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rghum bicolor L. Moench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5초

Effects of Panicum miliaceum L. extract on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fatty ac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 Park, Mi-Young;Seo, Dong-Won;Lee, Jin-Young;Sung, Mi-Kyung;Lee, Young-Min;Jang, Hwan-Hee;Choi, Hae-Yeon;Kim, Jae-Hyn;Park, Dong-Si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3호
    • /
    • pp.192-197
    • /
    • 2011
  • The dietary intake of whole grains is known to reduce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anti-adipogenic activities in various Korean cereals, we assessed water extracts of nine cereals. The results showed that treatment of 3T3-L1 adipocytes with Sorghum bicolor L. Moench, Setaria italica Beauvois, or Panicum miliaceum L.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as determined by measuring oil red-O staining, triglyceride accumulation, and glycerol 3-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y. Among the nine cereals, P. miliaceum L. showed the highest anti-adipogenic activity. The effects of P. miliaceum L. on mRNA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and the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alpha}$ were evaluated revealing that the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hese genes in a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P. miliaceum L. extract changed the ratio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to saturated fatty acids in adipocytes, which is related to biological activity and cell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cereals efficiently suppress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In particular, the effect of P. miliaceum L.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s associated with the downregulation of adipogenic genes and fatty acid accumulation in adipocytes.

가축분 시용조건에서 파종방법과 파종량이 청예용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ods and Rates of Seeding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Nutritive Value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Grown Under Application of Animal Manure)

  • 서성;김종근;정의수;김원호;강우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9-54
    • /
    • 2000
  •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eding methods and rat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sorghum X 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L.) Moench, cv. Pioneer 988) grown under application of animal manure in 1995. The application amount of animal manure were 40MT in cattle manure, 30MTha in swine and poultry manure. The methods and rates of seeding treated in this study were drill of 30kg, and broadcast of 30, 60 and 100kgha of seeding rates. The plant height was 180cm, 191cm and 204cm in cattle, swine and poultry manure, respectively. Plant height in the plot of drill was higher by about 15cm than those of broadcast plots. The dry matter(DM) yield was 7.73, 8.87 and 9.80MTha in cattle, swine and poultry manure, respectively. A significant higher forage yield was produced in the plot of drill, compared with broadcast(Pc0.05). DM yields in broadcast of 60kg and lOOkg of seeding rates were higher than that of 30kg of seeding rate of broadcast.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age yield was found between 60kg and IOOkg of seeding rates. The average DM yield was 11.16, 6.94, 8.26 and 8.83MTIha in drill(30kg), broadcast 30, 60 and 100kgIMT of seeding rates, respectively. The nutritive value of sorghum x sudangrass hybrid was very similar among treatments. The crude protein yields were 1,010kg in cattle manure, 1,180kg in swine manure, and 1,592kg in poultry manure. The protein yield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plot of drill. In conclusion, seeding by drill was recommended for forage production and protein yield of sorghumxsudangrass hybrid, and proper seeding rates were 30kg in drill and 60kg in broadcast. (Key words : Sorghumxsudangrass hybrid, Seeding rate, Seeding method, Forage yield, Nutritive value, Animal manure)

  • PDF

수수의 고휴점파 본수에 따른 생육특성과 수량 변화 (Responses of Growth and Yield by Plants Number in High Ridge Hill Seeding on Sorghum(Sorghum bicolor (L.) Moench))

  • 전승호;조영손;정기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07-311
    • /
    • 2014
  •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농산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면서 수요와 재배면적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수수의 생산량 증대와 자급률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고휴점파 본수에 따른 생육 및 수량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 파종본수에 따른 초장에서 파종본수가 증가할수록 길어지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엽수에서는 파종본수가 가장 적은 1본 처리구에서 8.0개로 많았으며 엽수가 가장 적게 나타난 5본 처리구와 연차간 각각 1.4, 1.5개의 차이가 나타났다. 경태에서도 파종본수가 증가할수록 얇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1본 처리구 대비 72.6, 74.3%의 차이가 나타났다. 2. 수확기의 간장은 1, 2년차 모두 파종본수가 증가할수록 길어지는 뚜렷한 경향이 나타났으며 가장 길게 나타난 5본 처리구 183, 188 cm와 가장 짧게 나타난 1본 처리구간 각각 41, 29 cm 차이가 나타났다. 간경에서는 1본 처리구에서 가장 굵은 19.18, 20.13 mm로 나타났으며 파종본수가 증가할수록 얇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3. 수량구성요소를 보면 이삭장 및 이삭당 종실수, 천립중 모두 연차간 파종본수가 적을수록 길고 많거나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량에서는 연차간 파종본수가 2본 처리구에서 수량구성요소에서 높은 값을 보인 1본 처리구 보다 111%, 116%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 지상부의 부산물과 추출물의 제초활성 (Weed Control Efficacy of the Residues and its Aqueous Extract of Sorghum Shoots)

  • 박수혁;원옥재;;엄민용;황기선;황재복;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243-248
    • /
    • 2015
  • 본 연구는 수수 지상부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초활성을 검정하며 생물제초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수수 지상부 분말을 토양과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 피, 바랭이, 어저귀, 털비름의 발아 억제율은 최대 40% 정도였으며 발아한 개체들의 지상부 생육억제율은 광엽잡초인 어저귀와 털비름에서 최대 30%, 화본과잡초인 피와 바랭이에서는 3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수수 지상부 추출물의 발아억제 효과는 피를 제외한 바랭이, 어저귀, 털비름에서는 $25mg\;ml^{-1}$ 이상의 농도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50%의 발아를 저해하는 농도가 피에서는 $60mg\;ml^{-1}$였으나 나머지 세 초종에서는 $1060mg\;ml^{-1}$ 이하로 작게 나타났다. 경엽처리활성을 높이기 위해 선발한 11개 전착제 중 DOS70, TM15, TDE7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DOS70는 주요 잡초종을 60%까지 방제할 수 있었다. 비록 수수 지상부 부산물의 잡초방제효과가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장기적인 처리에 의한 잡초종자 및 개체밀도의 점진적인 경감이 기대된다.

재식밀도가 '초롱' 단수수의 생육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Components of the Sweet Sorghum Cultivar, 'Chorong')

  • 최영민;한현아;신소희;허병수;최규환;권석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40-47
    • /
    • 2019
  • 본 연구는 단수수 '초롱'(Sorghum bicolor (L.) Moench)의 재식밀도(16.7, 11.1, 8.3, 6.7, 5.6주${\cdot}m^{-2}$)에 따른 생육, 착즙액의 수량 및 품질을 비교하고 적정 재식밀도와 다변량 분석을 통해 수량에 관계된 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재식밀도에 따라 파종 후 일수별 주경장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재식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경태는 얇아지고 분지의 퇴화가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확기 추정한 착즙액과 당수량은 재식밀도가 높은 16.7 (각각 42.9, $4.16Mg{\cdot}ha^{-1}$), 11.1 (37.1, $3.73Mg{\cdot}ha^{-1}$)주${\cdot}m^{-2}$ 처리구가 8.3(30.5, $2.96Mg{\cdot}ha^{-1}$), 6.7 (26.6, $2.41Mg{\cdot}ha^{-1}$), 5.6 (24.7, $2.22Mg{\cdot}ha^{-1}$)주${\cdot}m^{-2}$ 처리구보다 많았다. 가용성 고형물 및 유리당 함량은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11.1, 8.3주${\cdot}m^{-2}$ 처리구에서 높은 편이었다. 반면 재식밀도가 5.6~11.1주${\cdot}m^{-2}$까지 증가했을 때 도복지수(9에 가까울수록 도복피해가 커짐)가 2.00~6.33까지 급격히 증가하여 최종 재식밀도의 결정시 태풍의 도래 횟수나 지형적인 특성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조사항목간 상관분석과 주성분 분석에서 재식밀도는 생경수량($r=0.62^{**}$), 건물수량($r=0.58^{**}$), 착즙액($r=0.63^{**}$) 및 당수량($r=0.66^{**}$)과는 정의관계를, 주경의 굵기($r=-0.65^{**}$)와는 부의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수량 관련 요인들은 초장, 경태, 마디수와 통계적 관계가 없었다.

수수의 종자크기가 종자활력과 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Size Variation on Germination and Seeding Vigour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 정기열;윤을수;박창영;최영대;황재복;전승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19-2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종실의 크기가 작고 불균일한 소립종으로 파종시 초기 입모불량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 형질특성이 다른 밀수형 황금찰와 산수형 토종 품종을 대상으로 종자크기를 5가지 등급으로 선별하여 실내종자활력 평가와 포장조건에서 선별파종 효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주요 수수품종별 종자의 크기별 분포특성을 분석한 결과 황금찰에 비해 토종이 대립종으로 나타났으며, 종자의 균일도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자크기가 클수록 천립중과 비중, 탄수화물과 단백질 함량이 증가되었고, >3.55 mm 와 <2.36 mm의 천립중도 황금찰 19.78 g과 토종 17.91 g로 차이를 보였으며, 탄수화물과 단백질함량은 각각 0.98%, 14.61%의 차이를 보였다. 종자크기 >3.55 mm와 3.15 mm 범위에서는 탄수화물과 단백질함량 함량은 유의성이 없었으며, 탄수화물/단백질함량비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종자활력을 시험한 결과 저온과 표준발아시험 모두 종자 크기가 클수록 발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자크기가 >3.55 mm 이상의 종자 발아율이 79.8%로 높은 반면<2.36 mm에서는 51.5%로 크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2.80 mm 이하부터는 크게 떨어졌다. 포장조건에서 출아율은 황금찰의 경우 >3.55 mm에서는 92.7%로 높은 반면 <2.36 mm에서는 31.3%로 크게 낮았다. 평균출아일수는 황금찰의 경우 >3.55 mm에서는 4.26일이 소요되는 반면 <2.36 mm에서는 4.74일이 소요 되었고, 출아율지수는 >3.55 mm에서는 0.87인 반면 <2.36 mm에서는 0.26으로 종자크기가 작을수록 크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에서는 <2.36 mm에 비해 >3.55 mm에서 황금찰 24.5%, 토종 36.9%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3.15 mm 미만부터는 뚜렷한 수량성의 차이를 나타났다. 따라서 수수종자 크기별로 중량, 밀도, 성분분석, 표준발아 조사, 저온발아조사 등 실내 종자활력 시험과, 포장조건에서 발아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3.15 mm 이상의 종자를 선별하여 파종하면 수수의 종자활력이 높아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예취높이와 질소시비수준이 수수-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생육특성 ,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Heigth and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on the Growth Chra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of Sorghum-Sudangrass Hybrid)

  • 이상무;문상호;구재윤;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1-48
    • /
    • 1992
  • 본 실험은 예취높이와 질소시비수준이 sorghumsudangrass hybrid(Sordan 79)의 고사주, 신지발생(측지+분벽경), 고지의 건물비솔, 총건물수량 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예취높이(5cm, 10cm, 15cm, 20cm)를 주구로 하고 질소시비수준(150kg,250kg,350kg/ha)을 구로 하여 1988년 5월부터 9월 까지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사료포장에서 실시한 결과를 요 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예취높이와 질소시비수준이 높은 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고온시에 큰 차이를 나타냈다. 2. 예취후 소사주는 예취 높이가 낮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P<0.01) 질소시비수준에 있어서는 증가될수록 고사주 발생도 높게 나타났다. 3. 예취후 측지의 발생은 예취 높이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P<0.01) 신지의 발생은 질소시비수준이높은 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4.예취높이가 높아질소록 재생건물수량에 있어서 측지가 차지하는 비솔은 증가하였으며(P<0.05), 예취높이가 낮은 구의 재생건물수량은 대부분 분벽경이 차지하였다. 5. 건물수량은 질소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모든 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0.01) 예취높이 20cm구가 대부분 건물수량이 높았다.량이 높았다.

  • PDF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Fisch) 목초액의 제초활성 (Herbicidal Activity of Wood Vinegar from Quercus mongolica Fisch)

  • 김성문;김용호;김진석;안문섭;허수정;허장현;한대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82-88
    • /
    • 2000
  • 제초제에 의한 인축 및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최근 유기농가 목초액을 잡초방제에 도입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유기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신갈나무 목초액의 살초효과를 검정하는데 있다. 목초액 0.01%는 고형배지에서 피(Echinochloa crus-gulli P. Beauv), 개밀(Agropyron smithii RYDB), 캐놀라(Brassica napus L.), 어저귀(Abutilon avicennae Gaetrn), 자귀풀(Aeschynomene indica L.), 수수(Sorghum bicolor Moench)의 생장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0.1{\sim}1%$는 식물의 생장을 둔화시켰고, > 5%는 식물의 생장을 완전저해시켰다. 목초액 1배량(80L $80L^{-1}\;10a^{-1}$)을 토양처리시 캐놀라, 어저귀, 피,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Scop.)의 생장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경엽처리시 식물의 생장은 1/2배량 혹은 1배량 처리시 둔화되었다. 목초액의 살초력을 춘천과 태백 2곳의 포장에서 검정한 결과, 목초액 1배량 처리구의 잡초생체중은 무처리구의 잡초생체중과 비교하여 $34{\sim}36%$ 작았으나, >1/2배량 처리구의 잡초생체중은 무처리구의 잡초생체중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목초액 1배량의 살초력은 glyphosate 1/2 배량의 살초력에도 훨씬 못미쳤기에 목초액의 실제 살초력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and its Split Application of Nitrogen on Growth Characters and Productivity in Sorghum × Sudangrass Hybrids [Sorghum bicolor (L.) Moench]

  • Jung, Jeong Sung;Kim, Young-Jin;Kim, Won Ho;Lee, Sang-Hoon;Park, Hyung Soo;Choi, Ki Choon;Lee, Ki-Won;Hwang, Tae-Young;Choi, Gi-Ju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5-222
    • /
    • 2016
  • Nitrogen (N) fertilizer management is one of the important aspects of economic production of sorghums in sustainable agricultur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N application rates and its split N application methods on productivity, growth characteristics, N accumulation, N use efficiency (NUE), and feed value of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s. Treatments consisted of five N application rates (0, 150, 200, 250, and $300kg\;ha^{-1}$) and two split N application methods (40% in basal N, 30% at the growing stage, and 30% after the first harvest vs. 50% in basal N and 50% after the first harvest). Plant height, leaf width, and stem diameter were increased ($p{\leq}0.05$) with increasing N fertility rates at each harvest. Chlorophyll content (expressed as SPAD values) was the highest at a rate of $300\;kg\;N\;ha^{-1)$ (first harvest, 46.32; second harvest, 33.09). It was the lowest at zero N (first harvest, 21.56; second harvest, 18.5). Total N, N uptake, and NUE were increased with higher N rates. Split N application had little effect on total N, amount of N uptake, or NUE. Total dry matter yields were the highest ($21,715\;kg\;ha^{-1}$) at a rate of $300\;kg\;N\;ha^{-1}$. It was the lowest ($10,054\;kg\;ha^{-1}$) at zero N. Our results suggest that more than $300\;kg\;N\;ha^{-1}$ can improve dry matter yield to be above 116% compared to zero N, thus enhancing the agronomic characters of sorghums.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 had been found for split N application. Further work is needed to determine the optimal N levels and the effect of split N application rates.

Effect of different plant densities on growth and yield of sorghum(Sorghum bicolor L. Moench.)

  • Cho, Young Dae;Jung, Ki Yuol;Chun, Hyun Chung;Lee, Sang Hun;Kang, Hang W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06-206
    • /
    • 2017
  • Sorghum is a crop with a various plant height depending on the planting density. If the height exceeds 1.8m, which is the harvestable height of the combine, loss is caused by clogging of the installation, entrance of the threshing section and the threshing s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planting distance and number of plants per hill suitable for combine harvesting as the plant length does not exceed 1.8m. The experimental variety was Nampungchal. The experiment design was a split-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treatments were as follow: Main-plot were 1 and 2 plants as number of plants per hill and sub-plots were $60{\times}20cm$ (practice), $70{\times}15$, 20, 25, 30 cm as planting distance. The amount of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fertilization were 100, 70, $80kg\;ha^{-1}$. Data were collected: (1) grain yield: weight of grain in $kg\;ha^{-1}$, (2) 1000 grain weight: average weight of 1000 grain, (3) plant height: distance from soil to top of panicle, (4) ear length: distance from top of stem to top of ear in cm, (5) stem diameter: diameter of second internode, (6) tiller number per hill. Analyses of variance were performed using R version 3.3.1(https://www. r- project. org). The Duncan's multiple range test(DMR) was used to separate treatment means at P < 0.05. As number of plants per hill increased, plant height and yield increased and tiller number decreased. As planting distance increased, plant height and yield decreased and tiller number increased. At 1 plant per hill, the plant height did not exceed 1.8m at all planting distance. At 2 plants per hill, the plant height did not exceed 1.8m from the planting distance of $70{\times}25cm$. At 1 plant per hill, the tiller number increased to 0.23, 0.27, 0.60 and 0.70 as the planting distance increased to $70{\times}15$, 20, 25 and 30 cm, respectively. At 2 plants per hill, the tiller number increased to 0.03, 0.03, 0.14 and 0.40 as the planting distance increased to $70{\times}15$, 20, 25 and 30 cm, respectively. At 1 plant per hill, the yield decreased to 6030, 4280, 3400 and $3230kg\;ha^{-1}$ as the planting distance increased. At 2 plant per hill, the yield decreased to 7850, 5770, 5720 and $4960kg\;ha^{-1}$ as the planting distance increased. We recommend that the optimum number of plants per hill and planting distance is 2 and $70{\times}25cm$ suitable for combine harvesting.

  • PDF