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rption Capacity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4초

동시당화 및 추출발효에 의한 Lactic Acid 생산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Extractive Fermentation for Lactic Acid Production)

  • 공창범;우창호;최실호;윤현희
    • KSBB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212-219
    • /
    • 1999
  • 섬유성바이오매스로부터 lactic acid를 생산하기 위한 동시당화 및 추출발효공정의 성능과 조업특성을 조사하였다. 섬유소 가수분해효소 Cytolase CL과 lactic acid 발효군주 L. delbruecku를 사용한 동시당화발효(SSF)에서 생성물인 lactic acid의 저해작용이 심각하였다. SSF 도중 lactic acid의 제거를 위하여 선정한 IRA-400 수지의 lactic acid 흡착성능은 200mg/g dry resin 이었다 Lactic acid 제거의 효과는 초기 기질(cellulose)의 농도에 따라 Lactic acid 제거의 효과는 초기 기질(cellulose)의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기질의 농도가 50g/L인 경우 단순 SSF의 반응시간 72시간에서 lactic acid의 농도가 304g/L이었고, 이온교환수지를 첨가한 SSF에서는 32.0g/L이었다. 반면에, 모사실험 결과, 초기 기질사용량이 100g/L 인 경우에는 수지첨가에 의한 lactic acid 제거시 lactic acid 생산수율이 약 60%에서 90%이상까지 증가된다. SSF의 각 반응식에서 pH의 의존성을 조사하여 실험식으로 표현하였다. pH에 따라 lactic aic의 생산량이 크게 변화하였으며, pH 4.5-5.0에서 최대의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 PDF

비증발형 게터의 활성화 온도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asurement of activation temperature of Non-Evaporable Getter)

  • 이동진;김광범;인상렬;임종연;김원백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
    • /
    • 2005
  • 비증발형 게터용 금속이나 합금의 표면은 대기중에서 얇은 산화층등으로 덮여있다. 이들이 제품 내에서 게터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진공이나 불활성 분위 내에서 가열하여 표면 산화층을 제거하는 활성화공정이 필요하며 활성화온도는 장착 제품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게터의 기본적인 특성은 활성화 및 각종가스에 대한 흡수능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중 게터의 흡수능에 대해서는 ASTM등에서 규정하고 있으나 활성화온도에 대해서는 아직 표준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에 따른 도달압력 측정에 의해 게터의 활성화온도를 결정하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방법으로 측정한 TiZrV 합금의 활성화온도가 100℃~200℃ 범위에 있다.

Heavy Metals Biosorption from Aqueous Solution by Endophytic Drechslera hawaiiensis of Morus alba L. Derived from Heavy Metals Habitats

  • El-Gendy, Mervat Morsy Abbas Ahmed;Hassanein, Naziha M.;El-Hay Ibrahim, Hussein Abd;El-Baky, Doaa H. Abd
    • Mycobiology
    • /
    • 제45권2호
    • /
    • pp.73-83
    • /
    • 2017
  • The ability of dead cells of endophytic Drechslera hawaiiensis of Morus alba L. grown in heavy metals habitats for bioremoval of cadmium ($Cd^{2+}$), copper ($Cu^{2+}$), and lead ($Pb^{2+}$) in aqueous solution was evalua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Whereas the highest extent of $Cd^{2+}$ and $Cu^{2+}$ removal and uptake occurred at pH 8 as well as $Pb^{2+}$ occurred at neutral pH (6-7) after equilibrium time 10 min. Initial concentration 30 mg/L of $Cd^{+2}$ for 10 min contact time and 50 to 90 mg/L of $Pb^{2+}$ and $Cu^{2+}$ supported the highest biosorption after optimal contact time of 30 min achieved with biomass dose equal to 5 mg of dried died biomass of D. hawaiiensis. The maximum removal of $Cd^{2+}$, $Cu^{2+}$, and $Pb^{2+}$ equal to 100%, 100%, and 99.6% with uptake capacity estimated to be 0.28, 2.33, and 9.63 mg/g from real industrial wastewater, respectively were achieved within 3 hr contact time at pH 7.0, 7.0, and 6.0, respectively by using the dead biomass of D. hawaiiensis compared to 94.7%, 98%, and 99.26% removal with uptake equal to 0.264, 2.3, and 9.58 mg/g of $Cd^{2+}$, $Cu^{2+}$, and $Pb^{2+}$, respectively with the living cells of the strain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biosorbent was analyzed by Fourier Transformer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alysis to identify the various functional groups contributing in the sorption process. From FT-IR spectra analysis, hydroxyl and amides were the major functional groups contributed in biosorption process. It was concluded that endophytic D. hawaiiensis biomass can be used potentially as biosorbent for removing $Cd^{2+}$, $Cu^{2+}$, and $Pb^{2+}$ in aqueous solutions.

여러가지 보습제가 조미오징어 평형수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arious Humectants on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and Storage Stability of Seasoned Squid)

  • 이철;강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04-710
    • /
    • 1988
  • 본 실험은 여러 가지 보습제 및 방부제(Sodium lactate, Glycerol, Propylene glycol, sorbitol, Mannitol, Sodium benzoate, Potassium sorbate 및 Calcium propionate)처리를 한 중간수분식품 모델의 보수력을 등온흡습 곡선으로 처리하였다. 중간수분식품의 모델은 오징어를 재료로 사용하였고, 제조된 모델식품의 저장성도 검토하였다. 저장요인으로서는 지질산패, 색깔변화 및 곰팡이 번식을 관찰하였다. 보습제의 보수력은 mannitol

  • PDF

해수에서 6가 크롬 제거를 위한 흡착제로서의 산처리 적니 적용성 검토 (Applicability Assessment of Acid Treated Red Mud as Adsorbent Material for Removal of Six-valent Chromium from Seawater)

  • 강구;엄병환;김영기;박성직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5호
    • /
    • pp.17-23
    • /
    • 2013
  • Six-valent chromium ($Cr^{6+}$) is a highly toxic pollutant, supplied in a variety of industrial activities such as leather tanning, cooling tower blowdown, and plating. Herein, we investigated the removal of $Cr^{6+}$ from aqueous phase using low-cost adsorbents. Steel slag, montmorillonite, illite, kaolinite, red mud, and acid treated red mud with 0.5, 1.0, and 2.0 M HCl were used as adsorbent for the removal of $Cr^{6+}$ and the results showed that acid treated red mud with 2.0 M HCl (ATRM-2.0 M) had higher adsorption capacity of $Cr^{6+}$ than other adsorbents used. Accordingly, $Cr^{6+}$ removal by ATRM-2.0 M were studied in a batch system with respect to changes in initial concentration of $Cr^{6+}$, initial solution pH, adsorbent dose, adsorbent mixture, and seawater. Equilibrium sorption data were described well by Freundlich isotherm model. The influence of initial solution pH on $Cr^{6+}$ adsorption was insignificant. The use of the ATRM-2.0 M alone was more effective than mixing it with other adsorbents including red mud, zeolite, oyster shell, lime stone, and montmorillonite for the removal of $Cr^{6+}$. The $Cr^{6+}$ removal of the ATRM-2.0 M was slightly less in seawater than deionized water, resulting from the presence of anions in seawater competing for the favorable adsorption site on the surface of ATRM-2.0 M. It was concluded that the ATRM-2.0 M can be used as a potential adsorbent for the removal of $Cr^{6+}$ from the aqueous solutions.

식품 보관 용기로서 옹기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Korean Earthenware (Onggi) as Food Container)

  • 서경희;송봉수;안덕순;정순경;이동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7-90
    • /
    • 2006
  • 식품 보관 용기로서 옹기의 기능성을 설명하려는 하나의 시도로서 옹기의 열특성과 수분 흡착 및 기체 흡착 특성을 측정하였다. 옹기의 열전도도와 열확산도는 기공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비열은 기공율보다는 구성 흙의 조성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옹기의 열차단성은 유리와 비슷하였으며, 금속포장재보다는 높은 열차단성을 가지나, 종이 및 플라스틱보다는 낮은 열적 차단성을 가졌다. 옹기는 상대습도 90% 기준에서 원료 흙에 관계없이 약 0.0005 g/g 건물 기준의 수분을 흡착할 수 있었으며, 약간의 $CO_2$ 및 에틸렌 가스를 흡착할 수 있었다 ($CO_2$$17{\mu}g/g$, 에틸렌 가스 약 $2.6{\mu}g/g$). 옹기의 열특성과 기체 흡착특성은 식품보관에 이용될 수 있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압축된 칼슘벤토나이트 블록의 침식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rosion of a Compacted Calcium Bentonite Block)

  • 백민훈;조원진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341-348
    • /
    • 2005
  • 벤토나이트는 낮은 침투성, 높은 수착성, 자체밀봉특성, 내구성 등으로 인해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을 위한 지하처분장에서 완충재 후보물질로 고려되고 있다. 적절한 처분장 조건에서 국내 Ca-벤토나이트에 대하여 지하수 침식에 의한 벤토나이트 입자의 발생 가능성과 발생된 벤토나이트 입자들의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비록 벤토나이트의 팽윤압에 의한 암반 균열로의 벤토나이트의 침투는 적었지만 벤토나이트/화강암 경계에서 벤토나이트 입자가 발생될 수 있고 지하수 흐름에 의해 유동될 수 있음을 보였다. 압축된 벤토나이트 블록으로부터 이러한 벤토나이트 입자들의 유동화에는 각기 다른 과정들이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량이 크면 클수록, 유출되는 벤토나이트 입자들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결과는 지하수 흐름에 의한 벤토나이트 표면의 침식은 침투과정과 함께 화강암 균열에서의 벤토나이트 입자들을 유동시키는 주요한 과정임을 보여준다.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porous NaOH-activated carbons from hydrofluoric acid leached rice husk and its application for lead(II) adsorption

  • Hassan, A.F.;Youssef, A.M.
    • Carbon letters
    • /
    • 제15권1호
    • /
    • pp.57-66
    • /
    • 2014
  • Three activated carbons (ACs) were prepared using NaOH (N) as an activating agent. Hydrofluoric acid pre-leached rice husk was used as a precursor. After leaching, the precursor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dried, crushed, and then sieved; a size fraction of 0.3-0.5 mm was selected for carbonization in the absence of air at $600^{\circ}C$. The carbonization product (LC) was mixed with NaOH at ratios of 1:2, 1:3, and 1:4 (wt of LC: wt of NaOH) and the produced ACs after activation at $800^{\circ}C$ were designated NLC21, NLC31, and NLC41, respectively. Surface and textur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using nitrogen adsorption at $-196^{\circ}C$,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s,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a. These ACs were used as adsorbents for lead(II) from aqueous solutions. The effects of the textural properties and the chemistry of the carbon surfaces were investigated and the impact of the operation conditions on the capacity for lead(II) sorption was also considered. Modification of NLC41 with $H_2O_2$ and $HNO_3$ gave two other adsorbents, $H_{NLC41}$ and $N_{NLC41}$ respectively. These two new samples exhibited the highest removal capacities for lead(II), i.e.117.5 and 128.2 mg/g, respectively. The adsorption data fitted the Langmuir isotherm and the kinetic adsorption followed pseudo-second order kinetics. The thermodynamic parameters have been determined and they indicated a spontaneous endothermic process.

Studies on the Sorption and Fixation of Cesium by Vermiculite (II)

  • Lee, Sang-Ho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97-111
    • /
    • 1974
  • 천연 점토 광물질의 ion교환능은 비교적 낮지만, 여러가지 황성화법에 의하여 교환능의 개설이 기대된다. 본 연구에 있어서는 점토 광물질 중에서도 교환 흡착능이 비교적 큰 vermiculite를 사용하여 저준위 방사성 액체 폐기물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인 이용 방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vermiculite의 이온교환 기능에 관한 기초 연구를 실험하였다. Cs 이온의 교환능 및 분배계수는 Cs-l37의 방사능도를 Scintillation counter로 측정하였고, 천연 및 활성화된 vermiculite에 대한 특성은 X-ray회절과 전자회절에 의한 분석 및 열시차 분석과 아울러 전자 현미경에 의한 검사에 의거 해석하였다. Na-vermiculite에 의한 Cs이온의 교환 및 흡착에 있어서는 결정격자의 C-axis spacing의 수축을 초래하게 되고, Cs이온의 교환능은 주로 C-axis spacing의 크기에 좌우된다고 본다. Na-vermiculite에 의한 Cs이온의 교환 및 흡착 연구를 수행함으로서 저준위 방사성 핵종의 처리 분만 아니라, 고 방사성 폐액 저장 tank의 외각 충진 물질로서 Cs-137과 같이 반감기가 긴 핵종의 leakage로 인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서도 적합하다.

  • PDF

저장 중 수분활성이 고구마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Activit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weet Potato Starch during Storage)

  • 백만희;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32-536
    • /
    • 1995
  • 저장 중에 수분활성이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분활성도(0.32, 0.48, 0.75, 0.89)로 조절된 데시케이터에 고구마 전분을 넣고 $40^{\circ}C$ 항온기에서 5, 15, 30일간 저장한 다음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입자의 모양이나 형태는 변화가 없었고, 결정형은 Ca형으로 변하지 않았다. 수분활성이 높을수록,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과 물결합능력은 증가하였고, 요오드 친화력과 $80^{\circ}C$에서의 팽윤력은 감소하였다.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호화 양상은 저장 15일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저장 30일에는 수분활성이 높을수록 $50^{\circ}C$ 냉각점도, consistency와 setback이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