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 sea of South Korea

검색결과 1,966건 처리시간 0.04초

Long-term Variation in the Catch of Major Small Pelagic Fishes Related to Winter Warming in the South Sea, Korea

  • Lee, Seung-Jong;Go, You-B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0권1호
    • /
    • pp.43-52
    • /
    • 2007
  • The relationships among long-term climatic chang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oceanic conditions of the South Sea, Korea, and winter catches of major small pelagic fishes were analyzed using 33 years of time-series data from 1971-2003. In the early 1990s, winter climatic condition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hifted to a warmer regime with higher air temperature, weaker wind speed, and lower relative humidity. Also, winter sea surface temperature (SST) became consistently higher in the South Sea. The annual catch of major small pelagic fishes in the South Sea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mid 1990s, whereas the catch of total fishes decreased in the late 1980s. In particular, the winter catch started to increase markedly in the late 1980s, and has remained over 120,000 M/T since the late 1990s. Correlation analysis of the winter catch of major small pelagic fishes and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that catch was correlated with air temperature (r=0.468, P< 0.01), wind speed (r=-0.732, P< 0.01), relative humidity (r=-0.73l, P< 0.01), and SST (r=0.672, P< 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winter catch of major small pelagic fishes (Y) and environmental factors (X) resulted in the equation: $Y=-0.017-0.217\;X_3-0.486\;X_4+0.325\;X_5(R^2=0.754,\;P<0.000)$.

Newly Recorded Lysianassid Species, Orchomene japonicus (Crustacea: Amphipoda) from Korea

  • Jung, Jong-Woo;Kim, W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1호
    • /
    • pp.139-142
    • /
    • 2008
  • A lysianassid species, Orchomene japonicus (Gurjanova, 1962) associated with sea squirts collected from Geojedo Island located in the South Sea of Korea,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Present specimens conform to that of Gurjanova's except some morphological variation in mandibular palp.

한국 남해안 멸치(Engraulis japonicus)의 연령과 성장 연구 (Age and Growth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South Sea of Korea)

  • 정경미;문성용;정재묵;김희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64-371
    • /
    • 2024
  • We studied the age and growth of anchovies Engraulis japonicus, collected using three different fishing gears (drag net, set net, and bottom trawl) in the South Sea of Korea from November 2020 to October 2021.To determine the age, 344 speciemens were analyzed by reading the otolith sagittal plane. Monthly changes in the growth of translucency at the edge and the marginal increment ratio revealed that annuli in otoliths were fully formed in March once a year. We compared four different types of growth equations, and found that the data set of observed length at age (yearly) as estimated the growth parameter (L = FL 16.17 cm, k = 0.33/year, t0 = -1.65) fitted well on the von Bertalanffy growth curve.

진해만에 분포하는 개조개 (Saxidomus purpuratus)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Purpulish Washington Clam (Saxidomus purpuratus) in Jinhae Bay, Korea)

  • 김영혜;류동기;장대수;김종빈;김성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95-499
    • /
    • 2003
  • Age and growth of purpulish Washington clam (Saxidomus purpuratus) was investigated from 480 samples monthly colle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2 in Jinhae Bay, Korea. Examination of outer margins of the shell revealed that the translucent zone was formed once a year from March to April, it can be used as annulus. Ages were determined from ring radius of shell, and maximum age of the the clam was 9 years. The spawning period was from May to October, and the main spawning occurred in July.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SL) and shell height (SH) was $SH=0.8405{\times}SL^{-4.9709}\;(R^2=0.97)$ and that between the shell length (SL) and total weight (TW) was $TW=0.9580{\times}10-4{\times}SL^{3.220}(R^2=0.97).$ The von Bertalanffy growth equation were $SL_t=125.57(1-e^{-0.2523(t+0.5367)},\;TW_t=549.26(1-e^{-0.2523(t+0.5367)})^{3.220}.$

한국 남해 및 서해 연안 해산 해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n the Marine Sponges from the South Sea and the Yellow Sea of Korea)

  • 심정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권1_2호
    • /
    • pp.21-30
    • /
    • 1985
  • 본인은 1984년 6월부터1985년 5월까지 서해연안(작약도, 대천, 안면도, 안흥)과 남해연안의 삼천포를 중심으로 한 부근섬(신수도, 늑도, 비진도, 충무) 및 거제도, 제주도 등지에서 채집된 재료 90여점과 그간 미해결로 보류되어있던 기존 표본들을 동정분류한 결과 26 종의 기록종과 3 종의 한국 미기록종(Spongia officienalis , S. zimmocca, Tedania Tublifera)이 밝혀졌다. 기록종 가운데 Esperiopsis uncigera 와 Hymeniacidon sinapium은 재검토되었다.

  • PDF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in the territorial seas of the Republic of Korea

  • An Suk, Lim;Hae Jin, Jeong
    • ALGAE
    • /
    • 제37권4호
    • /
    • pp.265-279
    • /
    • 2022
  • The primary production (PP) by phytoplankton in marine ecosystems is essential for carbon cycling and fueling food webs. Hence, estimating the PP in the territorial sea of each country is a necessary step to achieving carbon neutrality. To estimate the PP in the territorial sea of the Republic of Korea from 2005 to 2021, we analyzed various physiochemical parameters, such as sea surface temperature (SST), Secchi depth, and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a and nutrients in the seas of five regions, including the East Sea, West Sea, western South Sea, eastern South Sea, and the waters off Jeju Island. During the 17-year study period, the SST tended to increase, while the nutrient concentrations declined, except in the Jeju area. Overall, the PP did not show a specific temporal trend, but daily PP in the western South Sea was the highest among the five regions. Moreover, the maximum PP in the Korean territorial waters (76,450 km2) was estimated at 11,227 Gg C y-1, which accounts for 0.03% of the global PP. The results may give insights in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P, further resource utilization,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the studied region.

한반도 근해 수온 및 염분의 장기변화 추이 (Long Term Trend of Change In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Coastal Waters around Korean Peninsula)

  • 정희동;황재동;정규귀;허승;성기탁;고우진;양준용;김상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9-64
    • /
    • 2003
  •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장기간 관측한 정선해양관측자료와 연안정지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주변해역의 수온과 염분의 장기변화경향과 수층별 상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장기변화의 분석결과 한국연안수온은 하계냉수역이 발생하는 한국남서연안을 제외하고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해수온은 동해의 경우 표층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50m 와 l00m 수층은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해의 경우 전 수층에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해의 경우 표층에서는 상승하나 50m 수층은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해염분은 동해의 경우 표층에서 하강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50m 수층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ml 수층 하강정도가 미미하게 나타났다. 남해의 경우 표층에서는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0m 와 l00m 수층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서해의 경우 표층과 50m 수층 모두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층별 상관성을 보면 수온의 경우 동해와 남해에서 50m 수층과 100m 수층이 높은 상관도를 보였으나 서해의 경우 표층과 50m 수층 사이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의 경우 동해에서는 표층과 50m 수층이, 남해에서는 50m 와 l00m 수층이, 서해에서는 표층과 50m 수층이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 PDF

겨울철 온난화와 남해 방어 어획량의 장기변동 (Winter Warming and Long-term Variation in Catch of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in the South Sea, Korea)

  • 이승종;고유봉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19-328
    • /
    • 2006
  • 1971~2002년까지의 지난 32년간 장기간 시계열 자료를 통하여 겨울철 남해의 방어 어획량 변동양상을 계절별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이와 더불어 겨울철 한국 남부의 기상상황 및 남해의 해황 변화도 조사하여 장기간의 환경변화와 방어의 어획량 변동 사이의 대응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겨울철 우리나라 남부의 기상변동을 살펴본 결과 1990년대에 들어서 기온이 상승하고 상대습도는 낮아지며 풍속이 많이 약화되는 특징들을 보이는 등 전체적으로 온난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고, 겨울철 남해의 50 m 수층 수온도 이 시기부터 뚜렷이 상승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남해의 방어 어획량 변동양상을 계절별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타 계절에 비해 특히 겨울철 생산량이 1990년대에 들어서부터 점차 증가하고 있었으며 방어의 주먹이원의 하나인 멸치의 어획량도 이 시기부터 증가하고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 조사한 기상 요인들을 포함한 환경 요인들과 겨울철 남해 방어 어획량 자료를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겨울철 방어 어획량의 증가는 겨울철 기온과 수온의 증가 그리고 멸치 어획량의 증가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남해 연안 전선구조에 따른 멸치 알의 분포 (Distribution of the Anchovy Eggs Associated with Coastal Frontal Structure in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김주일;김진영;최용규;오현주;추은경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5-216
    • /
    • 2005
  • 한국 남해안에서 2003년~2004년의 4월, 6월, 8월에 멸치 알의 분포 및 해양환경 특성을 비교하고 냉수대 형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해역의 수온은 $10.2{\sim}30.7^{\circ}C$, 염분은 25.7~34.7, 클로로필은 $0.14{\sim}0.67{\mu}g/L$, 동물플랑크톤은 $111.52{\sim}262.37mg/m^3$의 범위였다. 멸치 알은 수온 $14.7{\sim}26.9^{\circ}C$와 염분 31.0~34.6 범위에서 주로 나타났고, 봄에서 여름으로 진행될수록 고수온과 저염분역에서 출현하였으며, 동물부유생물 생산의 증가와 함께 알의 평균분포밀도도 높아졌다. 2004년 8월의 멸치산란장은 외양의 난류수와 연안 냉수대간의 수온전선 외해측 해역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므로 연안역의 냉수대형성이 멸치 산란장분포의 제한요인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