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rghum hybrid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7초

논에서 배수조건에 따른 수수류 품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 비교 (Effect of Different Drained Conditions on Growth,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Sorghum, Sorghum × Sudangrass and Sudangrass Hybrids at Paddy Field)

  • 지희정;조중호;주정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126
    • /
    • 2011
  • 본 시험은 논에서 배수조건에 따라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수수류를 논 재배하여 생육 특성과 수량에서 우수한 품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충남 아산과 천안농가 포장에서 수행하였다. 비출수형 2품종과 출수형 4 품종 등 총 6 품종을 시험한 결과 불량한 논에 재배하였을 경우에는 배수 양호한 논에 재배시의 66.4%로 건물수량이 감소하였고, 배수가 불량한 논에서는 SS405 품종이 습해에 비교적 강하고 줄기가 굵으며 건물수량이 ha 당 12.9톤으로 최고의 수량을 보였으며 소르단 79 품종은 배수 양호한 논에서 재배한 성적에 비해 배수가 불량한 논에 재배시에 공시 품종 중에서 수량 감소가 가장 컸으며, 수량 감소가 가장 작은 품종은 점보로 약 2 톤 정도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사료가치는 ADF, NDF, CP 등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SS405 품종은 배수 불량한 논에 재배시에만 조단백질이 1.1% 증가 하였고 다른 특성들간에 차이는 없었다.

P012 Introduce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s and quality of sorghum × sudangrass hybrids 'Cadan 99B' and 'Sweet Sioux WMR' in middle and south region of Korea

  • Hwang, Tae-Young;Chung, Hee;Kim, Ki-Yong;Lee, Ki-Won;Lee, Sang-Hoon;Park, Hyung Su;Choi, Gi J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78-78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troduce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s and quality of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s 'Cadan 99B' and 'Sweet Sioux WMR' from 2015 to 2016 in middle and southern regions of Korea. The field experiment design was randomized compete block in seven varieties with three repetitions.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s were sown in mid-May in middle region, and end-May in southern region of Korea, 2015 and 2016. And, the first harvests were from the end of July to the beginning of August, and the second harvests were from the end of September to the beginning of October in middle and southern regions of Korea. The observed average heading date of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s Cadan 99B and Sweet Sioux WMR were July 22. The heading date of Cadan 99B and Sweet Sioux WMR were 8 days earlier than heading control variety SX-17 and 5 days earlier than BMR control Revolution. The sugar contents of Candan 99B and Sweet Sioux WMR were 6.5 and $6.9Brix^{\circ}$, respectively. Comparison with brown mid-rid (BMR) variety, the sugar contents of Cadan 99B and Sweet Sioux WMR were 0.2 and $0.6Brix^{\circ}$ higher than Revolution, respectively. The average of dry matter (DM) yield for 2 years and 2 regions of Cadan 99B (24,587kg/ha) was the highest among the seven varieti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ther varieties except headless control variety Jumbo (19,119kg/ha) and test variety LATTE (20,778kg/ha) (p>0.05). The crude protein (CP)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of Cadan 99B were 7.5% and 60.2%, and Sweet Sioux WMR were 6.9% and 60.7%,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s Cadan 99B and Sweet Sioux WMR were recommended that earlier heading date than other varieties, suitable for silage because of high sugar contents, and high yields of DM in middle and southern regions of Korea.

  • PDF

남부지역 논에서 수수류 품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 비교 (Growth,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Sorghum, Sorghum × Sudangrass and Sudangrass Hybrids at Paddy Field in Southern Region of Korea)

  • 지희정;이상훈;윤세형;권오도;최기준;김원호;김기용;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9-114
    • /
    • 2010
  • 본 시험은 논에서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수수류를 논 재배하여 생육특성과 수량에서 우수한 품종을 선발할 목적으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논포장에서 수행하였다. 도입품종인 수수류 6품종 중에서 'SX17'는 습해에 비교적 강하고 특히 2차 재생이 잘되며 당도가 높고 병해 강한 생육특성을 보였고 수량 측면에서도 생초수량이 ha당 89,192 kg, 건물수량이 21,038 kg으로 가장 우수한 품종이었다. 다음으로 유망한 품종은 '소르단 79'와 'Revolution'으로 건물수량이 ha 당 20톤 이상으로 사일리지용으로 적합한 품종이었고, G7 품종은 습해에 강하고 청예수량이 많기 때문에 청예를 목적으로 할 경우에 적합한 품종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남부지역에서 벼 대체 사료작물인 수수류를 논에 재배 할때는 배수가 양호한 논의 선정이 중요하고 수수류 품종 중에서는 'SX17' 품종을 재배하는 것이 적응성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청예용 수수류 일대 잡종의 생육 및 건물수량에 대한 잡종강세 (Heterosis of Growth Characters and Biomass Production in Interspecific Hybrid of Forage Sorghum)

  • 강정훈;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40-649
    • /
    • 1996
  • 수수류 청예용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청예용 수수X단수수, 수수X수단그래스 및 (수수X단수수)X수단그래스 교잡군의 생육 및 건물수량에 대한 잡종강세 정도를 검토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생육관련형질에 대한 F$_1$의 잡종강세에서 단수 수교잡군에서는 상중과 엽중이, 수단그래스 교잡 군에서는 체중이, 3원교잡군에서는 엽면적의 잡종강세가 크게 나타났으며, 단수수교잡군은 초고 및 간의 직경이 켰고, 수단그래스교잡군은 개체당 분얼수가 많았다. 2. 총건물수량에 대한 F$_1$의 잡종강세에서 단수수 및 수단그래스교잡군에서는 각각 평균 He-terobeltiosis 45.9%와 95.0%의 잡종강세를 보였으나, 3원교잡군에서는 우수친보다 낮았으며, 교잡군별로는 단수수교잡군이 수단그래스교잡군보다 건물수량이 다소 높았다. 3. 건물수량에서 양친과 잡종의 상호관계는 단수수교잡군에서는 잡종강세는 양친의 수량과는 무관하였으나 잡종의 수량은 양친의 수량이 높을수록 높아졌고, 수단그래스교잡군에서는 잡종강세는 양친의 수량과는 부의 상관이었으나 잡종의 수량은 양친과는 무관하였으며, 3원 교잡군에서는 잡종강세 및 잡종수량이 양친의 수량과는 관계가 없었다.

  • PDF

수확기에 따른 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사료생산성 (Forage Productivity of Two Sorghum and a Sorghum-Sudangrass Hybrids harvest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이석순;최상집;김태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1-128
    • /
    • 1991
  • 샤일리지용 수수와 청예용 수수-수만그라스 교잡 종의 사료생산에 안맞은 수확기를 안기 위하여 수수 2품종(p 931, P 956)과 수수 수단그라스 교잡종 1 품종(P 988)을 재배하여, 수수는 출수기부터 1주일 간격으로 6회 수확하였고 재생한 것은 10월 13일에 모두 수확하였다 수수-수단그라스는 출수 1주전부 터 1주후까지 6회 수확하였고, 재생한 것은 2차 혹은 3차 수확하여 수화시기가 사료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수의 1차 수확과 수수-수단그라스 1,2차 수확의 건물비율은 수확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수수의 2차 수확은 생육기간이 충분하지 않아 1차 수화가가 빠를수록 건물비율이 높았다. 2. 1자 수확에서 수수는 수확기가 늦을수록 잎몸과 줄기+옆집의 구성비율은 감소하나 이삭비율은 증가 하였고 수수 P 956이 P 931 보다 이삭비율의 증가율은 컸으나 줄기+잎집 비율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수수-수단그라스는 수획기가 늦을수록 잎몸비율은 감소하고 줄기+잎집 비율은 증가하였다 3 .수수의 l차 수확에서는 수확기가 늦을수록 조단백질, 조섬유 함량은 감소하였고, 가용성 무질소물 은 증가하였으며, 조지방과 조회분은 비슷하였다. 그러나 2차 수확은 1차 수확기가 빠를수록 조단백질과 조회분 함량은 다소 감소하였고, 가용성 무질소물은 증가하였으며, 조지방, 조섬유 함량은 비슷하였다. 수수-수단그라스는 수확기가 늦을수록 1차 수확의 조단백질은 감소하였고, 1차 수확의 조섬유와 1,2차 수확의 가용성 무질소물은 증가하였으며, 나머지는 수확기간에 차이가 없었다. 4 수수의 1차 수확에서는 출수기에서 출수 3주 후까지 건물수량이 증가하였으나 재생수량을 합한 총 건물수량은 수확기간에 차이가 없었다 수수-수단그라스는 수확가가 늦을수록 1차 수확과 1, 2, 3차 수확을 합한 총 건물수량이 증가하였다.

  • PDF

수수 · 수단그라스 사일리지 제조에 있어 BMR 품종과 파옥쇄 첨가 효과 (Effects of BMR Variety and Corn Grain (Grounded) Supplement on Silage Quality of Sorghum × Sudan Hybrids)

  • 권찬호;김은중;조상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40-246
    • /
    • 2014
  • 유기 축산을 위한 여름철 사료작물인 수수 수단그라스교잡종은 생산성이 높고, 잡초발생이 미미하며, 병충해에 의한 피해도 작아서 무농약 재배에 적합하다. 그러나 수수 수단그라스 교잡종은 당 함량이 부족하고, 수분 함량이 높아서 낙산발효로 인해 사일리지 품질에 문제가 있다. 최근 육성된 BMR (Brown Mid Rib) 품종은 줄기 내 당도가 높게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시험은 기존의 수수 수단교잡종과 BMR 수수 수단교잡종을 재배하여 사일리지로 제조하고, 수분 조절 및 영양소 보충을 위해 파옥쇄를 첨가하여 사일리지의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수수 수단교잡종과 BMR 수수 수단교잡종 사이에 생육특성 및 생산성은 차이가 없었으나 줄기내 당 함량은 BMR 품종이 약 $2B^{\circ}$ 정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유기산 중 lactic acid의 비율은 대조구(SX17품종)의 78.5%에 비해 BMR 품종은 82.8%로 유의적으로(p<0.05)에 높았고, butyric acid의 비율은 대조구(SX17품종)의 18.5%에 비해 BMR 품종은 9.8%로 유의적으로(p<0.05)에 낮아서 BMR 품종을 사용할 경우 품질이 크게 개선되었다. 파옥쇄 첨가시 첨가수준간에는 NDF 및 ADF 함량은 대조구(SX17) 품종과 BMR 품종(Diamond BMR)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TDN 함량 역시 대조구(SX17) 품종의 56.2와 BMR 품종(Diamond BMR)의 57.1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파옥쇄 첨가시에는 대조구(SX17) 품종과 BMR 품종(Diamond BMR) 모두에서 파옥쇄의 첨가수준에 따라 TDN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가축분 시용조건에서 4종 수수 X 수단그라 교잡종의 질산태질소 함량과 당도 및 채식률 비교 연구 (Studies on the Nitrate Concentration, Sugar Content and Intake of Four Sorghum X Sudangrass Hybrids Grown under Application of Animal Manure)

  • 서성;김종근;정의수;신동은;임영철;윤세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1-136
    • /
    • 2002
  • 본 시험은 가축분 시용 조건에서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중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는 장려품종 4종(P 988, Jumbo, TE-Hay-grazer, NC+ 855)을 공시하여 생육시기별, 잎과 줄기의 부위별 질산태 질소 함량과 당도 및 가축 기호도 등을 구명하였다. 가축분은 톱밥과 50:50으로 섞은 발효분으로 ha당 우분 40톤, 돈분 및 계분은 30톤을 파종 보름전 시용하였으며, 파종은 ha당 30kg의 종자를 휴폭 50cm로 1995년 4월 21일에 실시하였다.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질산태 질소 함량은 초장 50~50cm일 때 365mg/kg, 초장 100~120cm일 때 501mg, 초장 200~220cm일 때 502mg이었으며, 품종별로는 Jumbo에서 평균 317mg으로 낮았고 P 988(526mg)과 NC+ 855 (519mg)에서 높았다(P<0.05). 또 품종에 관계없이 줄기(376mg)가 잎(135mg)에 비해 질산태 질소함량이 크게 높았으며(P<0.05), 같은 잎과 줄기에서는 아래부위로 갈수록 질산태 질소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품종별 당도는 NC+ 855가 평균 $3.9^{\circ}$ 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P 988($3.4^{\circ}$), TE-Hay grazer ($3.2^{\circ}$), Jumbo($2.9^{\circ}$) 순이었다. 채식률은 P 988과 NC+ 855에서 Jumbo와 TE-Haygrazer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나 장려품종 4종간 유의적인 채식률 차이는 없었다.

Combining ability and heterosis of Korean sorghum varieties

  • Choe, Myeongeun;Ko, Jeeyeon;Song, Seokbo;Park, Changhwan;Kwak, Doye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79-79
    • /
    • 2017
  • Grain Sorghum varieties grown in Korea have low productivity and are constrained by the fact that farmers' choice of improved varieties is limited. Hybrid cultivars have been demonstrated to be more productive and food security than pure line varieties. However, There's no available hybrid cultivars and never planted before in Korea. This study was, therefore, conducted to determine combining ability of Korean landrace varieties and cultivar, the level of heterosis of experimental hybrids depending on environments. Two cytoplasmic male-sterile lines were crossed with six male-fertile lines in accordance with North Carolina II mating scheme to generate 12 experimental hybrids. The hybrids were evaluated in replicated row-column alpha designs at two sites in Texas and South Korea under on-season production conditions. For each trait,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and specific combining ability (SCA) effects were estimated using the line-tester method of analysis.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enotypes for both grain yield potential and secondary traits. Hybrids were predominant for grain yield, and displayed up to 127% heterosis of A03017 ${\times}$ Sodamchal in Korea. Positive GCA for yield was observed for Donganme, Hwanggeumchal and Jungmo4002 in Korea. Among them Jungmo4002 and Donganme had highly positive for yield (227.90 and 84.90 kg ha-1), while it showed negative GCA for yield in College station (-40.90, -189.60 kg ha-1). ATx630 ${\times}$ Sodamchal had the greatest SCA for yield (468.10 kg/ha) in College station but at South Korea its SCA effect was -302.40 kg/ha. A similar trend was observed, followed by A03017 ${\times}$ Donganme (SCA effect = 215 kg ha-1 at College station vs. -44.20 kg ha-1 at South Korea). At South Korea the greatest positive SCA effect for grain was observed in ATx630 ${\times}$ Jungmo4002 as 322.20 kg/ha. Both GCA and SCA effects significantly interacted with site effects demonstrating the need for region adaptation of potential cultivars and test for developing Korea suitable cultivar.

  • PDF

가축분 시용조건에서 주요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량과 사료가치 비교 연구 (Forage Production and Nutritive Value of Four Sorghum×Sudangrass Hybrids Grown under Application of Animal Manure)

  • 서성;김종근;정의수;강우성;신재순;김정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7-62
    • /
    • 1999
  • 본 시험은 가축분 시용조건에서 수수 $\times$ 수단그라스 교잡종중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는 장려품종 4종(988, Jumbo, TE-Haygrazer, NC+ 855)을 공시하여 생육 특성과 생산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였다. 가축분은 톱밥 발효분으로 ha당 우분 40톤, 돈분 및 계분은 30톤을 파종 보름전 시용하였으며, 파종은 ha당 30kg의 종자를 휴폭 50cm로 1995년 4월 21일에 실시하였다. 수수 $\times$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초장은 우분, 돈분, 계분의 가축분 종류와 품종에 관계없이 평균 219~234cm의 범위로 비슷하였으며, 출수 시작일을 기준할 때 NC+ 855가 7월 1일로 가장 빨랐으며, 다음이 TE-Haygrazer였고(7월 4일), 988은 늦었으며 (7월 12일), Jumbo는 계속하여 영양생장중에 있었다. 연간 건물수량은 우분 시 시용조건에서 11.27~13.92톤/ha, 돈분시용시 11.46~12.77톤, 계분시용시 9.70~13.52톤 이었으며, 품종별 평균수량은 988이 11.31톤, Jumbo 11.26톤, TE-Haygrazer 11.77톤, NC+ 855 13.40톤으로, NC+ 855에서 수량은 다소 높은 경향이나 품종별 유의적인 수량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1차와 2차 수확시 조사한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NFE, 조회분 등 사료가치는 품종별 차이가 작았으며, 조단백질 생산량은 품종별 유의적인 차이없이 988이 1,526, Jumbo 1,429, TE-Haygrazer 1,502, NC+855 1,659 kg/ha이었다. 결론적으로 가축분 시용조건에서 자란 수수 $\times$ 수단그라스 장려품종 4종간 조 만 생육 특성은 인정되었으나 사초의 수량이나 사료가치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 PDF

목초 및 사료작물 정부장려품종의 지역적응성 평가 IV.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사초수량과 사료가치 (Evaluaton of the Government Recommended Forage Cultivars in Korea IV. Forage performance and quality of sorghum-sudangrass hybrids)

  • 김동암;전우복;신정남;김종근;신동은;김원호;김종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0
    • /
    • 1998
  • Eleven sorghun-sudangrass hybrids have been recommended as the government recommended forage cultivars, however, their forage performance and quality have mostly been tested at two regions, such as Suweon in the Middle Northwestern Coast Region and Sunghwan in the Middle Southwestern Coast Region.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retest the forag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leven government recommended sorghum-sudangrass hybrids(TE haygrazer, 988. TE haygrazer-R, SX-17, NC + 855, 855F, GW9110G, G83F, Sordan 79, Speed feed and Jumbo) at five regions, such as Icheon in the Middle Northern Inland, Suweon in the Middle Northwestern Coast, Sunghwan in the Middle Southwestern Coast, Keongsan in the Keongpook Inland and Kwangju in the Southern Inland, 1993 and 1995. Among the eleven hybrids tested, 'NC + 855' gave the highest forage yield at all regions when averaged over the two-year period, but others varied by region. 'NC + 855' was the highest yielding at Icheon, Keongsan and Kwangju, G83F was highest at Suweon and 855F was highest at Sunghwan. 'Jumbo' (headless type) was generally higher in forage quality than others, but at both Suweon and Icheon, 'NC + 855' and '855F' were higher quality than others. 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E haygrazer', 'NC + 855' , G83F and 'GW9110G1 at Icheon, 'G83F' and 'Sordan 79' at Suweon, 'NC + 855' and '855F' at Sunghwan, '988' and 'NC + 855' at Keongsan, and 'TE haygrazer-R' , 'NC + 855', 'GW9110G' and 'G83F' at Kwangju might be preferable to other hybrids because they have higher forage yie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