrays: 12.49 rays) larger than the real bathymetric data toward outside (water depth becomes deep with respect to the distance). But when the model bathymetric data toward inside of the Bay was applied the number of the eigenray was 1.05 times (eigenrays: 4.21 rays) larger than the model bathymetric data toward outside.

유세포 분석기와 Neutral Red Retention Assay를 이용한 자연산 참굴(Crassostrea gigas)의 면역력 측정 (Assessment of Immune Parameters of the Wil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using a Flow Cytometry and Neutral Red Retention Assay)

  • 홍현기;강현실;김영옥;최광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137-149
    • /
    • 2012
  • 남해의 광양만과 진해만에 서식하는 자연산 참굴의 건강성 평가를 위해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혈구의 기능들을 유세포 분석기와 Neutral Red Retention(NRR) assay를 이용하여 신속, 정확하게 측정하였다. 광양만과 진해만의 안쪽과 바깥쪽에 서식하는 자연산 참굴의 혈구를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혈구의 종류를 분류하고, 혈구 종류별 수, 사멸률, DNA 손상도, 식세포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NRR assay를 이용하여 혈구의 lysosomal membrane stability를 측정하였다. 참굴의 혈구는 granulocytes, hyalinocytes, blast-like cells의 세 가지 종류로 분류되었다. 조사 지역 간의 혈구의 수, 사멸률, DNA 손상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지만, 식세포율과 lysosomal membrane stability와 같은 면역 관련 기능들은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진해만은 내만과 외만 지역에 서식하는 참굴의 혈구 면역인자들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광양만에 서식하는 참굴은 내만 지역의 섬진대교가 외만 지역의 평산리 지역에 서식하는 참굴보다 낮은 식세포율과 낮은 lysosomal membrane stability를 보여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해양환경 변화와 시료의 면역력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사지역의 환경적 특성이나 오염정도, 그리고 시료 내의 오염물질 축적량 등의 객관적인 분석 결과와의 종합적인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유세포 분석기와 NRR assay를 이용한 참굴 혈구 집단의 형태 변화 및 면역능 측정 기술은 시료의 전처리 없이 빠른 시간 내에 세포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분석 tool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주 서남부해역에서 내부파에 의한 소나 탐지확률 변화 (Variation of probability of sonar detection by internal waves in the South Western Sea of Jeju Island)

  • 안상겸;박중용;추영민;성우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1-38
    • /
    • 2018
  • 2015년 5월 제주 서남부 해역에서 실시된 SAVEX15(Shallow Water Acoustic Variability EXperiment 2015) 데이터를 기반으로 내부파가 소나의 예상탐지확률(Predictive Probability of Detection, PPD)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제주 서남부 해역은 내부파, 수중음파채널 등으로 인하여 복잡한 해수 유동이 존재하는 해역이다. 본 논문에서는 확률적인 접근 방법을 통하여 소나의 성능을 예측하였다. SAVEX15 데이터 중 11 kHz ~ 31 kHz 대역대의 LFM(Linear Frequency Modulation), MLS(Maximum Length Sequence) 신호를 데이터 처리 하여 음원과 수신기가 약 2.8 km 떨어진 지점에서의 전달손실(Transmission Loss, TL)과 소음준위(Noise Level, NL) 값을 산출하였다. TL과 NL의 확률밀도함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를 합성곱하여 신호이득에 대한 확률밀도 함수를 구하고 음원과 수신기의 수심에 따른 예상탐지확률을 산출하였다. 솔리톤 패킷과 내부조석 등의 내부파가 존재할 때 시간에 따른 예상탐지확률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각각 다른 양상으로 예상탐지확률 값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조기 홍수시 한강하구 석모수로에서의 횡 방향 2차 흐름 및 운동량 분석 (Study on Lateral Flow Distribution and Momentum Analysis at Flood season and Neap tide of the Seokmo Channel in the Han River estuary)

  • 최낙용;우승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390-39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담수유입이 존재하고 S자의 수로형태를 가진 경기만 석모수로에서 소조기 홍수시 13시간 동안 7개의 정선에서 단면유속 및 염분을 관측하였다. 각 단면의 최강 창조와 낙조시의 유속 크기와 방향을 파악하였고, 단면 내의 유속 분포 및 염분구조를 분석하였다. 또한 정선 별로 나타나는 횡 방향 흐름이 어떠한 운동량에 의해 지배되는지 파악하고자 횡 방향의 운동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운동량 분석에서는 석모수로의 S자 형태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서 원심력을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소조기 홍수시 석모수로는 횡 방향 압력 경도력과 수직적 마찰력이 가장 우세하기 때문에 염분 분포와 성층에 의한 흐름이 주로 나타났다. 수로의 특성은 크게 북단과 남단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상대적으로 조간대가 넓게 형성되고 담수의 영향이 큰 석모수로 북단의 4개 정선중에서 수심이 깊은 정선에서는 횡 방향 압력 경도력이 우세하지만 수직적으로 크기가 다르며, 수심이 낮은 정선에서는 수직 마찰항이 우세하였다. 이와는 달리 수심이 깊고 수로의 굴곡이 심한 석모수로 남단에서는 낙조시 지형학적 원인과 담수의 영향에 따라 이류 가속항과 원심력이 강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석모수로는 위치와 수심, 수로의 굴곡 등에 따라 운동량 분포가 각기 달리 나타나며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횡 방향 흐름 특성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제주해협의 해수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ual Current in the Cheju Strait)

  • 김상현;노홍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59-770
    • /
    • 1997
  • 제주해협내에 설정한 3개의 남북 단면상에 배열한 13개의 관측정점과 기타 4개의 제주항 부근의 연안정점에서 $1986\~1989$년까지 실시한 해류계에 의한 해류조사결과와 $1981\~1987$년 사이에 실시된 해류판 추적조사, 일반해양관측 등에 의하여 얻어진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정리한 제주해협의 유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주해협내에는 주로 동$\~$북동류의 항류가 있어, 해협 서쪽 입구의 전단면을 통하여 해협내로 유입된 해수가 동쪽 입구의 전단면을 통하여 유출되고 있으며, 이 항류의 유속은 10m층에서 $5.2cm/sec\~30cm/sec$이고, 중${\cdot}$저층은 $1.3\~24cm/sec$로 대체로 해협의 심소 및 제주도 북측에 강류대가 있고, 추자도 및 보길도 부근의 연안 천소에 악한 항류가 있다. 2. 제주해협 서쪽 입구의 전단면에서 실측한 항류의 하계 평균유속은 6.93cm/sec로, 이것을 기초로 계산한 이 단면의 해수수송량은 $0.384\times10^6\;m^3/sec(Sv)$이며, 단면의 항류분포와 지형류 유속 분포간에는 많은 차를 보였다. 3. 추자도 북서쪽의 전선역에서는 밀물 때는 북향류에 의해 고온${\cdot}$고염분의 외해수가 5mile정도 연안역으로 이동 하지만, 썰물 때는 북상 거리만큼 다시 남하하지 않고 동$\~$남동향류 때문에, 연안수와 혼합하면서 전선북쪽의 연안역으로 이동하므로, 결과적으로 추자도 북서해역은 제주도 서방해역으로 부터 북상해온 외해수가 한국남해연안수내로 유입하는 창구가 되며, 이것을 일으키는 주된 작용은 항류가 아닌 조류이다.

  • PDF

사각형강목의 끝자루를 이용한 트롤어구의 어획선택성 연구 ( 2 ) - 다이아몬드형강목과 사각형강목의 선택성비교 - ( Studies on the Selectivity of the Trawl Net With the Square Mesh Cod-End ( 2 ) - Comparison of Diamond and Square Mesh Cod-End - )

  • 김삼곤;이주희;박정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0권3호
    • /
    • pp.172-181
    • /
    • 1994
  • The mesh selectivity of diamond and suare mesh cod-ends at the Southern Korean Sea and the East China Sea were compared for Pampus argenteus, Trachurus japonicus, Trichiurus lepturus. Selection trials were carried out using diamond and square mesh cod-end by trouser type cod-end with cover net. of which the mesh cod-end has four types : A(51.2mm), B(70.2mm), C(77.6mm), D(88.0mm). Selection curves and selection parameters were calculated using a logistic model. The results ob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Harvest fish : In B. C and D type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of the square mesh were about 21mm, 11mm : 12mm, 18mm and 34mm, 5mm higher than those of the diamond mesh, respectively. Selection factor of master curve for the diamond mesh was 1.54 and for the square mesh was 1.68. The optimum mesh size for the diamond mesh was 97.4mm and for the square mesh was 89.3mm, the difference was 8.1mm. 2. Horse mackerel : In A type, selection range was nearly the same for the diamond and the square mesh, but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of the square mesh was 43mm higher than the diamond mesh. In B. C and D type,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of the square mesh were about 6mm, 3mm : 24mm, 21mm and 11mm, 42mm higher than those of the diamond mesh, respectively. Selection factor of master curve for the diamond mesh was 2.37, for the square mesh was 2.77. The optimum mesh size for the diamond mesh was 78.1mm and for the square mesh was 66.8mm, the difference was 11.3mm. 3. Hair tail : In A, B and C type, selection range of the square mesh was about 34mm, 8mm, 60mm higher than those of the diamond mesh.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for the diamond mesh was about 5mm, 7mm, 8mm higher than that of the square mesh. Selection factor of master curve for the diamond mesh was 3.11, for the square mesh was 3.48. The optimum mesh size for the diamond mesh was 64.3mm and for the square mesh was 57.5mm, the difference was 6.8mm.

  • PDF

사각형강목의 끝자루를 이용한 트롤어구의 어획선택성 연구 ( I ) - 사각형강목의 어획선택성 - ( Studies on the Selectivity of the Trawl Net With the Square Mesh Cod-End ( 1 ) - Selectivity of the Square Mesh Cod-End - )

  • 이주희;김삼곤;김진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0권3호
    • /
    • pp.161-171
    • /
    • 1994
  • Mesh selection analysis for the trawl net were carried out at the Southern Korean Sea and the East China Sea during the 1992-1994 years by the training ship Seabada of th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using A type (51.2mm), B type (70.2mm), C type (77.6mm), D type (88.0mm) square mesh cod-ends. The fishing trials were made using bottom trawl of the trouser type cod-end with cover net. Selection curves and selection parameters were calculated by a logistic model for Sphyraena pinguis, Pampus argenteus, Trachurus japonicus, Pagrus major, Callanthias japonicus, Trichiurus lepturu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ed barracuda :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in the A type was 115.8mm, 292.8mm, respectively. 2. Harvest fish : Each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in the B. C. and D type was 37.7mm, 113.8mm : 40.1mm, 131.7mm and 64.8mm, 148.6mm,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were : slope, 3.81 : intercept, -6.4. Optimum mesh size was 89.3mm. 3. Horse mackerel : Each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in the A, B, C and D type was 43.0mm, 148.3mm : 60.7mm, 183.2mm, 214.5mm and 91.4mm, 254.9mm,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were : slope 2.30 : intercept, -6.4. Optimum mesh size was 66.8mm. 4. Red seabrem :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in the D type was 42.7mm, 203.4mm, respectively. 5. Yellowsail red bass :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in the A type was 84.0mm, 110.6mm, respectively. 6. Hair tail : Each selection range and fifty percent selection length in the A, B and C type was 59.7mm, 176.0mm : 100.9mm, 250.7mm and 178.6mm, 307.0mm,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were : slope, 1.54 : intercept, -5.4. Optimum mesh size was 57.5m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