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nd radiation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2초

Cardiorespiratory Responses of Qi-training: A Pilot Study

  • Lee, Myeong-Soo;Kim, Soo-Keun;Kim, Hye-Jung;Moon, Sun-Rock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4권1호
    • /
    • pp.18-21
    • /
    • 2004
  • Six volunteers (mean $age=25.7{\pm}1.7$, $height=173{\pm}1.9$ and $weight=63.4{\pm}2.3{\;}kg$) participated in a graded exercise test and one hour of basic form of ChunDoSunBup (CDSB) Qi-training to investigate the cardiorespiratory responses and exercise intensity of Qi-training, a Korean traditional psychosomatic training. In the maximal exercise, the trainee showed $96.2{\pm}8.89{\;}l/min$ in ventilation (VE), $46.0{\pm}4.4$ in breath frequency (BF), $1.31{\pm}0.05$ in respiratory exchange ratio (RER), $180.7{\pm}3.0$ in heart rate (HR), and $2.6{\pm}1.1{\;}l/min$ or $40.7{\pm}2.3{\;}ml/kg/ml$ in oxygen consumption $(VO_2)$. Qi-training induced significant changes in BF, RER, HR, and $VO_2$. The exercise intensity of Qi-training were 42.3%, 46.9% and 38.7% of $HR_{max}$ during the sound exercise, slow motion (haeng-gong) and meditation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was 46.2% of $HR_{max}$. We conclude that Qi-training is an aerobic exercise of a light (mild) intensity exercise, and it leads to decrease the metabolic rate in the trainee by breathing efficiently and relaxing them. In addition, Qi-training may affect cardiorespiratory function of BF, RER, HR and $VO_{2max}$ in trainees.

초음파를 이용한 턱관절질환의 진단과 초음파 가이드의 활용 (Diagnostic Applic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nd Ultra Sound Guided Oral &Maxillofacial application)

  • 성태환;박정현;김선종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11호
    • /
    • pp.789-799
    • /
    • 2017
  • Ultrasound images are noninvasive, can be observed in real time, have no radiation exposure, do not cause pain, and are not restricted in use depending on the patient's prosthetic implant or medical condition. Since the use of ultrasound in the dental field was first applied for tooth preparation in 1957, the use of diagnostic ultrasound for the first time in 1963 has been reported. Currently, it is used in the diagnosis of soft tissue lesions such as malignant tumor or salivary gland disease, fine needle aspiration test,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 lymph node metastasis, measurement of muscle thickness and inflammatory diseases, differentiation of periapical cyst and granulation tissue, measurement of periodontal tissue thickness. The ultrasound image can be visualized in real time. The clinician can explain the structure to the patient while consulting the patient and consult the patient. When injecting the drug into a specific site or aspirating a specific site or substance, So that it can be confirmed and practiced. Recently, ultrasonic equipment specialized in the dental field has been developed and marketed, and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ultrasonic waves will become active in the dentistry.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popular equipment with size and frequency suitable for dental diagnosis and various researches on maxillofacial ultrasonic anatomy. If clinical studies are continuously carried out to demonstrate efficacy, ultrasound is expected to aid in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throughout the dentistry.

  • PDF

철도 전동 소음의 관점에서 해석한 국내 철도의 진동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rack Vibration Characteristics for Domestic Railway Tracks in the Aspect of Rolling Noise)

  • 유정수;장승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85-92
    • /
    • 2013
  • 철도 전동 소음은 철도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소음으로서 차륜과 레일의 음향 조도에 의해 유기된다. 철도 전동 소음의 주요 소음원으로는 침목, 레일 그리고 차륜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철도의 전동 소음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차륜의 진동 특성과 함께 궤도의 진동을 해석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는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동 소음의 관점에서 레일의 진동을 해석하기 위한 이론적 궤도 모델링에 대해 기술하고, 국내의 대표적인 세 가지 철도 궤도에 대해 진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에 사용한 궤도로는 기존선 자갈 도상 궤도, KTX 자갈 도상 궤도, KTX 콘크리트 궤도를 선정하였으며, 각 궤도 별로 레일을 따라 진행하는 파동의 전파 특성을 해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해석 시 궤도는 이산 지지를 가진 Timoshenko 보로 모델링하였으며, 레일의 평균 진동 속도를 이용해 세 궤도 레일의 방사 소음 특성을 간접 비교하였다.

시간 영역 음향 경계요소법에서의 비유일성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에 관하여 (On the Solution Method for the Non-uniqueness Problem in Using the Time-domain Acoustic Boundary Element Method)

  • 장해원;이정권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28
    • /
    • 2012
  • Kirchhoff 적분식을 이용하여 외부 음향 문제의 시간 영역 응답을 계산하는 경우, 주파수영역 해석과 마찬가지로 가상적인 내부 음향 모드에 기인한 비유일성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들 중의 하나로서 CHIEF(Combined Helmholtz Integral Equation Formulation) 방법이 쓰이는데, 이는 몇몇 내부 수음점의 응답을 0으로 추가하여 구속하는 조건을 부가하는 기법이다. 이 기법은 주파수 영역 경계요소법에서는 간편한 수식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시간 영역에서는 사용된 예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체 내부의 가상 수음점과 경계 표면의 절점들간의 최소 거리에 대한 지연시간을 고려하여, 계산하고자 하는 미지수인 현재 시간의 경계 표면 음장을 구속함으로써, 시간 영역 해석에 적합하도록 CHIEF 방법을 수식화하였다. 예제로서, 반지름 방향으로 진동하는 구의 음향 방사 문제를 다루었다. CHIEF 방법을 적용함에 따라 저차의 내부 음향 모드에 기인한 비유일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고, 비요동 모드에 의한 수치적 불안정성을 피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유효주파수 밖에 남은 내부 음향의 고차모드들에 의한 수치적 불안정성은 증가하였다.

파라메트릭 어레이 음원의 전기적 빔 조향 현상 예측을 위한 수치 해석 기법 연구 (Computational study on prediction of electrical beam steering phenomenon of parametric array sound source)

  • 빈경훈;엄원석;문원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85-493
    • /
    • 2019
  • 파라메트릭 어레이란 매질의 비선형성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의 방사판에서 고지향성 저주파음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파라메트릭 어레이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저주파 음향 빔 조향 연구가 진행 되고 있으며, PD(Product Directivity) 모델을 이용하여 빔 조향 현상이 간편하게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PD 모델은 준선형 조건에서 가우시안 음원만 적용이 가능하며, 저주파 음향 빔 폭의 예측 정확성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PD 모델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파라메트릭 어레이의 빔 조향 특성 예측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파라메트릭 어레이 현상 예측에 널리 사용되는 KZK(Khokhlov-Zabolotskaya-Kuzentsov) 방정식의 수치 해석 알고리즘을 개선하였다. 그리고 전기적 조향 조건을 적용하여 빔 조향 특성을 계산, 실험 결과와 비교 하였다. 그 결과 개선된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준선형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파라메트릭 어레이 음원에서도 저주파 빔 조향 특성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