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nd synthesis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2초

스크린드 군집화 기반의 사운드 합성을 이용한 효율적인 거품 사운드 생성 (Efficient Foam Sound Generation with Screened Clustering Based Sound Synthesis)

  • 신영찬;김종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553-55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거품 입자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장면에 맞는 소리를 효율적으로 합성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물리 기반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소리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생성과 합성이다. 사운드 생성의 경우 시뮬레이션 장면마다 물리 기반 접근법을 사용하여 소리를 생성할 수 있는데 계산 시간과 재질 표현의 어려움으로 다양한 시뮬레이션 장면에 대한 소리를 만들어 내기에는 쉽지 않다. 사운드 합성의 경우 소리 데이터를 미리 구축해야 하는 사전 준비가 필요하지만, 한 번 구축하면 비슷한 장면에서는 같은 소리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거품 시뮬레이션의 소리 합성을 위해 소리 데이터를 구축하고 거품 입자의 효율적인 군집화를 통해 계산 시간을 줄이면서 소리의 사실감은 개선할 수 있는 사운드 합성 기법을 제안한다.

  • PDF

옷감 시뮬레이션의 절차적 사운드 합성을 위한 새로운 사운드의 에너지와 반전 매핑 (Novel Sound Energy and Reversal Mapping for Procedural Sound Synthesis in Cloth Simulation)

  • 김동희;문성혁;신영찬;김종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587-59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물리기반 옷감 시뮬레이션에 적합한 소리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 합성 기법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에서 소리를 표현하는 방법은 크게 생성과 합성이 있지만, 합성은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터랙티브한 환경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에 의존하기 때문에 원하는 장면에 부합하는 사운드를 합성하기는 어려우며, 기존 방법은 한 방향으로만 사운드 데이터를 검색하기 때문에 불연속으로 인한 끊김 현상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양방향 사운드 합성 기법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불연속적으로 합성되는 사운드 결과를 효율적으로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다이폰을 이용한 한국어 문자-음성 변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Korean Tet-to-Speech System)

  • 정준구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4년도 제11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워크샵 논문집 (SCAS 11권 1호)
    • /
    • pp.91-94
    • /
    • 1994
  •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Tet-to-Speech system. In this paper, parameter symthesis method is chosen for speech symthesis method and PARCOR coeffient, one of the LPC analysis, is used as acoustic parameter, We use a diphone as synthesis unit, it include a basic naturalness of human speech. Diphone DB is consisted of 1228 PCM files. LPC synthesis method has defect that decline clearness of synthesis speech, during synthesizing unvoiced sound In this paper, we improve clearness of synthesized speech, using residual signal as ecitation signal of unvoiced sound. Besides, to improve a naturalness, we control the prosody of synthesized speech through controlling the energy and pitch pattern. Synthesis system is implemented at PC/486 and use a 70Hz-4.5KHz band pass filter for speech imput/output, amplifier and TMS320c30 DSP board.

  • PDF

범용 디지털 신호처리기를 이용한 국악기 사운드 엔진 개발 (Sound Engine for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Using General Purpose Digital Signal Processor)

  • 강명수;조상진;권순덕;정의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9-23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TMS3320F2812 신호처리기를 이용하여 가야금과 태평소의 사운드 엔진을 구현하였다. Commuted Waveguide Synthesis (CWS) 기반의 가야금과 태평소 모델을 신호처리기에 탑재하고 악기 선택 버튼을 두어 해당 악기의 사운드 샘플을 매 일정 시간마다 합성하도록 하였다. 합성음은 SPI 통신을 이용하여 DAC로 전송되며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거쳐 스피커를 통해 재생된다. 합성 모델의 지연 라인은 합성음의 피치를 조절하는데, 이 지연라인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GPIO를 이용하여 한 샘플을 합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측정하였다. 가야금은 $28.6{\mu}s$, 태평소는 $21{\mu}s$가 소요되었다. 태평소와 가야금의 동시 발음수를 고려하였을 때 태평소는 동시 발음수 1을 가지므로 $21{\mu}s$, 가야금은 일반적으로 동시 발음수가 2이므로 $57.2{\mu}s$의 연산시간이 필요하다. 이는 실시간 연주가 충분히 가능한시간이다. 제안한 사운드 엔진의 경우,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에서 각 사운드 샘플의 합성과 DAC로의 전송이 일어난다.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타이머의 주기 매칭 이벤트를 이용하여 $60{\mu}s$마다 주기적으로 호출된다. 이와 같이 합성된 음을 녹음하여 원음과 스펙트럼으로 비교한 결과, 가야금은 원음과 매우 유사한 음을 합성할 수 있었고, 태평소는 '무(無), 황(黃), 태(太), 중(仲)' 음을 제외한 나머지 음에 대해서 태평소의 음색을 잘 표현하는 음을 합성 할 수 있었다.

포먼트 필터와 음악 화성학에 기반한 차량 음질 연구 (Study on the Vehicle Sound Based on the Formant Filter and Musical Harmonics)

  • 장경진;박동철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8호
    • /
    • pp.525-531
    • /
    • 2015
  • Driving sound is an effective element to promote the product identity of a vehicle by providing customers with attractive sound which reflects the concept of a vehicle. Recently, major automakers are focusing on the target sound setting so that the sound can represent the brand image as well as the unique concept of a vehicle. In this study, a new method of target setting for the driving sound will be introduced based on using formant filter and musical harmonic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 target sound suggested from this method will be realized and verified by using active noise control in vehicle.

요성을 중심으로 한 피리의 음색 변화 분석 및 필터 디자인 (Timbral Analysis of the Piri Sound and Designing an Audio Filter for Yoseong Expression)

  • 남상봉;이선진;이강성;이돈응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5-11
    • /
    • 2015
  • 요성은 음을 떨어서 내는 소리로 국악기 피리의 중요한 연주 표현 기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피리의 요성 시에 나타나는 음색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는 필터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피리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음향 특성을 비숫한 구조의 서양악기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요성 시에 발생하는 음색 변화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피리의 평소리를 요성소리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필터를 제시하였다.

MPE-LPC음성합성에서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에 의한 Multi-Pulse의 크기와 위치 추정 (Multi-Pulse Amplitude and Location Estimation by Maximum-Likelihood Estimation in MPE-LPC Speech Synthesis)

  • 이기용;최홍섭;안수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9호
    • /
    • pp.1436-1443
    • /
    • 198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aximum-likelihood estimation(MLE) method to obtain the location and the amplitude of the pulses in MPE( multi-pulse excitation)-LPC speech synthesis using multi-pulses as excitation source. This MLE method computes the value maximizing the likelihood function with respect to unknown parameters(amplitude and position of the pulses) for the observed data sequence. Thus in the case of overlapped pulses, the method is equivalent to Ozawa's crosscorrelation method, resulting in equal amount of computation and sound quality with the cross-correlation method. We show by computer simulation: the multi-pulses obtained by MLE method are(1) pseudo-periodic in pitch in the case of voicde sound, (2) the pulses are random for unvoiced sound, (3) the pulses change from random to periodic in the interval where the original speech signal changes from unvoiced to voiced. Short time power specta of original speech and syunthesized speech obtained by using multi-pulses as excitation source are quite similar to each other at the formants.

  • PDF

Lower-order ARMA Modeling of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 for Sound-Field Synthesis Systme

  • Yim, Jeong-Bin;Kim, Chun-Duck;Kang, Seong-Ho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5권3E호
    • /
    • pp.37-44
    • /
    • 1996
  • A new method for efficient modeling of the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HRTF's) without loss of any directional information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HRTF's were empirically measured in a real room and modeled as the ARMA models with common AR coefficients and different MA coefficients.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RMA model, psychophysical tests show that the proposed ARMA model,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MA model, requires a small number of parameters to represent empirical HRTF's and improves the back-to-front confusions in sound-field localization. Thus, significant simplifications in the implementations of sound-field synthesis systems could be obtained by using the proposed ARMA model.

  • PDF

감성 품질 향상을 위한 자동차 Horn의 선호 음질에 관한 연구 및 음질 요소 개발 (Study Concerning Preference for Noise Quality of Automotive Horn for Improvement of Perceived Quality and Improvement of New Noise Metric)

  • 강희수;이상권;신태진;정기웅;박동철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41-149
    • /
    • 2015
  • In this study, there is an investigation about the sound quality of automotive horn that attached to luxury sedans. In order to define a questionnaire of horn sound quality the factor analysis is conducted. Ten automotive horns a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and ten passenger cars(nine is luxury sedan and one economy class car). Luxury is used for the questionnaire as an attribute for the sound quality of car horn. The interior noises for ten test cars are recorded and used for the subjective analysis of car horn sound. In the paper, new sound metric for the car horn sound is presented. The new sound metric is used for the objective sound index for the prediction of subjective sound quality of car ho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