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nd Frequency

검색결과 1,808건 처리시간 0.033초

수중코오너리프렉터의 초음파반사특성에 관한 연구 (Ultasonic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Underwater Corner Reflector)

  • 이대재;신형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9권1호
    • /
    • pp.25-32
    • /
    • 1983
  • 레이다에서 전파반사표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코오너리프렉터를 수중 초음파반사표지로 응용하기 위하여, 코오너리프렉터의 수중초음파반사특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28,50,75KHz의 주파수에 대하여 주파수가 높을수록 높았고, 반사지향성은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예리하였다. 2. 직경이 150mm이고, 코오너각이 15$^{\circ}$, 30$^{\circ}$, 45$^{\circ}$, 60$^{\circ}$, 90$^{\circ}$인 코오너리프렉터의 최대반사강도는 각각 -25.0dB, -17.2dB, -15.2dB, -13.4dB, -11.0dB로서, 코오너각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그 주엽 수는 코오너각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3. 직경이 80mm이고, 코오너각이 90$^{\circ}$인 코오너리프렉터를 2,3,4,5,6,7개씩 음속축을 중심으로 간격없이 평면배열한 경우에 있어서, 반사강도는 각각 -18.2dB, -16.5dB, -15.4dB, -14.3dB, -13.4dB, -12.9dB로서, 이론치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코오너리프렉터수의 평방근에 비례하였다. 4. 직경이 80mm인 코오너리프렉터의 방향각(0,$\theta$sub(a))이 0$^{\circ}$, 2.5$^{\circ}$, 5$^{\circ}$, 7.5$^{\circ}$, $10^{\circ}$, 12.5$^{\circ}$인 경우, 반사강도는 각각 -21.2dB, -21.9dB, -23.4dB, -26.0dB, -30.0dB, -36.8dB로서, 방향성이 증가함에 따라 반사강도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겨울왕국> 캐릭터에 나타난 두려움과 왜곡된 욕망의 정신역동 (Psychological Dynamics of Fears and Crooked Desires inherent in Characters of )

  • 양세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7호
    • /
    • pp.159-195
    • /
    • 2014
  •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은 디즈니의 완벽한 부활을 선포한 작품이다. 이러한 성공은 인상적인 주제가와 캐릭터의 힘이 크게 작용한 결과라고 여겨진다. 남성에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미래를 구축하는 강한 여성상을 구축하며 공감과 카타르시스를 이끌어낸 중심캐릭터, 그 중에서도 엘사의 인기는 개봉 후 1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하다. 이처럼 서사장르에서 캐릭터의 완성도는 작품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캐릭터라이징의 주요 구성요소 중, 성격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생각과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두려움과 욕망의 정신역동에 주목했다. 두려움은 실제의 위협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불길한 가정에서 발생한 정서이다. 결핍이나 억압에 대한 기억에서 비롯된 두려움은 건강한 욕망을 왜곡시키기 때문에,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것은 현실을 직시하는 것과 같다. 캐릭터 고유의 정신역동 검증을 위해 'MBTI 성격유형론'을 활용하여 태도, 심리경향성, 정신기능 위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1) 엘사와 안나는 정신기능면에서 대척적 관계이다. 이는 갈등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조합이나, 두 자매는 기본적인 유대감과 가족애를 바탕으로 이를 극복한다. (2) 한스와 크리스토프 역시 정신기능면에서 대척관계지만, 두 남성 캐릭터는 작품에서 상호작용하지 않는다. (3) 한스는 가장 효과적으로 엘사와 안나를 보완할 수 있는 정신기능의 소유자이지만, 그것을 악용함으로써 가장 치명적인 대립자가 된다. (4) 올라프는 안나의 태도와 엘사의 심리경향성을 조합한 유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려움과 욕망의 표출 빈도 분석에 의하면, (1) 엘사는 압도적으로 두려움을, 안나 및 다른 캐릭터들은 욕망을 행위의 주요 동력으로 한다. (2) 두려움은 모든 캐릭터에 내재된 근원적 결여로서 '가족애의 결핍'이 원인이 되었으며, 그 결과 '외로움과 고립'이라는 고통을 공유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정신역동에 대한 분석은 캐릭터 성장담의 이해 즉, 두려움을 피하려는 동기에 의해 욕망이 왜곡되고, 두려움에 지배당하는 것과 두려움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왜곡된 욕망의 근원적 이유를 깨닫고 자기치유에 이르는 서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애니메이션 캐릭터라이징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방향과 분석결과가 캐릭터 성격화와 관계성 설정 시 데이터베이스로 참고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소아 난청의 조기진단을 위한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에 대한 평가 (Investigation of Automated Neonatal Hearing Screening for Early Detection of Childhood Hearing Impairment)

  • 서정일;유시욱;공승현;황광수;이현정;김중표;최현;이보영;목지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7호
    • /
    • pp.706-710
    • /
    • 2005
  • 목 적 : 출생 후 3세까지는 언어와 청각신경로의 발달의 가장 중요한 시기로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를 통해서 선천성 난청의 조기 진단은 청력 손실로 인한 언어장애를 최소화 하고 언어 발달을 위한 재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정상적인 언어 생활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충분한 통계가 없지만 미국의 경우 정상 신생아의 1,000명당 2-7명이 선천성 영구적 난청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2세 이전에 난청이 발견되어 치료하지 않는다면 언어발달의 중요한 시기를 놓치게 되어 행동장애나 학습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 연구는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를 통해 신생아 난청의 빈도를 파악하여 신생아 청력검사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한다. 방 법 : 2003년 5월 20일부터 2004년 5월 19일까지 좋은문화 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2,755명 중 부모의 동의를 얻은 1,718명을 대상으로 생후 1개월 이내 내간유발반응검사(AABR. ALGO-3)를 이용하여 35 dB의 소리를 주어 시행하였다. 난청의 위험요소가 있는 군과 위험요소가 없는 군으로 구분하였고 1차 청력검사에서 통과된 경우 'pass'군 통과되지 않는 경우 'refer'군으로 하였다. 생후 1개월내 청력검사에서 'pass'되지 않았으면 1개월 뒤에 재검사를 받도록 하였고 재검사에서 'refer'가 나온 경우 난청 클리닉에 의뢰하여 난청을 확진하였다. 결 과 : 총 1,718명 중 'pass'군과 'refer'군 사이의 분만형태 출생체중 재태연령에는 차이가 없었다. 1차 검사에서 'refer'가 나온 경우는 총 45명(2.6%)이었으며 이중 35명이 재검사를 받았으며 10명은 재검사를 거절하였다. 재검사한 35명 중 6명(17.0%)이 재검사를 통과하지 못하였고 모두 선천성 난청으로 진단되었다. 이는 전체 검사자 1,718명의 0.35%(1,000명당 3.5명) 해당되었다. 'refer'군에서 한 가지 이상 위험요소가 동반되는 경우는 45명 중 10명(22.2%) 'pass'군에서 위험요소가 있는 경우는 1,673명 중 263명(15.7%)으로, 위험 요소가 있으면서 'refer'가 나온 군이 위험요소가 없으면서 'refer'가 나온 군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신생아기의 난청의 빈도가 1,000명 당 3.5명으로 외국 통계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선천성 대사질환보다 월등히 빈도가 높으며, 태어나는 신생아에서 반드시 신생아 청력선별검사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호흡기능장애와 관련된 간호진단의 타당도 조사 (Validity of Nursing Diagnoses Related to Difficulty in Respiratory Function)

  • 김조자;이원희;유지수;허혜경;김창희;홍성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69-584
    • /
    • 1993
  • This study was done to verify validity of nursing diagnoses related to difficulty in respiratory function. First, content validity was examined by an expert group considering the etiology and the signs / symptoms of three nursing diagnoses -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impaired gas exchange. Second, clinical validity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frequencies of the etiologies and signs / symptoms of the three nursing diagnoses in clinical case studies with the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23 experts (professors, head nurses and clinical instructors) who had had a variety of experiences using nursing diagnoses in clinical practice, and 102 case reports done by senior student nurses of the college of nursing of Y-university. These reports were part of their clinical practice in the ICU.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a checklist for etiologies and signs and symptoms based on the literature, Doenges and Moorhouse (1988), Kim, McFarland, McLane (1991), Lee Won Hee et al. (1987), Kim Cho Ja et at. (1988). The data was collected over four month period from May 1992 to Aug. 1992.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done with the SPSS / PC+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t Group A bachelor degree was held by 43.5% and a master or doctoral degree by 56.5% of the expert group. The average age of the expert group was 35.3 years. Their average clinical experience was 9.3 years and their average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was 5.9 year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showed that there were more women than men, that the age range was from 1 to over 80. Most of their medical diagnoses were diagnoses related to the respiratory. system, circulation or neurologic system, and 50% or more of them had a ventilator with intubation or a tracheostomy. The number of cases for each nursing diagnoses was : ·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92 cases. ·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18 cases. · Impaired gas exchange, 22 cases. 2. The opinion of the expert group as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etiology, and signs and symptoms of the three nursing diagnoses was as follows : · In 31.8% of the cases the classification of etiology was clear. · In 22.7%, the classification of signs and symptoms was clear. · In 17.4%, the classification of nursing interventions was clear. 3. In the expert group 80% or mere agreed to ‘dysp-nea’as a common sign and symptom of the three nursing diagnoses. The distinguishing signs and symptoms of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were ‘sputum’, ‘cough’, ‘abnormal respiratory sounds : rales’. The distinguishing sings and symptoms of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were ‘tachypnea’, ‘use of accessory muscle of respiration’, ‘orthopnea’ and for (Impaired gas exchange) it was ‘abnormal arterial blood gas’, 4. The distribution of etiology, and signs and symptoms of the three nursing diagnoses was as follows : · There was a high frequency of ‘increased secretion from the bronchus and trachea’ in both the expert group and the case reports as the etiology of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 For the etiologies for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rain’, ‘anxiety’, ‘fear’, ‘obstructions of the tract, ca and bronchus’ had a high ratio in the ex-pert group and ‘decreased expansion of lung’ in the case reports. · For the etiologies for impaired gas exchanges, ‘altered oxygen -carrying capacity of the blood’ and ‘excess accumulation of interstitial fluid in lung’ had a high ratio in the expert group and ‘altered oxygen supply’ in the case reports. · For signs and symptoms for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dyspnea’, ‘altered amount and character of sputum’ were included by 100% of the expert group. ‘Abnormal respiratory. sound(rate, rhonchi)’ were included by a high ratio of the expert group. · For the signs and symptoms for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dyspnea’, ‘shortness of breath’ were included by 100% of the expert group. In the case reports, ‘dyspnea’ and ‘tachypnea’ were reported as signs and symptoms. · For the sign and symptoms for impaired gas exchange, ‘hypoxia’ and ‘cyanosis’ had a high ratio in the expert group. In the case report, ‘hypercapnia’, ‘hypoxia’ and ‘inability to remove secretions’ were reported as signs and symptoms. In summary, the similarity of the etiologies and signs and symptoms of the three nursing diagnoses related to difficulty in respiratory function makes it difficult to distinguish among them But the clinical validity of three nursing diagnoses was established through this study, and at last one sign and symp-tom was defined for each diagnosis.

  • PDF

중학생의 인터넷음란물 접속과 성 의식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ccess to Lewd Internet Contents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Awareness of Sex)

  • 임종인;최인숙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4권
    • /
    • pp.117-13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presenting logical viability for the measures that curtail access to lewd Internet contents by middle school students amidst the reality in which lewd contents are circulated freely through the Internet, a medium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find most easy to access. In order to establish right form of awareness towards sex,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ways they access the lewd Internet contents, their reaction after the exposure to those contents, their knowledge of sex, their concerns regarding sex and their accessibility to sexual activities in order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wd Internet contents and their awareness of sex. First, realities of accessing lewd Internet contents and reaction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is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accessing lewd Internet contents in terms of gender. Mostly, male students tend to access the contents more. As for the way they access the lewd Internet contents,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eplied that they access through spam mail of lewd nature. Thus, measures to address this problem are needed urgently. As to when they first accessed the lewd contents,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replied that they accessed either in elementary school period or in the early middle school period. This shows that most of the students got exposed to lewd contents even before they could establish positive, correct awareness of sex. Thus, there is a risk that they may formulate wrong kind of sexual awarenes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s through focused sex education. Studen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ime they spend on the contents averagely: those who spend over one hour and those who spend less than an hour on the lewd contents. If the students spending longer hours are not to be checked and properly guided, it may lead to increasing cases of sexual delinquencies due to their wrongly formed awareness of sex. When the question of existence(non-existence) of guardian was addressed, students with both parents tend to access the lewd Internet contents in a more diverse manner and tend to access more compared to those students from single parent or no-parent families. Accordingly, guardians need to pay attention to how their children are using the Internet. Second, awareness of sex depending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demographics In case of sexual knowledge, middle school students shows relatively high level of knowledge. In particular, female students are found more knowledgeable than male students, and the students in upper years are more knowledgeable as well. As a result, this research recommends that the students in lower years should be guided with more basc and detailed information, while those in upper years need to be taught to form and express their own thoughts and attitudes and to build up independence on this matter. In case of worries about sex,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don't worry too much about it. However, male students are more concerned about sex than female students in a more diverse ways. As for the differences by academic year, concerns for sex increase, as students get older. Accordingly, sex education that helps establish sound perception of the opposite sex and that focuses on the etiquettes that one must adhere to at the presence of the opposite sex need to be conducted against middle school students. In case of accessibility to sex, male students manifest higher tendency than female students. As for the differences by academic year, those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show higher accessibility than those in their third year. In general, younger students tend to be more open-minded toward sex. Accordingly, students in lower academic years need to undergo basic knowledge oriented sex education, whereas those in upper academic years need to undergo discussion centered sex education where they subject to questions regarding their attitude and opinion. Third, relationship between the reactions after the exposure to the lewd Internet contents and their awareness of sex As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lewd Internet contents increases, awareness of sex increases as well. Thus, the lewd Internet contents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students' concern for sex as well as increase in accessibility to sex, which eventually become barriers to students' establishment of a healthy perception of sex. Reactions to sex after the exposure to lewd Internet contents and awareness of sex indicate a significant correlation. However, negative correlation is manifested with knowledge of sex. Thus,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greater access to lewd Internet contents does not necessarily translate into increase in knowledge of sex. However, the study showe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concerns for sex and the level of accessibility to sex. In more detail, the more reactions to the contents they show, the more concerns for sex they have and the more positively they take acceptability to sex.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cessary measures since textbooks today do not include measures needed to address the lewd Internet contents. Given the abov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complement structural measures in order to prevent easy access of lewd Internet contents by middle school student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be considerate of the students so that they themselves can form a healthy Internet culture and grow up within positive framework for the sex education.

  • PDF

2020년도 1학기와 2021년도 1학기 원격수업에 대한 중간 강의평가 비교: 대구지역 D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Comparison of the Mid-term Evaluation of Distance Lectures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0 and the First Semester of 2021: Targeting D Colleges in the Daegu Area)

  • 박정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75-681
    • /
    • 2021
  • 최근 교육부는 원격수업 교과목에 대한 학생 강의평가를 학기당 2회 이상 실시하여야 하며, 그 결과를 학생에게 공개하여야 한다고 원격수업 운영규정에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D 전문대학을 그 대상으로 강의 평가를 2020년도 1학기와 2021년도 1학기와 비교하였다. 원격수업 중간강의 객관식 평가 결과, 전체 평균은 2020년도 1학기 원격수업 중간강의 평가 전체 점수가 4.1819에서 2021년도 1학기 중간강의 평가 점수는 4.4000으로 증가하여 나타났다. 2020년도 1학기의 경우 코로나 19로 인하여 전면 비대면 수업이었으나, 2021학년도 1학기의 경우 대면 수업이 증가하였다. 2020년도 1학기에는 전반적인 만족도가 4.18점에서 2021년도 1학기에는 4.39점으로 상승하였다. 상위권 3%와 하위권 3%의 화면구성, 음향 및 화질, 재생시간, 얼굴출현, 강의자료제공, 활용빈도도 상승하였다. 우려했던 LMS 교체로 인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출석률, 과제, 시험 제출률도 전 연도에 비해 상승하였다. 2020년도 1학기 원격수업 중간강의 평가와 2021년도 1학기 원격수업 중간강의 평가 대응표본 검정결과, Best 3% 이내의 경우 유의확률이 0.000으로서 0.05 미만이므로 ' 두 점수의 차이가 같다.'는 귀무가설이 기각되어 2020년도 1학기에 비해 2021학년도 Best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Worst 3% 이내의 경우 유의확률이 0.000으로서 0.05 미만이므로 '두 점수의 차이가 같다'는 귀무가설이 기각되어 2020년도 1학기에 비해 2021학년도 Worst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경계면 강조 마스크를 이용한 초음파 영상 화질 비교 (Comparison of Ultrasound Image Quality using Edge Enhancement Mask)

  • 손정민;이준행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57-165
    • /
    • 2023
  • 초음파 영상(ultrasound imaging)이란 주파수의 음파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조직의 경계에서 반사, 흡수, 굴절, 투과 등의 물리적인 작용을 일으킨다. 초음파 장비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 특성상의 잡음이 많고, 실제로 관찰하고자 하는 조직의 경계가 모호해서 형태의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하다. 영상 화질의 감소로 인하여 경계면이 뭉쳐 보이는 경우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윤곽선(edge) 강조 방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경계면을 강화시키는 방법으로 언샤프닝 마스크와 하이부스트를 이용하여 각 영상에서 고주파 부분인 경계면을 강화시켜 화질 향상을 확인하였으며 원 영상과 화질이 향상된 영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MSE, RMSE, PSNR, SNR 등으로 측정하여 각 영상에 사용한 마스크 필터링을 평가했다. 필립스의 epiq 5 g , affiniti 70 g와 알피니언의 E-cube 15 초음파 장비로부터 복부, 머리, 심장, 간, 신장, 유방, 태아 영상을 획득하였다. 알고리즘 구현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MathWorks의 MATLAB R2022a으로 구현하였다. 언샤프닝과 하이부스트 마스크 배열 크기는 3×3으로 설정하였으며 윤곽선 강조 영상을 만들 때 사용하는 공간필터인 라플라시안(laplacian) 필터를 두 마스크 모두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화질 정량 평가는 ImageJ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다양한 초음파 영상에서 마스크 필터를 적용한 결과 주관적인 화질은 원 영상에서 언샤프닝과 하이부스트 마스크를 적용하였을 경우 영상의 전반적인 윤각선이 뚜렷하게 보였으며 또한 하이부스트 마스크에서는 언샤프닝 마스크 영상보다 밝은 명암비를 보여주었다. 정량적인 영상의 품질 비교 시 원 영상보다 언샤프닝 마스크와 하이부스트 마스크를 적용한 영상의 화질이 높게 평가되었다. 간문맥, 머리, 쓸개, 신장의 영상에서는 하이부스트 마스크를 적용한 영상의 SNR, PSNR, RMSE, MAE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심장, 유방, 태아 영상은 반대로 언샤프닝 마스크 적용 영상이 SNR, PSNR, RMSE, MAE 값이 높은 값으로 측정되었다. 영상에 따라 최적의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영상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각 부위의 초음파 영상의 윤곽 정보를 제공하여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켰다.

백로번식지 주변 개발사업의 환경영향평가시 중점평가항목 선정 및 평가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Major Evaluation Items and the Preparation of Report when Evaluat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Development Projects around Ardeidae Breeding Habitats)

  • 임혜령;김선구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1호
    • /
    • pp.1-14
    • /
    • 2023
  • 백로번식지 주변 개발사업을 진행할 때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갈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중점평가항목 선정과 저감방안을 제시하여 지속가능한 공존의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중점평가항목으로 백로번식지 보전을 위한 동·식물상 항목, 백로번식지로 인한 악취와 소음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악취와 소음 항목을 선정한다. 평가항목의 평가방안은 첫째, 동·식물상 항목에서 조사범위는 법정보호종 위주로 국한하지 말고 주요 종 번식지와 철새도래지에 해당하는 백로번식지와 취식지까지 포함하여 조사하고, 번식지와 취식지 면적감소에 따른 보전방안을 세운다. 둘째, 악취 항목에서 조사시기는 6월말에서 7월말까지 악취발생량이 최고인 시점을 포함한다. 악취 평가기준은 농도규제인 복합악취 배출허용기준과 사람이 느끼는 악취농도는 2~5OU/m3, 빈도는 2% 이하로 한다. 셋째, 소음 항목에서 조사시기는 백로류와 어린 새들의 소리가 합해져서 소음 발생이 최대가 되는 시점을 포함하여 5월부터 8월까지 매달 소음을 측정한다. 여름철새인 백로류의 소음은 일정 기간에만 발생하기 때문에 방음벽 설치 등 인공적인 구조물 설치로 소음을 저감하기 보다는 이격거리확보, 완충녹지, 마운딩 조성 등의 방법으로 저감대책을 세운다. 기존 백로번식지가 개체군의 적정한 밀도를 유지하면서 개체군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기 위해서는 영소목 관리와 취식지의 양과 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주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